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inc bioavailability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2초

Various expression patterns of pregnancy-associated plasma protein-A

  • Jeon, Eunjeong;Lee, Jihwan;Son, Junkyu;Kim, Doosan;Lim, Dajeong;Han, Man-Hye;Hwang, Seongsoo
    •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55-161
    • /
    • 2022
  • Pregnancy-associated plasma protein-A (PAPP-A) is known as an important biomarker for fetal abnormality during first trimester and has a pivotal role in follicle development and corpus luteum formation. And also, it is being revealed that an expression of PAPP-A in various cells and tissues such as cancer and lesion area. PAPP-A is the major IGF binding protein-4 (IGFBP-4) protease. Cleavage of IGFBP-4 results in loss of binding affinity for IGF, causing increased IGF bioavailability for proliferation, survival, and migration. Additionally, PAPP-A can be used as a promising therapeutic target for healthy longevity. Despite growing interest, almost nothing is known about how PAPP-A expression is regulated in any tissue. This review will focus on what is currently known about the zinc metalloproteinase, PAPP-A, and its role in cells and tissues. PAPP-A is expressed in proliferating cells such as fetus in uterus, granulosa cells in follicle, dermis in wound, cancer cells, and Sertoli cells in testis. They have common characteristics of proliferation faster than normal cells with stimulating IGFs action and inhibiting IGFBPs. The PAPP-A functions and expression studies in livestock have not yet been conducted much.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use PAPP-A as a marker for healthy longevity in animal science.

대두의 발효가 흰쥐의 단백질 및 무기질의 생체 이용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ermentation of Soybeans on the Protein and Mineral Bioavailability in the Rats)

  • 배영희;윤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8권2호
    • /
    • pp.139-146
    • /
    • 1985
  • 본 연구는 대두발효식품인 메주나 Tempeh를 식이로서 쥐에서 섭취시킨 후 대두의 발효가 단백질과 무기질의(Ca, Fe, Zn) 생체 이용율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저 하였다. 분리대두단백질 삶은콩, 메주 그리고 Tempeh를 단백질 급원으로 하는 식이를 횐 쥐에게 섭취하게 한 후 그에 따른 단백질 효율과 단백질 보유율, 그리고 무기질들의 생체 이용율을 조사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 Casein의 PER을 2.5로 환산한 값을 기준으로 한 C-PER은 ISP군(郡), 삶은콩군(郡), 메주군(郡), Tempeh군(郡)이 각각 1.82, 1.98, 2.11, 2.36이었으며 식이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2) 단백질 보유율은 casein군(郡), ISP군(郡), 삶은콩군(郡),메주군(郡), 그리고 Tempeh군(郡)이 각각 44.44%, 51.83%, 47.67%, 50.90% 그리고 45.97%이었고 식이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05). 3) Ca의 체내 보유율은 caseim군(郡) ISP군(郡), 삶은콩군(郡), 메주군(郡) 그리고 Tempeh군(郡)이 각각 62.26%, 59.22%, 61.59%, 55.78% 그리고 67.09%이었으며 식이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Fe의 체내 보유율은 casein군(郡), ISP군(郡), 삶은콩군(郡), 메주군(郡) 그리고 Tempeh군(郡)에서 각각 23.80%, 50.66%, 74.46%, 45.24% 그리고 56.14%이었다. 즉 이들은 식이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ISP군(郡)과 삶은콩군(郡), 삶은콩군(君)과 메주군(郡), 삶은콩군(郡)과 Tempeh군(郡)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5). Zn의 체내 보유율은 casein군(郡), ISP군(郡), 삶은콩군(郡), 메주군(郡) 그리고 Tempeh군(郡)에서 각각 58.66%, negative, 58.24%, 56.97%, 68.48%로서 이들은 식이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즉 ISP군(郡)과 삶은콩군(郡), 삶은콩군(君)과 메주군(郡), 삶은콩군(郡)과 Tempeh군(郡) 사이에서는 Zn보유량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4) 골격에서 무기질 함량을 비교해 본 결과 Casein군(郡), ISP군(郡), 삶은콩군(郡), 메주군(郡) 그리고 Tempeh군(郡)에서는 각 Ca, Fe, Zn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실험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발효에 의해 PER이나 단백질 보유율은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미량원소인 Zn의 이용율은 발효에 의해 체내 이용도가 높아질 수 있음이 나타났다.

  • PDF

Tempeh 제조시 Phytic Acid 함량변화 및 그에 따른 단백질, 무기질과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The Changes of Phytic Acid Content and its Interactions with Protein and Minerals in the Preparation of Tempeh)

  • 박은순;윤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6권4호
    • /
    • pp.281-286
    • /
    • 1983
  • 본 연구에서는 tempeh제조 과정중의 phytic acid함량 변화를 측정하였고 그에 따른 단백질, 무기질과의 상호작용을 조사하였다. 또한 한국인의 기호에 맞는 대두 발효식품의 소개를 목적으로 tenpeh의 수응도도 아울러 조사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 Tempeh제조시 회수율은 75.28 %였다. 2) 날콩, 삶은 콩, teulpeh의 총 인 함량은 $718.60{\sim}744.2mg%$로 각 시료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phytic acid p 함량은 날콩에 539.38 mg%, 삶은 콩에 462.28 mg%, tempeh에 348.64 mg%로 열처리나 발효에 의해 phytic acid p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아짐을 보였고 열처리보다는 발효에 의해 phytic acid p가 유의적으로 감소됨을 나타냈다. 3 ) 총 단백질 함량은 날콩과 tenlpeh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Ultrafiltration한 후 보유된 단백질 함량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단백질 g당 phytic acid mg양을 산출한 결과 Ultrafiltration한 후 retentate내의 phytic acid/protein ratio는 날콩에서 14.66 , tempeh에서 7.80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4 ) Ca의 함량은 날콩과 tempeh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나 Ultrafiltration한 후 retentate의 Ca보유율은 tenlpeh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Zn의 함량도 날콩과 tempeh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Ultrafiltradon한 후 retentate 내 Zn보유율은 tempeh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5) 관능검사 결과는 마늘을 첨가한 것이 냄새, general desirability 및 전체적 점수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그러나 두 시료 모두 색깔, 외관, 풍미, 질감, 냄새 및 general desirability에서 3.31이상의 좋은 평가를 받았으므로 tempeh가 새로운 식품으로 소개될때 별 저항없이 받아들여질 것으로 사료된다.

  • PDF

Bioaccumulation Patterns and Responses of Fleece-flower; Persicaria thunbergii to Cadmium and Lead

  • Kim, In-Sung;Kyung Hong kang;Lee, Eun-Ju
    • 한국생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태학회 2002년도 VIII 세계생태학대회
    • /
    • pp.119-125
    • /
    • 2002
  • Application of phytoremediation in the polluted area to remove undesirable materials is a complex and difficult subject without detailed investigation and experimentation. We investigated the accumulation patterns of cadmium and lead in plants naturally grown, the bioavailability of plants to accumulate these toxic metals and the responses of P. thunbergii to cadmium and lead. The soil samples contained detectable lead (<17.5$\mu\textrm{g}$/g), whereas cadmium was not detected in the soils of study area. The whole body of Persicaria thunbergii contained detectable lead (<320.8$\mu\textrm{g}$/g) but cadmium was detected only in the stem (<7.4$\mu\textrm{g}$/g) and root (<10.4$\mu\textrm{g}$/g) of P. thunbergii. Cadmium was not detected in Trapa japonica and Nymphoides peltata, whereas lead was detected in T. japonica (<323.7$\mu\textrm{g}$/g) and N. peltata (<177.5$\mu\textrm{g}$/g).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lead content in soil and in these plant samples represented positive correlation. The total content of lead in each plant sample increased in the order of N.peltata$\leq$P.thunbergii

  • PDF

Nitric Oxide Donor 첨가가 구리 결핍 배아의 발달과 Nitric Oxide 하위 신호전달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itric Oxide Donor Supplementation on Copper Deficient Embryos and Nitric Oxide-Mediated Downstream Signaling)

  • 양수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8호
    • /
    • pp.691-700
    • /
    • 2008
  • 본 연구는 착상 후 단계의 쥐 배아와 난황낭을 대상으로 구리 결핍이 NO 하부 신호전달체계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구리 결핍은 정상적인 배아 및 난황낭 발달을 억제하고, NO의 생물학적 이용도와 아세틸콜린에 대한 NO dose-response를 낮추었다. 둘째, 구리 결핍은 NO의 하부 신호전달 물질인 cGMP 수준을 감소시켰으나, NO/cGMP 하부 신호전달체계 표적 중 하나인 P-VASP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구리 결핍 배양액에 NO donor를 첨가하는 것은 구리 결핍 배아와 난황낭의 기형 발생 빈도를 구리 정상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개선시켰다. 넷째, NO donor 첨가는 구리 결핍군에서 감소되었던 cGMP의 농도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지만, P-VASP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상기 연구 결과들은 구리 결핍으로 인한 NO의 생물학적 이용도의 감소가 기형발생의 주요 발생 기전이라는 것을 뒷 받침하고 있다. 또한, 임상적으로 임신 기간 중 적절한 구리 섭취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Bioaccumulation Patterns and Responses of Fleece-flower; Persicaria thunbergii to Cadmium and Lead

  • Kim, In Sung;Kang, Kyung Hong;Lee, Eun Ju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4호
    • /
    • pp.253-259
    • /
    • 2002
  • Application of phytoremediation in the polluted area to remove undesirable materials is a complex and difficult subject without detailed investigation and experimentation. We investigated the accumulation patterns of cadmium and lead in plants naturally grown, the bioavailability of plants to accumulate these toxic metals and the responses of P. thunbergii to cadmium and lead. The soil samples contained detectable lead (<$17.5_\mu$g/g), whereas cadmium was not detected in the soils of study area. The whole body of Persicaria thunbergii contained detectable lead (<320.$8_\mu$g/g/g) but cadmium was detected only in the stem (<7.$4_\mu$g/g/g) and root (<10.$4_\mu$g/g/g) of P. thunbergii. Cadmium was not detected in Trapa japonica and Nymphoides peltata, whereas lead was detected in T. japonica (<323.$7_\mu$g/g/g) and N. peltata (<177.$5_\mu$g/g/g).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lead content in soil and in these plant samples represented positive correlation. The total content of lead in each plant sample increased in the order of N. peltata$\leq$P. thunbergii

아연 폐광산에 식생도입을 위한 유기성 토양 개량제의 처리효과 (Effects of Organic Amendments on Introducing Pioneer Herbaceous Plants in the Abandoned Zinc Mine Soil Revegetation)

  • 김대연;이상환;정진호;김정규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1권3호
    • /
    • pp.43-51
    • /
    • 2006
  • 휴 폐광산 토양에 안정적인 식생도입 시 고농도의 중금속에 의한 독성과 열악한 물리화학적 토양조건은 주요 제한 인자가 됨은 주지의 사실이다. 중금속의 안정화를 목적으로 도입되는 식물의 안정적인 활착을 위해서는 중금속 급성 독성의 경감 및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의 개량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쑥과 잔디를 이용하여 중금속 오염 토양의 안정화할 때 토양개량제로 돈분퇴비 ($75{\sim}225$ Mg/ha)와 도시하수슬러지 ($150{\sim}450$ Mg/ha)의 처리효과를 살펴보고자 포트 (pot) 실험을 수행하였다. 광산토양에 개량제를 처리한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쑥과 잔디의 초기 생존율 및 생장량이 크게 증가하였고, 퇴비보다는 슬러지 처리구에서 생육개선 효과가 높았다. 중금속의 식물 체내로의 흡수이행에 있어서는 쑥과 잔디 모두 지상부보다는 지하부에 중금속이 축적되는 양상을 보였고, 슬러지 처리 토양에서 재배된 쑥과 잔디의 체내 중금속 농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개량제간 중금속의 생물학적 유효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토양 개량제 처리에 의해 카드뮴, 아연, 구리 모두 생물학적 유효도가 낮은 형태로 이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중 중금속의 존재형태에 있어 식물재배 전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재배 후 토양에서 대체적으로 잔류상 형태, 산화물결합 형태, 및 치환성 형태 함량은 고르게 감소하였고, 유기물결합 형태 함량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아연의 유기물결합 형태의 비율은 쑥의 경우 7.84% 에서 13.58%, 잔디의 경우 7.84% 에서 14.16% 으로 증가하여 중금속에 대한 유효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퇴비, 슬러지 등의 토양개량제 처리가 그 자체로서 토양중 중금속의 안정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식물안정화를 위해 도입되는 식물의 생육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