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ukwa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37초

유과 품질향상을 위한 첨가물의 효과와 공정 단순화 시도 (Effect of Some Additives for Yukwa (Popped Rice Snack) Quality Improvement and Process Modification Trials)

  • 신동화;김명곤;정태규;이현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72-277
    • /
    • 1990
  • 유과 품질향상을 위한 몇 가지 첨가물의 효과와 공정개선을 위한 수침시간 단축 및 쌀가루에 의한 유과제조 시험을 수행하였다. 불린 콩을 첨가(3%, w/w)한 유과는 팽화도가 높았고 물리적 조직특성도 우수하였으며 관능검사 결과도 이들 경향과 일치하였으나 baking powder, 변형녹말과 막걸리, 소주, 청주 등 주류는 첨가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주류는 유과의 외형적인 조직이 치밀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쌀전분의 호화근접 온도인 $60^{\circ}C$의 고온수침에서 3시간 정도면 충분한 수화가 이루어져 저온 장시간($12{\sim}14$시간) 수침한 경우와 차이가 없었으며 고온수침시간의 연장(12시간)에서는 품질개선 효과가 인정되기 않았다. 그리고 건식제분한 쌀가루로 유과를 만드는 경우 100mesh가 팽화도 및 경도에서 우수하였으나 습식제분보다 품질이 떨어져 제분방법과 제분기의 별도연구가 필요하였다.

  • PDF

가루녹차가 유과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een Tea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 (Korean Fried Rice Cake))

  • 박재남;권석임;김종군;박진규;한인준;송범석;김재훈;변명우;이주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7-42
    • /
    • 2008
  • 본 연구는 유과의 저장안전성 및 관능적 품질개선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가루녹차를 첨가하여 유과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비교 평가하고 최종적으로 가루녹차 첨가 유과의 품질 및 저장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루녹차 1, 2, 3% 첨가량에 따른 수분 함량은 변화가 없었으며, 조지방 함량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루녹차 첨가 유과의 기공크기와 팽화율은 가루녹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과의 경도는 2% 이상의 가루녹차 첨가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녹차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모든 평가항복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점수를 얻었으나 1%의 첨가구는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항산화 효과는 가루녹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들에 의해 1% 가루녹차의 첨가가 품질 및 저장성 향상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질소치환포장 및 ${\gamma}-Oryzanol$ 첨가가 유과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Gas Packing and ${\gamma}-Oryzanol$ Treatment on the Shelf Life of Yukwa(Korean Traditional Snack))

  • 박윤정;전향숙;김상숙;이종미;김규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17-322
    • /
    • 2000
  • 전통 유과의 저장성을 증진하기 위한 시도의 일환으로써 Al증착필름 질소치환포장(AN포장군), PE필름 함기포장(PE포장군) 및 ${\gamma}-oryzanol$첨가 질소치환포장(ANA포장군)을 적용하여 $60^{\circ}C$에 20일 동안 저장하면서 유과의 품질 변화를 살펴보았다. 과산화물가, 산가 및 공액이중결합지방산 함량의 경우, PE포장군과 AN포장군은 저장일수가 늘어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고, 세 포장군 가운데 ANA포장군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반면, hexanal 함량은 AN포장군이 PE포장군보다 높았고, 색도에 있어서도 AN포장군이 PE포장군보다 황색도, 적색도가 더 높았다. 유과의 색도 결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저장 중 수분함량은 AN포장군이 PE포장군보다 약 3배 정도 높았다. 유과의 질소치환포장시 완전탈기할 경우 제품의 변형 또는 파손이 일어났고 형태를 유지할 경우 잔존 산소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포장지내 잔존 산소량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유과의 경우 질소치환포장의 적용은 완전 탈기가 어려워 일반 유탕스낵에 비해 효과가 낮으며, 유과의 저장성 증진을 위해서는 항산화제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녹차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된 유과의 섭취가 마우스의 혈중지질 및 체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Yukwa Containing Green Tea Powder on Lipid Composition and Body Weight Change in Mice)

  • 성낙윤;권석임;박재남;최종일;송범석;김재경;이주운;김재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77-182
    • /
    • 2011
  • 본 연구는 녹차가루가 포함된 유과의 섭취가 실험동물의 체중 및 혈중 지질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평가하였다. 원산지가 다른 총 5종의 녹차(부초차, 옥로차, 용정차, 우롱차, 홍차)를 첨가하여 유과를 제조한 후 사료와 혼합하여 마우스에 섭취시킨 결과 유과 단독 섭취군에 비하여 녹차가 첨가된 유과를 섭취한 실험동물에서 체중 및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간 조직 및 복부지방의 조직의 검경결과 간세포의 염증 억제, 복부 지방세포의 무게 및 크기 감소 등의 효과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유과의 제조 시 녹차가루의 첨가는 기존 유과가 지닌 단점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 사료된다.

유과의 유통기간 연장을 위한 항산화제 첨가의 효과 (Effects of Antioxidants on Shelf-life of Yukwa)

  • 금준석;이용환;안용식;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20-727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전통한과인 유과의 가공방법과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저장 중 황산화제를 첨가하여 유과를 제조한 후 저장기간 동안 품질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유과를 상온에서 저장하면서 색을 측정한 결과 백색도(L)의 경우 모든 처리구에서 약간 감소하거나 거의 변화가 없는 경향을 보였고, 적색도(a) 및 황색도(b)의 경우는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였다. 텍스쳐에 있어서 상관성을 보이는 경도와 씹힘성의 경우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저장 중 산패의 지표인 과산화물가는 YOP1 및 YOP2 처리구는 저장 12주까지 식품위생규격 및 전통식품표준규격에서 정한 한과류에 대한 기준치인 40이하로 측정되었다 포장방법별로 2주에서 12주까지 저장하면서 유과에 함유된 지방성분 중 지방산을 측정해 본 결과 저장초기의 지방산 함량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저장초기의 지방산 함량은 palmitic acid 11.3%, stearic acid 4.6%, oleic acid 23.4%, linoleic acid 54.2%, linolenic acid 6.5%로 불포화지방산인 linoleic acid와 oleic acid가 가장 많았다. Electronic nose를 이용하여 대조구와 처리구간의 향기특성 패턴을 분석한 결과 8주부터 10주까지는 항산화제를 처리한 것이 차이가 적었다. 저장 중 유과의 향기특성에 대한 관능적 특성(Yukwa odor, rancid odor)과 전자코(electronic nose) 측정치간의 비교에서 전자코 측정치에서도 향기특성이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게 나타나 관능적 평가 결과와 기계적 특성치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 PDF

유과 제조의 기계화 연구 (Studies on Mechanization of Yukwa Making)

  • 신동화;최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12-216
    • /
    • 1991
  • 유과제조시 가장 걸림돌이 되는 꽈리치기 공정과 반데기 제조공정의 연속공정화 및 표준화를 위하여 기존 chopper의 구조를 변경하고 conveyer를 연결하여 기계화 가능성을 시도하였다. Plate와 die를 새로 제작하여 실험한 결과 꽈리치기 및 반데기를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었으며, 그 품질도 기존방법에 비하여 차이가 없었다. 반데기의 두께와 폭은 conveyer belt의 속도를 조절하므로써 가능하였으며, chopper에서 반죽의 토출량이 221.8g/sec($Slit\;:\;5{\times}50.5\;mm$)일 때 conveyer의 속도는 87.3 mm/sec가 바람직하였다. Chopper의 구성에서 knife나 plate의 모양 등은 꽈리치기 효과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건조 후 반데기의 두께는 $3.0{\sim}3.5\;mm$인 경우 가장 좋은 유과품질을 얻었다. Chopper를 통과하는 횟수는 품질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나 전연 꽈리치기 하지않은 경우 조직은 대단히 유약하였다.

  • PDF

쌀 품종별 유과제조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 (Popped Rice Snack) made by Different Varieties of Rice)

  • 신동화;김명곤;정태규;이현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20-825
    • /
    • 1989
  • 멥쌀로 동진, 삼강을, 찹쌀로 신선, 한강품종을 선택하여 유과제조실험을 하였다. 사용한 멥쌀의 amylose 함량은 가각 18.5%, 찹쌀은 2-3% 수준이었으며 수침시 $(12^{\circ}C)$ 2시간 이내에 평형 수분함량에 도달하였고 멥쌀은 30%, 찹쌀은 42%의 수화도를 보였다. 쌀 전분의 호화 개시 온도는 $64.6-67.5^{\circ}C$로서 멥쌀과 찹쌀에서 큰 차이가 없었고 유과 반데기는 RH 75-84%에서 저장하면 튀김 적정 수분함량인 11-12% 수준에서 유지 가능하였다. 멥쌀과 찹쌀로 유과를 제조, 비교한 결과 멥쌀의 평화도는 2.5-2.9ml/g(건물), 찹쌀은 9.1-10.8ml/g(건물)로 멥쌀이 유의적으로 떨어지고 반대로 경도는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며 바삭바삭한 정도는 차이를 보이지 많았다. 비정상 젖산 발효균에 의하여 팽화도, 경도 등은 개선되지 않았고 튀김 기름으로는 콩기름과 미강유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유과 조리법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I) -찹쌀의 수침기간과 꽈리치기 횟수를 중심으로- (Studies on Optimum Conditions for Experimental Procedure of Yukwa (I) -On the soaking time of glutuous rice and the number of beating-)

  • 전형주;손경희;박현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5-81
    • /
    • 1995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standard Yukwa recipies by proposing optimal conditions for soaking time and the number of beating. Soaking time and the number of beating had effects on the number of peak, implying that 15 days of soaking time at $15^{\circ}C$ and 160 times of beating would be required. In Yukwa's microstructural image, the better groups were over 15 days of soaking time and as number of beating increased, the appearance improved. The longer soaking time, the better tenderness and expansion volume. The number of beating had significant effects on all sensory evaluation except volume. Response surface model showed that the optimal condition would be at least 15 days of soaking and 319 times of beating.

  • PDF

팽화방법을 달리한 복분자 추출물 첨가 유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 Prepared with Rubus coreanus Miquel Extract Using Different Puffing Process Methods)

  • 이민숙;김문용;전순실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82-391
    • /
    • 2008
  • Yukwa samples, made with additions of 0, 10, 20, and 30% Rubus coreanus Miquel extract, were puffed by different puffing methods(convection oven, microwave oven, and fryer) and were then examined for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moisture content, expansion rate, color, hardness, and sensory qualities,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al ratio of Rubus coreanus Miquel extract in the formulation and the optimal expansion of Yukwa. The moisture contents of Yukwa base increased as the level of Rubus coreanus Miquel extract increased. And the Yukwa puffed by convection had higher moisture than the samples puffed by microwave oven or frying, with the exception of the sample containing 20% Rubus coreanus Miquel extract. When comparing the expansion rates of sampl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control and extract-containing samples puffed by convection, microwave, and frying methods, respectively. However, the sample puffed by frying had the highest expansion rate, whereas the convection-, microwave-puffed sampl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vection-, microwave-, and fryer-puffed samples, lightness and yellowness decreased, but redness increased, as the level of Rubus coreanus Miquel extract increased. And the sample puffed by microwave oven had greater lightness as compared to the samples puffed by convection and frying. In terms of hardnes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the control and extract-containing samples puffed by convection and microwave methods. However, hardness was maximal in the sample puffed by convection and lowest in the sample puffed by frying, in which it increased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Rubus coreanus Miquel extract. In the consumer acceptance evaluations and characteristics intensity rating tests, the samples puffed using convection and microwave methods showed higher scores for the majority of evaluated characteristics as compared to the samples puffed by frying. And the samples containing Rubus coreanus Miquel extract obtained fairly good scores.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additions of 10$\sim$20% Rubus coreanus Miquel extract are optimal for Yukwa that is puffed by convection and microwave methods, as this range provides good physiological properties and reasonably high overall consumer acceptability.

유과 제조조건 및 팽화요인에 관한 연구 (Studies on Yukwa Processing Conditions and Popping Characteristics)

  • 신동화;최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617-624
    • /
    • 1990
  • 유과제조에 좋은 특성을 갖는 일반계 찹쌀(품종: 신선)을 이용하여, 유과의 기업적 생산에 필요한 유과의 제조조건 및 팽화기작 추적 시험을 실시하였다. 유과 반데기 제조를 위한 증자시간은 증기가열로 5, 10, 15, 30, 45, 60분 처리에서 15분이 가장 적당하였고. 반죽의 수분함량은 48, 51, 53%를 시험한 결과, 48% 수준에서 조직이 가장 치밀하였다. 꽈리치는 시간은 1, 3, 4분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품질이 우수하나. 전혀 꽈리치기를 하지 않은 처리구는 조직의 치밀성이 낮고, 경도가 아주 유약하였다. 습식 및 건식제 분등 제분방법별 고온처리에 의한 공정단순화 시도에서 습식제분이 건식제분보다 팽화율이 높았으나, 고온처리 시간이 길어질수록 팽화율이 낮아졌고, 환원당량도 증가하여 전분의 분해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고. 이들이 유과의 팽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각종 두류를 첨가한 결과 단백질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유과특성이 개선되었다. 반데기는 장기저장시 RM에 따라 흡습정도가 달라졌고, 저장기간에 따라 팽화후 유과 바탕의 품질은 열화 되었다. 유과제조시 주류로서 막걸리, 소주, 청주를 각각 다른 양 첨가하여 품질을 비교한 결과, 첨가량이 중량비로 15%에서 30%로 증가함에 따라서 팽화율 및 조직특성이 다소 향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