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n the Accessibility of Online Learning Content in Korea

국내 원격 교육 콘텐츠의 접근성 분석 사례

  • Published : 2003.05.01

Abstract

The accessibility evaluation of ten web-based loaming content in Korea was performed with the following procedure : (1) A primitive metric of the compliance of those contents to the WCAG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1.0 was obtained using Bobby, a widely used accessibility checker. (2) SGML validation test was carried out. (3) The contents were rendered with various browsers including a text-mode browser. (4) They were manually checked as to whether they satisfy the accessibility criteria proposed by W3C. Most of the tested contents scored low marks in all the test categories partly because they were apparently developed with little attention paid to web standard conformance, browser compatibility, and device-independence. They also put heavy emphasis on audio-visual effects catering only to the best-equipped users and offering no alternate access route for those in restricted environment. As more information and learning materials are delivered through the Internet, these low accessible contents would lead to a deeper information divide. The accessibility needs to be regarded as an important factor in evaluating the quality of loaming content.

국내의 웹기반 교육용 콘텐츠 10개를 선정하여 접근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1) 자동 분석 프로그램인 Bobby를 사용한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WCAG) 1.0 준수 여부에 대한 기초 자료 산출 (2) SGML 표준 문법 검사 (3) 텍스트 브라우저를 포함한 여러 브라우저에서의 호환성 시험 (4) W3C가 제안한 접근성 체크포인트를 중심으로 한 직접 분석 순으로 접근성을 평가한 결과, 대부분의 콘텐츠가 모든 단계에서 매우 저조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접근성이 낮은 주된 이유는 웹 표준, 브라우저 호환성, 장치 독립성에 대해서 거의 고려를 하지 않고 콘텐츠를 개발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 검사 대상 콘텐츠들은 대부분 가장 잘 꾸며진 환경의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시청각적인 효과에 치중한 결과, 제한된 사용자 환경에서의 대안적인 접근 경로를 제공하지 않고 있었다. 보편적인 정보 취득을 포함한 점점 더 많은 학습이 온라인으로 이루어지는 현실에서 접근성이 낮은 콘텐츠들은 정보 격차를 더 심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학습용 콘텐츠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접근성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