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neme-Boundary-Detection and Phoneme Recognition Research using Neural Network

음소경계검출과 신경망을 이용한 음소인식 연구

  • Published : 1999.11.01

Abstract

In the field of speech recognition, the research area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wo categories: one which is concerned with the development of phoneme-level recognition system, the other with the efficiency of word-level recognition system. The resonable phoneme-level recognition system should detect the phonemic boundaries appropriately and have the improved recognition abilities all the more. The traditional LPC methods detect the phoneme boundaries using Itakura-Saito method which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LPC of the standard phoneme data and that of the target speech frame. The MFCC methods which treat spectral transitions as the phonemic boundaries show the lack of adaptability. In this paper, we present new speech recognition system which uses auto-correlation method in the phonemic boundary detection process and the multi-layered Feed-Forward neural network in the recognition process respectively. The proposed system outperforms the traditional methods in the sense of adaptability and another advantage of the proposed system is that feature-extraction part is independent of the recognition process. The results show that frame-unit phonemic recognition system should be possibly implemented.

음성 인식 연구는 유사음소 단위의 인식시스템을 구축하는 방향과 단어 단위의 인식시스템에서의 효율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중 유용한 유사음소 단위의 인식시스템 구현을 위해서는 음소의 경계 검출 문제와 검출된 음소에 대한 인식률 향상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기존의 LPC(Linear Predictive Coefficient) 방법들은 기준 음소데이터의 LPC와 입력 음성프레임의 LPC 사이의 거리를 Itakura-Saito 방법으로 구하여 음소의 경계를 검출하였으며, 근래에는 MFCC(Mel-Frequency-Cepstrum Coefficient)를 이용하여 스펙트럼의 천이부분을 음소의 경계로 검출하는 방법들이 제안되어왔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공통적으로 적응성이 미비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음소경계검출을 위해서는 auto-correlation을 이용하고 음소인식을 위해서는 적응성이 뛰어난 다층 Feed-Forward 신경망을 사용하는 새로운 인식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기존의 방법들보다 적응성이 뛰어나고 특징추출부분과 인식 부분의 알고리듬이 독립적이라는 장점을 가지며 프레임단위의 음소인식시스템의 구현 가능성을 확인해 주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