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별 향 감성 구조 및 향 감성에 따른 자율신경계 반응

Psychological structure and ANS response by odor induced emotion

  • 박미경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및 뇌과학연구소) ;
  • 정희윤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및 뇌과학연구소) ;
  • 이경화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및 뇌과학연구소) ;
  • 최정인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및 뇌과학연구소) ;
  • 이배환 (연세대학교 임상연구소 및 뇌연구소) ;
  • 손진훈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및 뇌과학연구소)
  • 발행 : 2001.11.01

초록

본 연구는 향에 대한 연령별 감성 구조를 밝히고, 향 감성에 따른 자율신경계 반응을 밝히려는 것이다. 실험 참여자는 연령별(10대, 20대, 40대)로 24명씩, 총 72명이고 자극향은 cederwood, grapegruit, teebaum, peppermint, rose 향을 사용하였다. 향이 제시되는 동안 혈류량, 피부온도, 피부전기반응, 심전도 반응을 측정하였고, 향에 대한 주관적 감성을 측정하였다. 향에 의한 심리적 감성 구조는 심미성, 강도, 자연성, 개성성, 낭만성의 다섯 요인이 확인되었고, 연령별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향 선호도를 예측하는 감성요인은 연령별로 차이가 났다. 감성적으로 "나쁜"향은 "좋은"향보다 교감신경계 활동에 의한 자율신경계 반응이 더 크게 일어났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