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rovement of the storage coefficient estimating mehod for the clark model

Clark 단위도의 저류상수산정방법의 개선

  • 윤태훈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박진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2.05.0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help practicing engineers easily use the Clark model which is used for estimating the magnitude of design flood for small stream. A representative unit hydrograph was derived on the basis of the past rainfall-runoff data and unit hydrographs, and the storage coefficient of Clark model was estimated by using hydrograph recession analysis. Since the storage coefficient(K) is a dominating factor among the parameters of Clark method, a mulitple regression formula, which has the drainage area, main channel length and slope as parameters, is propsed to estimate K value of a basin where measured data are missing.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a storage coefficient(K) and aforemetioned three parameters in homogenious basins. A regression formular for K was derived using these correlations in a basin of Han River, Nakdong River, Young River, Kum River and Sumjin River

본 연구는 국내의 중소하천유역의 설계홍수량 산정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Clark 모형의 저류상수륵 실무자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과거의 강우-유출자료와 단위도를 바탕으로 대표단위도를 유도하고, 수문곡선 감수분석 개넘을 이용하여 Clark 모형의 저류상수를 산정하였다. 저류상수(K)는 Clark 방법의 매개변수 중 계획홍수량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인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측자료가 없는 유역에서의 K값의 산정을 위해 유역면적, 주유로연장, 유역경사를 이용한 다중 회귀방정식을 제시하였다. 회귀분석결과 저류상수(k)는 지형학적 동질성이 있는 유역에서 뛰어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한강, 낙동강, 영산강, 금강, 섬진강 유역의 K에 대한 회귀분석식을 도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