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세관 전기이동을 이용한 ${\delta}$-Aminolevulinc acid와 Porphobilinogen의 분리

  • 김진남 (전남대학교 생물화학공학과) ;
  • 윤종선 (전남대학교 공업화학공학과) ;
  • 류화원 (전남대학교 생물화학공학과)
  • Published : 2000.04.08

Abstract

In this study, ${\delta}-aminolevulinic$ acid, porphobilinogen, glycine and levulinic acid were succesfully separated by capillary electrophoresis(CE). We established the separative conditions of the mixture containing four components by CE. The borate buffered solution was used for CE electrolyte, and its pH was adjusted to $9.25{\sim}9.42$. Under constant current or constant voltage, higher concentraion of borate produced better resolution of four components, but adversely affected migration rates , resulting in longer analysis time. While migration time was faster with increase in applied voltage, but adversely affected resolution. Each component was separated well in borate buffer of 30mM at the applied voltage of 20kV.

일정전류와 일정전압조건 모두에서 완충액 농도가 증가할수록 시료들의 이동시간이 증가하였으며 전압이 높을수록 시료들의 이동시간이 단축됨을 알 수 있었다. ALA, PBG, glycine, LA의 최적 분석조건은 borate 완충액 30mM, 20kV, $76{\mu}A$에서 가장 잘 분리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ALA, PBG, glycine, LA를 동시에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ALA 2mM, PBG 0.25mM 범위내에서 선형적인 보정곡선을 보이므로 정량분석이 가능하였다. CE를 이용한 ALA와 PBG의 동시 정량분석으로 인체, 동식물 및 광합성 미생물의 대사과정에 수반되는 효소인 ALA synthetase, ALA dehydratase의 활성 연구, 광합성 홍색세균에 의한 ALA생합성, 의학, 생화학, 효소공학 등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