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성탄 담체가 포함된 Jet-Loop Reactor를 이용한 종합염색폐수처리

  • 박종탁 (대구보건대학 소방안전관리과) ;
  • 이길호 (영남대학교 응용화학공학과) ;
  • 류원률 (영남대학교 응용화학공학과) ;
  • 조무환 (영남대학교 응용화학공학과)
  • 발행 : 2000.04.08

초록

본 연구는 T시에서 다량으로 배출되고 있는 종합염색폐수의 생물학적인 처리방법을 기존의 활성슬러지조에 비해 별도의 산기장치가 없는 상태에서도 산소전달효율이 뛰어나며, 기포의 표면적이 작아 용존 되어지는 산소의 양이 많고 또한, 저동력비을 갖는 JLR를 사용하여 새로운 생물학적 처리 공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BOD의 제거효율이 짧은 8시간의 체류시간에서도 99%에 이르는 뛰어난 유기오염원의 제거효율을 얻었다. 산업의 발달로 의식수준이 점차 높아져감에 따라 생활환경이 개선되어 다량의 난분해성 물질이 주요원인인 색도가 수질의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는데, 이를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기존의 1차 응집공정의 과량의 응집제 사용으로 인한 대량의 슬러지생산과 처리비용 등에 관한 문제점을 효율이 뛰어난 활성탄 담체를 포함한 JLR로서 1차 처리함으로써 응집제의 양의 감소와 87%에 달하는 색도의 제거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이를 다시 2차 응집하면 약 2,300의 유입수를 150으로 94%정도의 제거효율을 얻어 수질의 향상시킬 수 있었다.

For the effective treatment of dye-processing wastewater, JLR(Jet-Loop Reactor) with active carbon supports were investigated. BOD removal efficiency was found as 99% when influent BOD concentration of dye-processing wastewater was 400 mg/L. $COD_{Mn}$ of effluent removal efficiencies were found as 86${\sim}$ 89% when these of activated sludge reactor were 62${\sim}$72%. Also, color removal efficiencies were found as 84${\sim}$87% when these of activated sludge reactor were 72%${\sim}$77%. After JLR with active carbon supports had been used, all of the $COD_{Mn}$, $COD_{Cr}$ and color removal efficiencies Increased when chemical precipitation was done. Consequently, JLR with active carbon supports was proved to be more excellent than the activated sludge reacto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