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for the Extraction and Analysis of EOG as a Physiological Measure of Intelligence

지능의 생리적 측정치로서의 EOG의 검출 및 분석에 관한 연구

  • Park, Sang-Joon (Dept. of Biomedical Engineering, Inje University) ;
  • Im, Jae-Joong (Dept. of Biomedical Engineering, Inje University) ;
  • Ha, Dae-Hyun (Dept. of Pedagogical Psycholog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박상준 (인제대학교 보건대학 의용공학과) ;
  • 임재중 (인제대학교 보건대학 의용공학과) ;
  • 하대현 (숙명여자대학교 문과대학 교육심리학과)
  • Published : 1995.11.17

Abstract

많은 생리적 지능 연구자들은 생체신호 또는 생리적 측정치들을 지능의 새로운 측정치로서 제안하고 있는데, 이들의 기본 가정은 현재의 지능검사는 교육, 가정의 양육태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같은 문화적 요인에 의해 크게 좌우되므로 지능의 편파적인 측정치가 될 수밖에 없고, 이러만 요인에 가장 적게 영향받는 생리적 측정치만이 순수한 지능 즉정치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생리적 신호들 중 EOG(electro-oculograph)를 이용하여 안구의 움직임을 기록함으로서 피검자의 문제해결을 위한 집중력과 이해력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피검자의 정보처리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반응시간(RT, reaction time)을 측정하였다. 17명의 건강한 남녀 학생들이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첫단계로 Raven's Advanced Matrices 검사와 IQ 검사를 실시하고, 검사 결과에 근거하여 각각을 세 그룹으로 나누었다. 두번째 단계로는 슬라이드로 제작된 도형유추과제를 푸는 동안 EOG와 RT를 측정하였다. IQ 검사 점수, RT, 그리고 EOG로부터 추출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구하기 위해 GLM(general linear model) 및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위한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하여 도형유추과제의 난이도가 높을수록 EOG변수들에 의한 지능점수의 분류능력이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Raven그룹보다는 IQ그룹에 대한 분류가 더욱 잘 이루어졌음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RT는 Raven그룹과 IQ그룹 모두에서 높은 변별력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