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irconia restorations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2초

Effect of the shades of background substructures on the overall color of zirconia-based all-ceramic crowns

  • Suputtamongkol, Kallaya;Tulapornchai, Chantana;Mamani, Jatuphol;Kamchatphai, Wannaporn;Thongpun, Noparat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5권3호
    • /
    • pp.319-325
    • /
    • 2013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color of a background substructure on the overall color of a zirconia-based all-ceramic crown.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one posterior zirconia crowns were made for twenty subjects. Seven premolar crowns and six molar crowns were cemented onto abutments with metal post and core in the first and second group. In the third group, eight molar crowns were cemented onto abutments with a prefabricated post and composite core build-up. The color measurements of all-ceramic crowns were made before try-in, before and after cementation. A repeated measure ANOVA was used for a statistical analysis of a color change of all-ceramic crowns at ${\alpha}$=.05. Twenty four zirconia specimens, with different core thicknesses (0.4-1 mm) were also prepared to obtain the contrast ratio of zirconia materials after veneering. RESULTS. $L^*$, $a^*$, and $b^*$ values of all-ceramic crowns cemented either on a metal cast post and core or on a prefabricated post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P>.05). However, the slight color changes of zirconia crowns were detected and represented by ${\Delta}E{^*}_{ab}$ values, ranging from 1.2 to 3.1. The contrast ratios of zirconia specimens were 0.92-0.95 after veneering. CONCLUSION.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L^*$, $a^*$, and $b^*$ values of zirconia crowns cemented either on a metal cast post and core or a prefabricated post and composite core. However, the color of a background substructure could affect the overall color of posterior zirconia restorations with clinically recommended core thickness according to ${\Delta}E{^*}_{ab}$ values.

In vitro evaluation of fracture strength of zirconia restoration veneered with various ceramic materials

  • Choi, Yu-Sung;Kim, Sung-Hun;Lee, Jai-Bong;Han, Jung-Suk;Yeo, In-Sung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4권3호
    • /
    • pp.162-169
    • /
    • 2012
  • PURPOSE. Fracture of the veneering material of zirconia restorations frequently occurs in clinical situations. Th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compare the fracture strengths of zirconia crowns veneered with various ceramic materials by various techniques. MATERIALS AND METHODS. A 1.2 mm, $360^{\circ}$ chamfer preparation and occlusal reduction of 2 mm were performed on a first mandibular molar, and 45 model dies were fabricated in a titanium alloy by CAD/CAM system. Forty-five zirconia copings were fabricated and divided into three groups. In the first group (LT) zirconia copings were veneered with feldspathic porcelain by the layering technique. In the second group (HT) the glass ceramic was heat-pressed on the zirconia coping, and for the third group (ST) a CAD/CAM-fabricated high-strength anatomically shaped veneering cap was sintered onto the zirconia coping. All crowns were cemented onto their titanium dies with Rely $X^{TM}$ Unicem (3M ESPE) and loaded with a universal testing machine (Instron 5583) until failure. The mean fracture values were compared by an one-way ANOVA and a multiple comparison post-hoc test (${\alpha}$= 0.05).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was used to investigate the fractured interface. RESULTS. Mean fracture load and standard deviation was $4263.8{\pm}1110.8$ N for Group LT, $5070.8{\pm}1016.4$ for Group HT and $6242.0{\pm}1759.5$ N for Group ST. The values of Group S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CONCLUSION. Zirconia crowns veneered with CAD/CAM generated glass ceramics by the sintering technique are superior to those veneered with feldspathic porcelain by the layering technique or veneered with glass ceramics by the heat-pressing technique in terms of fracture strength.

치과용 지르코니아의 발전 (Development of dental zirconia)

  • 김성훈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7
    • /
    • 2023
  • 1990년대 말부터 치과보철 수복에 응용된 초창기 지르코니아는 코핑 형태로 사용되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보철 수복물은 기존의 다른 심미 금속 수복물의 구조물이나 프레임 역할을 하는 금속이 없어서 자연스러움이 필요한 전치부에 성공적으로 사용되었으나 구치부에서는 기능중에 상부 비니어링 포세린의 파절로 그 사용에 한계가 있었다. 그후 여기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강한 코핑 재료를 전체 보철물의 형태로 제작하는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수복물이 제안되었다. 이것은 강한 힘에 대한 저항은 뛰어나지만 매우 희고 불투명한 지르코니아의 특성상 조금은 비심미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현재는 지르코니아의 투명도를 높이는 기술적인 진보로 구치부뿐만 아니라 전치부에서 강하면서도 심미적인 지르코니아 수복물 제작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개발된 여러 종류의 지르코니아 재료의 구조적 특징을 알고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지르코니아 제품이 어디에 속하는지 설명한다.

지르코니아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지지 단일 크라운과 연결 크라운의 보철적 합병증 (Technical complications of cement-retained implant-supported single crowns and splinted crowns with zirconia frameworks)

  • 유상춘;배정윤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26-31
    • /
    • 2017
  • 목적: 지르코니아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지지 단일 크라운과 연결 크라운의 성공률과 보철적 합병증을 임상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67명의 환자에서 75개 수복물(단일 51개, 연결 24개)을 지르코니아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지지 단일 크라운 혹은 연결 크라운으로 수복했다. 모든 수복물은 임시 시멘트로 합착했다. 보철적 합병증과 성공률을 조사하고, 나이, 성별, 보철물의 위치, 대합치, 보철물의 유형이 보철적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했다. 결과:평균 22.2개월의 관찰 결과, 최종 누적 성공률은 66.9 (73.2 - 60.6)%였다. 유지 상실이 16개 보철물(단일 14개, 연결 2개)에서 나타났고, 지대주 나사 풀림과 비니어 도재 파절은 단일 크라운에서만 각각 2개의 보철물에서 나타났다. 단일 크라운과 연결 크라운에 대한 Kaplan-Meier 생존분석 결과, 최종 누적 성공률은 각각 58.9 (66.6 - 51.2)%, 87.5 (96.1 - 78.9)%를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다른 고려 요인들은 보철적 합병증에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보철적 합병증은 유지 상실이 가장 많았고, 지대주 나사 풀림 및 비니어 도재 파절은 단일 크라운에서만 비교적 적게 관찰되었다. 나이, 성별, 보철물의 위치, 대합치에 따른 보철적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상부 보철물을 연결 크라운으로 제작했을 때, 단일 크라운으로 제작한 경우보다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

시멘트 공간이 캐드캠 시스템으로 제작한 지르코니아 수복물의 변연과 내부 적합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ement space on the marginal and internal fit of zirconia restorations fabricated by CAD/CAM system)

  • 이정환;안재석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35-242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arginal and internal gap of zirconia copings fabricated by CAD/CAM system and to research the effect of cement space on the fit of zirconia prosthesis. Methods: Zirconia copings were designed using 3shape software and then milled from presintered zirconia blocks by Kavo dental milling machine. The cement space was set at $0{\mu}m$ around the margins for all groups, and additional cement space appling 1 mm above the finish lines of tooth. The sample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 cement space setting(Cs-0, Cs-40, Cs-80, Cs-120). Replica technique used to investigate marginal and internal gap. The silicone film thickness was recorded using a optical microscope with image software analysis system at 75${\times}$magnification. The assessment performed on the six points in bucco-lingual and mesio-distal sections(4 groups, 10 copings per group, 12 measuring points per coping).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one-way ANOVA followed by pair-wise Tukey's post hoc tests(${\alpha}$<0.05). Results: Better marginal and internal fit values were exhibited by $80{\mu}m$ cement space. The results showed that different cement space valu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marginal and internal gap of zirconia copings(p<0.001). The gap of margin and axial wall area was smaller than that the gap of occlusal area in all groups(p<0.001). Conclusion : Effect of different cement spaces on the marginal and internal gap of zirconia copings.

구치부 지지 상실로 인해 치아 마모와 부족한 수복 공간을 보이는 환자에서의 완전구강회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tooth wear and insufficient restorative space due to loss of posterior teeth support: a case report)

  • 김현섭;임영준;권호범;김명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72-81
    • /
    • 2024
  • 구치부 지지 상실로 부적절한 교합을 보이는 환자를 전악 보철 수복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교합수직고경의 증가와 중심위에서 안정된 교합을 나타내는 보철물의 제작이 필요하다. 본 증례는 대구치가 상실되고 치아 마모를 보이는 환자에서 임플란트 보철과 지르코니아 전부 전장관을 사용해 완전구강회복한 증례이다. 증가된 교합수직고경에의 적응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occlusal splint 및 임시 수복물이 사용됐으며, 임시 수복물의 전방 유도를 따르는 최종 보철물을 제작함으로써 안정된 교합 회복을 이룰 수 있었다.

디지털 구강스캐너로 모형 없이 제작한 전부지르코니아 수복물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 평가 (Evaluation of marginal and internal gap under model-free monolithic zirconia restoration fabricated by digital intraoral scanner)

  • 이종원;박지만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10-217
    • /
    • 2016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환자에서 디지털 구강스캐너로 모형 없이 제작한 보철물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전향적 임상시험으로 시행한 본 예비 연구는 총 11개의 수복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강스캐너(TRIOS, 3shape, Copenhagen, Denmark)로 디지털 구강인상을 채득한 후, 캐드 디자인 및 밀링 가공 과정을 통해 전부지르코니아 수복물을 제작하였다. 완성된 지르코니아관을 환자 구강 내에 시적하였고, 레플리카 술식으로 보철물-지대치 복제물을 얻었다. 이를 근원심, 협설 방향으로 잘라 변연오차, 변연간극과 축벽부, 선각부, 교합면부의 내면간극을 측정하였다. 통계처리는 Kruskal-Wallis 검정과 Mann-Whitney U 검정을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였다(${\alpha}=.05$). 결과: 복제물을 통한 적합도 분석 결과, 근원심, 협설 절편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변연간극에 불일치가 있었으며, 변연 오차가 변연간극 보다 컸다(P<.01). 결론: 본 연구의 한계 내에서, 구강스캐너로 모형 없이 제작한 전부지르코니아 수복물의 적합도는 임상적으로 허용할만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지르코니아관의 변연부위가 과풍융되는 경향이 있었으므로 주의 깊은 임상 적용 및 추적 연구가 요구된다.

지르코잔 프레타우 블럭을 이용한 Full Zirconia 수복 시 심미에 관한 임상적 소견 (Clinical remarks about esthetics in the case of full zirconia restoration utilizing Zirkonzahn Prettau® block)

  • 박종찬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0-46
    • /
    • 2013
  • 치과에서 수복물제작에는 지난 50년간 금속을 이용한 금속도재관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다 보니 심미적이고 생체 친화적이며 금속 알러지등의 문제로 인한 환자들의 사고의 변화에 따라서 'metal free restoration'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특히 그 동안 많이 사용되어왔던 귀금속 가격이 급등하여 더 이상 구강 내 수복 물로써 제 역할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되었으며, PFM수복은 술자로 하여금 chipping과 파절로 인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구치부 임플란트 수복물로써 보다 심미적이고 강도가 높은 재료의 요구로 인하여 그 어느 때보다 CAD/CAM이 주목을 받고 있다. Full zirconia 수복을 위해서 고려해야 할 사항은 1. 강도 2. 콤비네이션 작업은? 3. 빛 투과성은? 4. crack이 발생한 경우의 처치는? 5. 블럭의 색조 재현상은? 6. 대합치 마모도 7. 저온 열화 현상 등을 들 수가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블럭의 색조 재현상에 대해서 정리하고자 한다. Full zirconia 수복을 꺼려하는 가장 커다란 이유 중에 하나가 바로 기존의 PFM 수복과 비교했을 때 자연스러운 색조를 재현하기가 어렵다는 점이며, 교합 조정 후에 컬러링한 표면이 삭제된 후 나타나는 보기 싫은 블럭의 노출로 인하여 많은 임상가들이 꺼려하고 있다. 지르코잔의 블럭을 약 4년 여 동안 사용하면서 이러한 점들은 어느 정도 극복되어질 수 있는 문제라고 여겨지며, 어떻게 하면 그 가급적 주변 보철물 또는 자연 치아와의 조화 이룰 수 있는 수복물을 만들 수 있을 것인가에 관해 정리였다.

하악골 부분절제술 시행한 환자에서 CAD/CAM Zirconia Framework와 Monolithic Zirconia를 이용한 전악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in a patient with partial mandibulectomy using CAD/CAM zirconia framework and monolithic zirconia)

  • 마보영;박홍주;임영관;박찬;신진호;임현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79-285
    • /
    • 2017
  • 구강암에 대한 외과적 처치로 구강 내 광범위한 경조직, 연조직을 제거한 환자는 저작, 연하, 발음 등의 기능적 문제와 치열, 안모의 심미적 문제를 갖게 된다. 악골 재건 후에도 치조골 등 합병증으로 인해 가철성 보철물의 유지 및 지지를 받는데 제한적이다.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은 이러한 환자들에게 적절한 보철수복 방법이 되어 왔다. 본 증례는 하악 재건 후 computer-aided design과 computer-aided manufacturing을 이용하여 지르코니아 프레임워크 상부에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제작하여 현재 치열의 기능적, 심미적 회복을 하여 이에 보고하고자 한다.

Marginal fit of anterior 3-unit fixed partial zirconia restorations using different CAD/CAM systems

  • Song, Tae-Jin;Kwon, Taek-Ka;Yang, Jae-Ho;Han, Jung-Suk;Lee, Jai-Bong;Kim, Sung-Hun;Yeo, In-Sung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5권3호
    • /
    • pp.219-225
    • /
    • 2013
  • PURPOSE.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marginal accuracy of 3-unit zirconia fixed partial dentures (FPDs) fabricated by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D/CAM)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arginal fit of zirconia FPDs made using two CAD/CAM systems with that of metal-ceramic FPDs. MATERIALS AND METHODS. Artificial resin maxillary central and lateral incisors were prepared for 3-unit FPDs and fixed in yellow stone. This model was duplicated to epoxy resin die. On the resin die, 15 three-unit FPDs were fabricated per group (45 in total): Group A, zirconia 3-unit FPDs made with the Everest system; Group B, zirconia 3-unit FPDs made with the Lava system; and Group C, metal-ceramic 3-unit FPDs. They were cemented to resin dies with resin cement. After removal of pontic, each retainer was separated and observed under a microscope (Presize 440C). Marginal gaps of experimental groups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and Duncan test. RESULTS. Mean marginal gaps of 3-unit FPDs were $60.46{\mu}m$ for the Everest group, $78.71{\mu}m$ for the Lava group, and $81.32{\mu}m$ for the metal-ceramic group. The Everest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smaller marginal gap than the Lava and the metal-ceramic groups (P<.05). The marginal gap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the Lava and the metal-ceramic groups (P>.05). CONCLUSION. The marginal gaps of anterior 3-unit zirconia FPD differed according to CAD/CAM systems, but still fell within clinically acceptable ranges compared with conventional metal-ceramic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