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one of inhibition

검색결과 422건 처리시간 0.027초

캐모마일(Martricaria chamomilla L.)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of Chamomile (Matricaria chamomilla L.) Extracts)

  • 조영제;윤소정;김정환;천성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46-450
    • /
    • 2005
  • 캐모마일(Matricaria chamomilla L.)을 성인병 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소재로 이용하기 위하여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추출물의 phenol 함량은 열수추출물이 $23.64{\pm}0.35\;mg/g$이었으며, $60\%$ 알콜추출물은 $24.98{\pm}0.20\;mg/g$으로 $60\%$ 알콜추출물의 phenol 함량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캐모마일의 HPLC 분석 결과 생리활성 효과가 높은 rosemarinic acid, quercetin의 함량이 많은 것으로 보아 생리활성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각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DPPH가 열수추출물과 $60\%$ 알콜추출물이 각각 $91.05\%$$95.49\%$로 높게 나타났고,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PF)는 열수추출물이 $0.71\pm0.02$로 지용성 물질에 대한 항산 화력은 낮았으나, $50\%$ 알콜추출물은 $1.48\pm0.03$으로 높은 PF를 나타내어 열수추출물보다는 $60\%$ 알콜추출물이 지용성에 대한 항산화력이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Helicobater pylori에 대한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열추추출물의 경우 clear zone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60\%$ 알콜추출물의 경우 $200{\mu}g/mL$ mL의 농도일 때 9.42 mm의 clear zone이 관찰되어 $60\%$ 알콜추출물에서만 낮은 저해활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CE 저해효과는 열수추출물이 $87.98\%,\;60\%$ 알콜추출물이 $91.36\%$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높은 고혈압 효과를 나타내었다. XOase에 대한 억제효과는 열수추출물이 $73.48\%,\;60\%$ 알콜추출물이 $81.96\%$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XOase에 대한 높은 저해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캐모마일의 $60\%$ 알콜추출물이 항산화제, 고혈압 및 항관절염 소재로의 개발이 기대되어었다.

후박 및 은행잎 추출물의 향균, 향염 및 세포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BIOLOGICAL EFFECT OF MAGNOLIA AND GINKGO BILOBA EXTRACT TO THE ANTIMICROBIAL, ANTIINFLAMMATORY AND CELLULAR ACTIVITY)

  • 정종평;구영;배기환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5권3호
    • /
    • pp.478-486
    • /
    • 1995
  • Periodontal therapy for treatment of periodontitis involves the elimination of bacterial plaque and elimination of the anatomic defects by regenerative proced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on the biological effect of magnolia and Ginkgo biloba extract to the antimicrobial, antiinflammatory and cellular activity. Antimicrobial assay was performed with the diffusion method of the extract by measuring of growth inhibitory zone of B. cereus from blood agar plate. Effect of the extract to cellular activity of gingival fibroblast were examined using MTT method and measured the result with optical density on 570nm by ELISA reader. Inhibitory effects of $PGE_2$ production from gingival fibroblast was performed with the addition of $IL-l{\beta}$ and the extract to the well and examined to the product of $PGE_2$ from cell by ELISA reader. In vivo anti-inflammatory effect was performed with injection examined with clinically and histologically for their extent of mecrosis and inflammation. Antimicrobial activity of Magnolia extrac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ctivity than that of control. However, GBE did not showed significant activity to compare with control, and mixture of Magnolia and GBE extrac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ctivity than that of control. The effect of cellular activity to gingival fibroblas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between control and Magnolia extract. However, GB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cellular activity to compare with control and even to PDGF-BB, and also showed same degree of cellular activity even though mixed with Magnolia extract. The inhibitory effect of $PGE_2$ production showed significantly reduction of $PGE_2$ production to compare with control, but its inhibitory effect was not much strong to compare with Indomethacin. In vivo, antiinflammatory effect of Magnolia extract to P. gingivalis injection of Hamster buccal check showed significantly reduction of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and tissue necrosis, but GBE showed no effect on the inhibition of inflammatory proces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agnolia and GBE extract possessed different kind of biological activity and also can be compensated on their activity with each other for elimination of bacterial plaque and anatonical defect.

  • PDF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 sulfated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an enzymatic digest of brown seaweed Sargassum horneri in RAW 264.7 cells

  • Sanjeewa, Kalu Kapuge Asanka;Fernando, Ilekkuttige Priyan Shanura;Kim, Eun-A;Ahn, Ginnae;Jee, Youngheun;Jeon, You-J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1권1호
    • /
    • pp.3-10
    • /
    • 2017
  • BACKGROUND/OBJECTIVES: Sargassum horneri is an edible brown alga that grows in the subtidal zone as an annual species along the coasts of South Korea, China, and Japan. Recently, an extreme amount of S. horneri moved into the coasts of Jeju Island from the east coast of China, which made huge economic and environmental loss to the Jeju Island. Thus, utilization of this biomass becomes a big issue with the local authoritie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potential of crude polysaccharides (CPs) extracted from S. horneri China strain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MATERIALS/METHODS: CPs were precipitated from S. horneri digests prepared by enzyme assistant extraction using four food-grade enzymes (AMG, Celluclast, Viscozyme, and Alcalase). The production levels of nitric oxide (NO)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cluding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and interleukin (IL)-$1{\beta}$ were measured by Griess assay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pectively. The level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nuclear factor (NF)-${\kappa}B$, an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were measured by using western blot. The IR spectrums of the CPs were recorded using a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spectrometer. RESULTS: The polysaccharides from the Celluclast enzyme digest (CCP) showed the highest inhibition of NO production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IC_{50}$ value: $95.7{\mu}g/mL$). Also, CCP dose-dependently down-regulated the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iNOS and COX-2 as well as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including TNF-${\alpha}$ and IL-$1{\beta}$, compared to the only LPS-treated cells. In addition, CCP inhibited the activation of NF-${\kappa}B$ p50 and p65 and the phosphorylation of MAPKs, including p38 an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Furthermore, FT-IR analysis showed that the FT-IR spectrum of CCP is similar to that of commercial fucoidan.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CCP has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nd is a potential candidate for the formulation of a functional food ingredient or/and drug to treat inflammatory diseases.

컴포머의 재석회화 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REMINERALIZING EFFECT OF COMPOMERS)

  • 정회민;김용기;김종수;권순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98-508
    • /
    • 2002
  • 소아치과 임상에서 심미수복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컴포머의 불소 유리양상과 수복물 인접 우식법랑질에 대한 재석회화 효과를 평가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 복합 레진인 Z-100을 I 군으로, 양성 대조군으로 글라스 아이오노머인 Fuji II LC를 IV군으로 설정하였으며, 실험군으로는 Dyract AP와 F-2000을 II군과 III군으로 설정하였다. 불소 유리량의 측정을 위하여 각 군에 따라 동일한 디스크를 제작하여 증류수에 담근 후 1일부터 14일까지 매일 측정하였다. 또한 협면이 건전한 우전치를 대상으로 인공 우식을 유발시킨 후 각 군별로 수복물을 충전한 다음 가철성 장치에 이를 부착하여 구강 내에서 2주간 유지시킴으로써 수복물 주위 우식법랑질에 대한 각 수복재의 재석회화 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I군은 불소 유리를 하지 않았으며, IV군에서 가장 높은 불소 유리량을 보였다(p<0.05). II군과 III군은 IV군보다 낮은 불소 유리량을 보였으며(p<0.05), III군이 II군보다 불소 유리량이 많았다(p<0.05). 편광 현미경 관찰 결과 모든 군에서 병소가 거의 소실되거나 흔적만 남아있는 양상이 다수 관찰되어 각 군 공히 상당한 재석회화가 일어났음을 보여주었다. 한편, I군과는 달리 II, III, IV 군에서는 수복물의 변연부에 Inhibition zone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II, III, IV 군으로 갈수록 재석회가 충실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미세경도 측정 결과 우식부위가 대조부위보다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II, III, IV 군의 경우 수복물 인접부의 미세경도치는 대조부의 수치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수복물 변연에서 멀어지면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 PDF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강한 항균제인 새로운 N1-치환된 5-Cyano-pyrimidine 유도체의 합성 (Microwave Assisted Synthesis of New N1-Substituted 5-Cyano-pyrimidine Derivatives as Potent Antimicrobial Agents)

  • Pore, Yogesh;Patil, Gaurav;Tamboli, Ijaj;Chavan, Vaibhav;Kamble, Kirti;Nikam, Shital;Kuchekar, Bhanudas
    • 대한화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30-35
    • /
    • 2008
  • 연구의 목적은 N1과 6번 자리에 다른 치환기를 가진 5-cyano가 치환된 pyrimidine 아날로그의 새로운 시리즈의 합성과 그것들의 항균성과 항진균성의 활성도에 대해 평가하기 위해서이다. 이 화합물은 MORE technique 를 이용한 potassium carbonate 의 존재하에서 ethylcyanoacetate, 치환된 thioureas, 적당한 알데히드의 제 3차 축합으로 합성 되어졌다. 항균성과 항진균성의 활성도는 25 mg의 농도에서 cup-plate 방법으로 측정되었다. 억제구역은 mm로 측정 되어졌다. 모든 화합물은 좋은 항균성과 항진균성을 보여주었다. P1과 P5는 S.aureus과 E.coli에 대해 최대 활성도를 보여주었고, P6은 모든 종류의 미생물에 대해 좋은 활성도를 보여주었다. P8 화합물은 C. albicans 에 대해 좋은 효과가 있음을 알아냈다. Norfloxacin와 griseofulvin는 합성된 화합물의 활성도와 비교되는 기준물질로 사용되었다. 6번 자리에 p-hydroxy와 p-methoxy로 치환된 phenyl moiety를 가진 gram-양성 미생물에 대해 강력했고, 6번 자리에 이것들이 없는 phenyl moiety 를 가진 아날로그는 gram-음성 활성도를 가졌다,6번 자리에 p-dimethylamino로 치환된 phenyl moiety를 가진 화합물은 적당한 활성을 보여준다.. 게다가 N1자리에서 단지 fluorine을 포함한 아날로그는 상당한 항진균성을 가졌음을 밝혀냈다. N1자리에서 aryl moiety 의 전자 끌게 치환과 마찬가지로 전자 주게 치환은 화합물의 결정된 능력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제시한다.

시화호와 시화호 주변 해역 식물플랑크톤의 대증식과 일차 생산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Phytoplankton Bloom and Primary Productivity in Lake Shihwa and Adajcent Coastal Areas)

  • 최중기;이은희;노재훈;허성회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권2호
    • /
    • pp.78-86
    • /
    • 1997
  • 시화 방조제 건설 후 급속도로 오염되고 있는 시화호 내의 식물플랑크톤 대증식 현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5년 10월부터 1996년 8월까지 시화호 내외에서 환경요인들과 식물플랑크톤 chlorophyll-a, 현존량, 우점종, 일차생산력 등을 4계절 조사하였다. 시화호는 부영양화된 기수호의 성격을 띄고 있으며 저층에는 밀도가 높은 잔류해수가 남아있다. 시화호의 표층에서 육상으로부터 유입된 오염된 하천수의 영향으로 chlorophyll-a 농도가 평균 168.0 ${\mu}g\;l^{-1}$에 이르는 식물플랑크톤 대증식 현상이 연중 지속적으로 일어났다. 식물플랑크톤의 대증식은 추계와 동계에는 돌말류 Cyclotella atomus 에 의해 주로 일어났고, 춘계와 하계에는 와편모류 Prorocentrum minimum 등과 황갈조류 등에 의해 일어났다. 시화호 바깥해역에서도 시화호수의 방류로 통계에서 하계에 걸쳐 돌말류 Thalassiosira nordenskioeldii, Skeletonema costatum, Chaetoceros sp. 등에 의해 대증식이 계속 일어났다. 시화호의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일차생산력은 연평균 3,972 mgC $m^{-2}\;day^{-1}$로 높게 일어났다. 그러나 일차생산력의 대부분은 표층에서의 높은 광흡수로 수심 3 m 내로 국한되고, 추계와 동계에는 규산염이 제한요인으로 작용하여 더 이상 높게 나타나지 못하였다. 저층에서는 광제한 등으로 광합성 작용이 거의 없었고, 표층에서 떨어진 유기물이 분해되어 산소가 고갈되는 양상을 보였다.

  • PDF

Streptomyces exfoliatus가 생성하는 mutanase에 의한 인공치태 억제 작용 (INHIBITION OF ARTIFICIAL PLAQUE BY MUTANASE PRODUCED FROM Streptomyces exfoliatus)

  • 송도원;양규호;정진;오종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449-459
    • /
    • 1997
  • Streptomyces exfoliatus의 mutan 분해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 알아 보고자 blue mutan 을 이용한 실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Blue mutan이 들어 있는 배지에서 Streptomyces exfoliatus에 의한 투명대를 봄으로써 mutanase 의 분비를 확인할 수 있었다. Blue mutan이 들어 있는 여러 종류의 배지 중에서 minimal essential agar 상에서 Streptomyces exfoliatus가 투명대를 형성하였다. Minimal essential broth의 pH가 7.0일 때 pH가 5.5나 8.5일 때보다 blue mutan이 잘 분해되었으며, 배양 온도가 $37^{\circ}C$$32^{\circ}C$$42^{\circ}C$ 때보다 잘 분해되었다 (P<0.05). Minimal essential broth 에서의 blue mutan의 분해는 $CaCl_2$ 농도가 증가할 수록 (P<0.05), KCl 농도가 10mM일 때 증가하였으나, $MgCl_2$ 농도는 0.1mM에서 6.4mM의 범위에서 비슷하였다. Streptomyces exfoliatus 배양 상청액을 0.5% yeast extract와 10% sucrose를 첨가한 2배의 BHI broth에 가한 경우 교정용 wire상에서의 Streptococcus mutans에 의한 인공치태 형성이 유의성있게 억제되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Streptomyces exfoliatus에서 생성되는 배양 상청액내의 mutanase 가 인공치태 형성에 억제 작용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Humic Acid Confers HIGH-AFFINITY K+ TRANSPORTER 1-Mediated Salinity Stress Tolerance in Arabidopsis

  • Khaleda, Laila;Park, Hee Jin;Yun, Dae-Jin;Jeon, Jong-Rok;Kim, Min Gab;Cha, Joon-Yung;Kim, Woe-Yeon
    • Molecules and Cells
    • /
    • 제40권12호
    • /
    • pp.966-975
    • /
    • 2017
  • Excessive salt disrupts intracellular ion homeostasis and inhibits plant growth, which poses a serious threat to global food security. Plants have adapted various strategies to survive in unfavorable saline soil conditions. Here, we show that humic acid (HA) is a good soil amendment that can be used to help overcome salinity stress because it markedly reduces the adverse effects of salinity on Arabidopsis thaliana seedlings. To identify the molecular mechanisms of HA-induced salt stress tolerance in Arabidopsis, we examined possible roles of a sodium influx transporter HIGH-AFFINITY $K^+$ TRANSPORTER 1 (HKT1). Salt-induced root growth inhibition in HKT1 overexpressor transgenic plants (HKT1-OX) was rescued by application of HA, but not in wild-type and other plants. Moreover, salt-induced degradation of HKT1 protein was blocked by HA treatment. In addition, the application of HA to HKT1-OX seedlings led to increased distribution of $Na^+$ in roots up to the elongation zone and caused the reabsorption of $Na^+$ by xylem and parenchyma cells. Both the influx of the secondary messenger calcium and its cytosolic release appear to function in the destabilization of HKT1 protein under salt stres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HA could be applied to the field to enhance plant growth and salt stress tolerance via post-transcriptional control of the HKT1 transporter gene under saline conditions.

콩나물 부패병 방제를 위해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길항균 Pseudomonas fluorescens의 이용 (Isolation and Utilization of Antagonistic Pseudomonas fluorescens from Soils for the Protection of Soybean Sprouts Rot)

  • 김진호;주길재;최용화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0-56
    • /
    • 2001
  • 부패된 콩이나 콩나물에 존재하는 33종$(K-1{\sim}K-33)$의 각종 미생물로부터 콩나물 부패에 관여하는 세균(K-17)과 진균(K-28)을 각각 1종류씩 분리하였으며, 이들은 각각 Erwinia carotovora와 Fusarium sp.로 동정하였다. 콩나물 부패균에 길항하는 미생물은 각종 토양 균원시료로부터 분리한 350여종의 세균을 이용하여 콩나물 부패세균인 K-17 균주와 진균인 K-28 균주에 각각 길항력을 나타내는 J-232 세균을 최종 선발하였다. 길항균 J-232는 Pseudomonas fluorescens로 동정되었다. 콩나물 부패균 E. carotovora K-17과 Fusarium sp. K-28의 배양액으로 재배한 콩나물은 시루 아랫부분이 부패하였으나, 길항균 P. fluorescens J-232는 PDA 한천배지에서도 부패균들의 생육을 억제하였을 뿐만아니라 길항균 배양여액을 단독으로 콩나물재배에 처리할 경우에도 시루 내 콩나물은 부패되지 않았다. 콩나물 부패균 E. carotovora K-17과 Fusarium sp. K-28의 배양액에 길항균 P. fluorescens J-232의 배양액을 원액 또는 500배까지 희석하여 침지한 후 재배한 콩나물도 전혀 부패되지 않았으며 생육이 약간 촉진되는 경향이었다.

  • PDF

브로콜리 품종 및 부위에 따른 항균활성과 항산화 효과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Different Parts and Cultivars of Broccoli)

  • 박미영;윤무경;곽정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3호
    • /
    • pp.408-41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브로콜리 품종 및 부위에 따른 항균활성 및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브로콜리 11개 품종에 대해 그람 양성균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2종과 그람 음성균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enteritidis 2종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S. aureus에 대해 AMG 품종의 화뢰 추출물이 12.83mm, 잎 추출물 13.00 mm로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으나 부위별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 monocytogenes의 경우, 화뢰 추출물은 NJ 품종이 13.58mm, 잎 추출물은 YDR 품종이 13.92mm로 가장 큰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저해환의 평균값이 화뢰는 12.85mm, 잎은 13.17mm로 다른 4종의 균 중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E. coli O157:H7에 대해서는 Grd 품종의 화뢰와 잎 추출물 모두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으나, 부위별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S. enteritidis는 화뢰추출물은 NJ 품종이 12.67mm, 잎 추출물은 NY, 0c 품종이 12.75mm의 저해환을 보였으며, 잎 추출물이 화뢰 추출물에 비해 높은 항균활성을 보여주었다. 품종별 항산화 효과를 살펴보면, 화뢰 추출물은 NJ 품종이 39.90%, 잎 추출물은 0c 품종이 43.64%로 가장 높았으며, 부위별 평균값은 화뢰추출물 23.35%, 잎 추출물 35.91%를 나타내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가 약 1.5배 높게 나타났다. NJ 품종을 제외하고 모든 품종에서 잎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이 화뢰 추출물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