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onal distribution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2초

MODIS LAI 데이터를 이용한 툰드라-타이가 경계의 식생 공간분포분석 (Vegetation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of Tundra-Taiga Boundary Using MODIS LAI Data)

  • 이민지;한경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5호
    • /
    • pp.27-3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툰드라-타이가 경계영역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식생의 분포 변화를 관측하였다. 툰드라-타이가 경계영역은 인간 활동 혹은 기후 변화에 따른 신호로 나타나는 식생패턴의 이동을 관측하기 위해 사용된다. 극지의 툰드라-타이가 경계영역은 조금의 변화에 대해서도 두드러진 반응을 관찰 할 수 있으므로 다른 곳에 비해 기후변화에 대한 반응과 확인이 명확하다. 연구 자료로서 2000년에서 2009년까지 총 10년간 매년 8월을 Terra위성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센서로부터 취득한 LAI(Leaf Area Index) 8-Day 자료를 사용하였고, 보조 자료로서 기후지도와 GLC 2000(Global Land Cover 2000)토지피복 지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엽면적 지수의 10년치 장기간 자료를 이용하여 시 공간 분석과 식생의 밀도가 저조한 지역을 중심으로 위도대 별, 토지피복 별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대상 지역에 대하여 엽면적 지수의 기준값을 바탕으로 한 분석에서 2000년에서 2009년까지 LAI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툰드라 기후에서 식생의 감소가 일어난 면적($22,372km^2$) 보다 식생의 성장을 보인 면적은 $730,325km^2$ 로서 식생의 발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위도대 별 면적 분석을 통해 위도 $62^{\circ}$ N의 주위와 위도 $64^{\circ}$ N~$66^{\circ}$ N을 중심으로 면적 증가가 나타났으며, 툰드라-타이가 경계영역의 식생은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전반적인 증가 추세가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식생 감소가 일어나는 면적 변화는 다소 적은 것에 비해 식생의 성장과 발달이 일어나는 곳의 면적은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경상북도 북후면-평은면 지역에 발달된 예천전단대의 구조적 특성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Yecheon Shear Zone in the Pukhumyeon-Pyeongeunmyeon area, Gyeongsangbukdo, Korea)

낙동강 하구 모래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와 분포양상 (Faunal Composition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Macrozoobenthos in the Tidal Flat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 서진영;최진우;신경순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1-91
    • /
    • 2020
  • 낙동강 하구 울타리섬 주변 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분포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2016년과 2017년 5월에 신자도, 진우도, 을숙도에서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해역에서는 31~39종의 대형저서동물이 출현하였고, 서식밀도는 789~1,644 ind.m-2의 범위를 보였다. 출현종수는 신자도에서 가장 높았으나, 서식밀도는 신자도에서 가장 낮았고, 진우도에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은 갑각류의 Gammaridae unid., 다모류의 Scoletoma heteropoda, Scoloplos armiger, Heteromastus filiformis, Prionospio japonica, 연체동물의 댕가리(Batillaria cumingii), Laternula marilina 등이었다. 세 지역 모두 갯벌의 상부지역에서는 갑각류와 연체동물의 비중이 높았고, 하부로 갈수록 다모류의 비중이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육식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나, 니질 퇴적물의 함량이 높은 지역에서는 퇴적물 안정화에 기여하는 tube-builder가 속한 표층 퇴적물 식자의 비중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낙동강 하구 모래갯벌의 대형저서생물상은 국내 다른 하구 모래갯벌이나 조간대 모래갯벌의 생물상과 유사한 종조성과 분포양상을 보였다.

북서태평양의 표층엽록소 변동성 (Variability of Surface Chlorophyll Concentration in the Northwest Pacific Ocean)

  • 박지수;석문식;윤석;유신재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0권3호
    • /
    • pp.277-287
    • /
    • 2008
  • We collected information on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bility of surface chlorophyll a concentration between 1997-2007 from the Northwest Pacific Ocean. Satellite data were used to acquire chlorophyll a and sea surface temperature from six regions: East Sea/Ulleung Basin, East China Sea, Philippin Sea, Warm Pool region, Warm Pool North region, and Warm Pool East region. Mixed layer depth (MLD) was calculated from temperature profiles of ARGO floats data in four of the six regions during 2002-2007. In the East Sea/Ulleung Basin, seasonal variability of chlorophyll a concentration was attributed to seasonal change of MLD,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hlorophyll a concentration and MLD in the Warm Pool region. Interannual anomaly in sea surface temperature were similar among the East Sea, East China Sea, Philippin Sea, and Warm Pool North region. The anomaly pattern was reversed in the Warm Pool East region. However, the anomaly pattern in the Warm Pool region was intermediate of the two patterns. In relation to chlorophyll a, there was a reversed interannual anomaly pattern between Warm Pool North and Warm Pool East, while the anomaly pattern in the Warm Pool region was similar to that of Warm Pool North except for the El $Ni\tilde{n}o$ years (1997/1998, 2002/2003, 2006/2007). However, there was no distinct relationship among other seas. Interestingly, in the Warm Pool and Warm Pool East regions, sea surface temperature showed a pronounced inverse pattern with chlorophyll a. This indicates a strong interrelationship among sea surface temperature-MLD-chlorophyll a in the regions. In the Warm Pool and Warm Pool East, zonal distribution of chlorophyll a concentration within the past 10 years has shown a good relationship with sea surface temperature which reflects ENSO variability.

동해 연안역 해수순환에 대한 바람응력 효과 (The Effect of Wind Stress in the Southwestern Coastal Waters of the Japan Sea)

  • 장선덕;김종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38-548
    • /
    • 1993
  • 한국 동해 연안역 해수순환 및 수온분포에 대한 바람응력의 효과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동해상의 바람응력은 국립수산진흥원 정선관측 바람자료 및 일본기상청 Buoy No. 6에서의 10년간($1978{\sim}1987$)의 약 5,100개의 바람 관측자료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여름과 겨울의 계절풍의 전환에 따른 에크만 수송의 변화가 대한해협에서의 대마난류 수송량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특히 동해에서의 평균적인 바람응력의 회전성(wind stress curl) 값이 음이 되는 사실에서 울릉도 근해의 난수층의 형성에 부분적으로 도움이 됨을 알았다. 한편, 동해 난수층의 분포를 단순화된 3층 경계면모델을 적용하여 설명하였다.

  • PDF

대류 중력파 항력 모수화에 미치는 연직 해상도의 영향 (Effects of vertical resolution on a parameterization of convective gravity waves)

  • 최현주;전혜영
    • 대기
    • /
    • 제18권2호
    • /
    • pp.121-136
    • /
    • 2008
  • We investigate effects of vertical resolution on a parameterization of convective gravity waves (SGWDC) developed in Song and Chun (2005) through offline and online tests of the SGWDC parameterization. For offline tests, numerical simulations of the SGWDC parameterization with different number of vertical levels (L66, L117, L168, L219 and L270) from the surface to 120 km are performed for two different saturation methods. It is found that the wave momentum forcing is overestimated or underestimated in the SGWDC parameterization with different vertical resolutions, depending on the saturation methods. The increase of the vertical resolution modifies the magnitude and distribution of the wave momentum forcing in the parameterization, and this is mainly due to modification of wave saturation levels in the wave saturation processes. However the wave momentum forcing converges in the parameterizations with vertical resolutions higher than L168. For online test, the SGWDC parameterizations with vertical resolutions of L66 and L164 are implemented into a climate model with vertical resolution of L66, separately. In the L164 experiment, the wave momentum forcing decreases in the mid-latitude winter mesosphere in July and zonal mean flows are more realistically reproduced in the tropical regions compared with those in the L66 experiment.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wave momentum forcing calculated in the parameterization is sensitive to the vertical resolu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SGWDC parameterization into high resolution models is required for realistic representation of the gravity wave momentum forcing in large-scale numerical models.

지구관측 위성자료를 이용한 주요 대기 에어러솔 성분의 공간분포 분석 (Spatial Analysis of Major Atmospheric Aerosol Species Using Earth Observing Satellite Data)

  • 이권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9-127
    • /
    • 2011
  • 대기 에어러솔은 대기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로 인체 유해성을 지니고 있으며 기후변화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변수로 알려져 있다. 게다가 대기 에어러솔의 주요 성분에 대한 정확한 평가는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 때문에 지구관측 위성자료는 대기질 감시측면에서도 효과적인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위성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전구적인 규모의 대기 에어러솔의 주요 성분별 분포변화를 알아보고자 MODIS 에어러솔 광학두께(AOT; Aerosol Optical Thickness)와 미세입자분율(FMF; Fine Mode Fraction), 그리고 TOMS 자외선 흡수성 에어러솔 지수(AAI; UV Absorbing Aerosol Index)를 이용하여 네 가지의 주요 에어러솔의 성분(먼지, 탄소성, 황산화물, 해염)을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결과물을 검증하기 위하여 에어러솔 예측 모델자료와 각 격자별 자료로 선형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본 연구에서 산출된 결과물이 에어러솔의 성분별 전반적인 패턴을 잘 표현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렇게 주요 에어러솔 타입으로 구분된 위성자료의 사용은 대기질 감시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연구에 있어서도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First Comparison of Mesospheric Winds Measured with a Fabry-Perot Interferometer and Meteor Radar at the King Sejong Station (62.2°S, 58.8°W)

  • Lee, Wonseok;Kim, Yong Ha;Lee, Changsup;Wu, Qian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5권4호
    • /
    • pp.235-242
    • /
    • 2018
  • A Fabry-Perot interferometer (FPI) for mesospheric observations was installed at King Sejong Station ($62.2^{\circ}S$, $58.9^{\circ}W$) in Antarctica in 2017. For the initial validation of the FPI measurements, we compare neutral wind data recorded with the FPI with those from a Meteor Radar (MR) located nearby.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FPI and MR winds of both OH 892.0 nm (87 km) and OI 557.7 nm (97 km) airglow layers are similar. The FPI winds of both layers generally match the MR winds well on the observed days, with a few exceptions.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he FPI and MR wind data shows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the zonal winds at 87 and 97 km are 0.28 and 0.54, respectively, and those for the meridional winds are 0.36 and 0.54, respectively.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airglow emissions has a Gaussian function with respect to the altitude, we calculated the weighted mean winds from the MR wind profile and compared them with the FPI winds. By adjusting the peak height and full width at half maximum of the Gaussian function, we determined the change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winds. The best correlation for the OH and OI airglow layers was obtained at a peak height of 88-89 km and 97-98 km, respectively.

서울시 미세먼지 관측망 위치 적정성 평가를 위한 공간정보 활용방안 (Spatial Information Application Case for Appropriate Location Assessment of PM10 Observation Network in Seoul City)

  • 정종철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7권2호
    • /
    • pp.175-184
    • /
    • 2017
  • 최근 미세먼지는 국내에서 중요한 사안으로 되어가고 있다. 왜냐하면 미세먼지는 호흡기 질환, 안과 질환과 같은 수많은 질병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GIS 공간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PM10 관측소의 위치에 대한 적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공간정보의 활용 사례를 제시하였다. 미세먼지 측정소 최적 위치를 평가하기 위한 공간정보 활용사례는 국가 공간자료와 건강위해성과 밀접하게 관련있는 PM10 측정 자료의 최적 위치와 함께 조사되었다. 서울시에는 31개 관측소가 있으며, 이들 측정소에서 관측된 PM10 자료를 가지고 추정된 PM10 농도는 공간보간기법을 적용하여 적정한 측정소 위치평가기법을 제시하는데 적용하였다. 서울시에서 PM10 측정망의 농도지도와 IDW와 크리깅 방법으로 추정된 농도는 강우량, 유동인구, 초등학교 위치정보와 같은 국가공간정보와 비교하였다. 일평균, 계절평균, 연평균 등의 PM10 농도는 현재의 PM10 측정소 위치와 위치적정성을 분석하는데 사용하였다. PM10농도는 2015년 유동인구와 지역 통계분석법에 적용된 계산된 PM10 분포와 비교하였다. 국가공간데이터는 PM10 오염분포와 부가적인 PM10 모니터링 사이트를 분석하는데 적용 가능하였다. 본 연구의 향후 연구과제는 PM10 모니터링 측정소의 새로운 위치를 선정하는데 사용된 국가공간정보의 활용성을 제안하는데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