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peaker Recognition System using the Pitch Alteration

피치변경을 이용한 화자인식 시스템

  • Jung JongSoon (Dept. of Telecommunication, Soongsil University) ;
  • Bae MyungJin (Dept. of Telecommunication, Soongsil University)
  • 정종순 (숭실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
  • 배명진 (숭실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 Published : 2002.07.01

Abstract

Parameters used in a speaker recognition system are desirable expressing speaker's characteristics filly and have in a speech. That is to say, if inter-speaker than intra-speaker variance a big characteristic, it is useful to distinguish between speakers. Also, to make minimum error between speakers, it is required the improved recognition technology as well as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When we see the result of recent simulation performance, we obtain more exact performance by using dynamic characteristics and constant characteristics by a speaking habit. Therefore we suggest it to solve this problem as followings. The prosodic information is used by a characteristic vector of speech. Characteristics vector generally using in speaker recognition system is a modeling spectrum information and is working for a high performance in non-noise circumstance. However, it is found a problem that characteristic vector is distorted in noise circumstance and it makes a reduction of recognition rate. In this paper, we change pitch line divided by segment which can estimate a dynamic characteristic and it is used as a recognition characteristic. we confirmed that the dynamic characteristic is very robust in noise circumstance with a simulation. We make a decision of acceptance or rejection by comparing test pattern and recognition rate using the proposed algorithm has more improvement than using spectrum and prosodic information. Especially stational recognition rate can be obtained in noise circumstance through the simulation.

화자인식에 사용하는 파라미터는 화자의 특징을 충분히 표현함과 더불어 발성 시마다 변동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파라미터의 화자내의 변이보다 화자간의 변이가 큰 특성을 가져야 화자간의 구분이 용이하다. 또한, 화자간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화자간 구별이 뚜렷한 특징 파라미터뿐만 아니라 분별력이 뛰어난 인식방법도 필요하다. 최근의 실험결과들을 살펴보면 발성기관에 의한 정적인 특징뿐 아니라, 발성습관에 의한 동적인 특징을 같이 이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인식결과를 얻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음성의 특징벡터로 운율정보 사용을 제안한다 현재 화자인식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특징벡터는 스펙트럼 정보를 모델링하고 있는 것으로 비잡음 환경에서 종은 성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잡음 환경변화에 크게 왜곡되며 인식율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음성의 동적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세그먼트로 분할한 피치열을 변경하여 인식의 특징패턴으로 사용한다. 이는 문장의 운율정보를 보여주는 것으로 소음환경에서 강인한 특성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