장풍광산 폐광석의 중금속 존재형태 연구

  • 이평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환경지질연구부 환경지구화학연구팀) ;
  • 이인경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 ;
  • 최상훈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 ;
  • 신성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환경지질연구부 환경지구화학연구팀)
  • 발행 : 2003.04.01

초록

폐광석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 원소는 물리ㆍ화학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안정화 되어 자연적으로 정화가 진행되거나 혹은 재 용출될 수 있어 중요한 오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폐광석에 함유된 중금속이 흡착된 상태로 존재하는지, 광물형태(탄산염광물, 산화광물, 황산염광물 및 황화광물)로 존재하는지, 산화환경 혹은 환원환경에서 안정한 다른 광물의 결정 내에 치환된 형태로 존재하는 지를 규명하는 것은 물리화학적 환경변화에 따른 중금속의 거동(흡착반응, 탈착반응, 용해반응, 침전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평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중략)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