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face Characteristics of LDPE film by Corona Discharge - induced Grafting: Effect of Acrylic Acid on Aging

코로나 방전에 그래프팅된 LDPE 필름의 표면특성: 노화에 대한 아크릴산 그래프팅 효과

  • 박수진 (한국화학연구원 화학소재연구부) ;
  • 신준식 (한국화학연구원 화학소재연구) ;
  • 김학용 (한국화학연구원 화학소재연구) ;
  • 이덕래 (한국화학연구원 화학소재연구부)
  • Published : 2002.04.01

Abstract

소수성인 폴리올레핀계를 친수성화하여 고분자의 표면특성을 개량하거나 고분자 재료 표면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고자 하는 연구가 1970년대부터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고분자의 표면 특성개질에 대한 연구는 보통 고분자의 도장성, 인쇄성, 접착성, 젖음성 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재료의 표면층 만을 효율적으로 개질 시키는 저온 플라즈마 처리법은 낮은 기압에서 행하는 글로우 방전법과 대기압 부근에서 행하는 코로나 방전법으로 나눌 수 있으며, 특히 대기압하에서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표면개질법은 산업현장에서 연속적이면서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고 취급이 용이하다는 장점 때문에 표면개질에 있어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중 하나이다[1]. (중략)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