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wo Novel Forms of A Cytosolic Phospholipase $A_2$-Activating Factor in Bovine Brain

  • Park, Jae-Si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Health Chemistry, College of Pharmacy, Chung-Ang University) ;
  • Jung, Kwang-Mook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Health Chemistry, College of Pharmacy, Chung-Ang University) ;
  • Jung, Sung-Yu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Health Chemistry, College of Pharmacy, Chung-Ang University) ;
  • Na, Doe-Sun (Department of Biochemistry,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Kim, Dae-Kyo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Health Chemistry, College of Pharmacy, Chung-Ang University)
  • 발행 : 1996.04.01

초록

세포질에 존재하는 100 kDa Phospholipase $A_2$(cPLA$_2$)는 인지질의 sn-2 위치의 에스테르결합을 가수분해함으로서 Prostaglandin과 Leukotriene등 Eicosanoids 생합성의 전구체인 아라키돈산과 Platelet activating factor(PAF)를 생합성하는 전구체를 동시에 생성시키는 효소로 염증과 세포손상등에 중요한 역할이 기대된다. 본 효소의 활성화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는 최근의 활발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불명확한 점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특히 세포를 자극하였을 때 유리되는 아라키돈산의 증가율과 세포를 파괴한 후 조제한 가용성분획에서 측정한 활성의 증가율과는 많은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부터 cPLA$_2$ 효소 자체를 활성화시키는 어떤 인자를 가정하였다. 최근, PLA$_2$의 또다른 형태인 14 kDa의 분비성 PLA$_2$의 in vitro 활성을 증가시키는 인자가 동정되어 그 생화학적 특성이 규명되고 있으나 이 인자는 cPLA$_2$의 활성에는 아무런 증가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자들은 소의 뇌조직에서 cPLA$_2$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인자를 발견하고 그의 생화학적인 특성을 규명하였다. 돼지 비장에서 정제한 cPLA$_2$를 사용하였으며 소의 뇌 조직의 가용성 분획으로부터 본 활성화 인자를 동정하였으며 그 활성분획을 양이온 크로마토그라피로서 Mono S EPLC와 Superose 12 Sepharose gel filtration 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더욱 분리한 결과 약 70 kDa과 25 kDa에서 각각 용출되었다. 이렇게 부분정제한 활성은 췌장에서 분리한 group I과 흰주의 group I과 흰주의 혈소판에서 분리한 group II PLA$_2$에 대해서는 아무런 증가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반면, cPLA$_2$의 활성만을 약 5배 증가시켰다. 본 활성은 cPLA$_2$ 효소량의 증가에 따라 활성의 증가효과가 정차 감소하므로 화학량적인 반응(Stoichiometric reaction)일 것으로 예상되었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