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Analysis of Speech Duration Between the Existing Singer and New Generation Singer

기존 가수 및 신세대 가수의 소리지속시간 분석에 관한 연구

  • Jung YoungHoon (Dept,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Engineering, Soongsil Univ.) ;
  • BAE MyungJin (Dept,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Engineering, Soongsil Univ.)
  • 정영훈 (숭실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
  • 배명진 (숭실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 Published : 2002.07.01

Abstract

음악을 함에 있어서 정확하고 매력적인 발성을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욱 기본적이고 중요한 것이 정확한 발음을 내는 것이다. 정확한 발음이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아무리 발성법을 꿰뚫고 있다하더라도 많은 사람들에게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게 된다. 보통 노래를 잘 부르기 위해서 노래방 같은 곳을 찾아가 노래 연습을 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는데, 무엇보다 기본적인 발음이 명확하지 않으면 노래를 잘 부른다고 볼 수는 없는 것이다. 랩을 주로 하는 신세대 가수들의 음악을 들어 보면 자막을 보지 않고서는 무슨 말인지 알아들을 수가 없다. 그들이 노래할 때 입 크기의 변화 없이 입술모양만 변화시키면서 발성하기 때문이다. 음성은 기본적으로 여기성분과 성도성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성도는 인두강과 구강을 합쳐서 일컫는다. 따라서 입 모양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같은 말이라도 명료성이 달라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 소리지속시간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서 기존가수와 신세대 가수의 한 음절에 대한 지속시간을 비교하여 보았고 8Khz까지의 스펙트로그램을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기존 가수가 신세대 가수에 비하여 말의 의사 전달에 있어서 명료하게 전달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