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Temporal Change of Soil Loss of Kyungan River Basin with GIS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경안천 유역 토양유실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1995.12.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not only the watershed soil loss but also its temporal changes of Kyungan River basin, the study area, due to the land development. To analyze the soil loss of the river basin, USLE was employed. GIS and remote sensing were also utilized to estimate the soil loss. The data for this analysis consist of a series of thematic map and remotely sensed data. The remotely sensed images for this study are Landsat TM(Oct, 28, 1997 & Sep. 22, 1992), In Kyungan River basin, not only the detection of temporal changes of land use and GVI, but also the estimation of soil loss provided very significant factors that affect to the watershed environment quality. The management of the factors of vegetative cover, slope steepness and length were the keys to reduce soil loss and solve conservation and protection issues of Kyungan River basin. GIS application with USLE to the watershed analysis allows the planner to recognize sensitive sites and to plan strategies to minimize soil loss.

본 연구의 목적은 경안천 유역의 토지이용 및 식생의 활력도를 살피고, 각 시점에서의 토양유실량을 추계하며,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토양유실 변화량의 증감을 분석하는데 있다. 토양유실량은 토양유실량예측공식(USLE)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는데 경안천이라는 광역적인 유역의 토양유실을 분석하기 위하여 GIS기법과 원격탐사기법을 동시에 이용하였다. 경안천 유역의 토지이용 및 식생활력도변화 분석뿐만이 아니라 토양유실량의 정확한 산정은 유역환경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인자들이 무엇인지를 분석케 하였다. 즉 식생, 경사도 및 사면장 그리고 토양보전과 관련된 인자들에 대한 관리는 하천유역의 보전 및 토양유실의 저감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GIS기법을 응용한 본 연구는 계획가들에게 있어서 하천유역의 토지이용의 변화와 토양유실량의 상관성을 파악하게 해줌으로서 앞으로의 유역내의 장기적인 토지이용계획 수립시 매우 합리적인 지침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