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llow croaker and brown sol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수종 어육의 가열조건에 따른 아미노산 조성의 변화 (Changes in Amino Acid Composition of Some Fish Meat By Heating Conditions)

  • 심기환;이종호;하영래;서권일;문주석;주옥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933-938
    • /
    • 1994
  • A study was amino acid contents by heating conditions of mackerel, pacific saury , yellow croaker, and brown sole investigated. In fresh fishes, total amino acid contents showed higher amount in brown sole and yellow croaker, than those of pacific saury and mackerel. The amino acid contents among the tested samples were higher Glx , leucine, lysine and arginine in order. During heating of samples the amino acid contents decreased. There appeared to be a proportional relationship of the heating temperature to decrease of amino acid. The amino acid contents of steamed samples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ose of others. During warming and rewarming samples after storage at 4$^{\circ}C$ for 24 hours , amino acid contents slightly decreased.

  • PDF

어류의 가열조건에 따른 유기산 함유율의 변화 (Changes of ORganic Acid Contents on Heating Conditions of Fishes)

  • 심기환;이종호;하영래;최상도;서권일;주옥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939-944
    • /
    • 1994
  • 가열조건에 따른 고등어, 꽁치, 조기 및 가자미의 유기산 함유율 변화는 다음과 같았다. 4가지 서로 중 고등어가 전체 유기산의 함유율이 가장 높았으며, 모든 시료에 잇어서 공통적으로 latic acid의 함유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succinic acid가 높았으며 이 두 유기산이 전체 유기산 함유율의 95% 이상을 차지하였다. 조기에서는 다른 시료에서와는 달리 succinic acid 대신에 ${\alpha}-ketoglutaric$ acid의 함유율이 높았다. 가열함에 따라서 모든 유기산 함유율이 감소하였으며 가열 온도가 높을수록 함유율 감소폭이 컸으며, 1차 및 2차 데우기에서 보다는 삶거나 가열에서 대부분의 함유율 감소가 일어났다.

  • PDF

어육의 가열조건에 따른 몇가지 정미성분 함량의 변화 (Changes in Contents of Some Taste Compounds of Fish Meat by Heating Conditions)

  • 심기환;이종호;하영래;최진상;이용수;주옥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9-204
    • /
    • 1995
  • 가열조건을 달리 하였을 때의 고등어, 꽁치, 조기 및 가자미의 핵산관련물질 및 유기염류(TMAO, TMA 및 총 creatinine)의 함량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시료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inosine의 함량이 높았으며, 적색육어 보다는 백색육어에서 그 함량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가열을 함으로서 hypoxanthine의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그 외의 다른 성분들은 감소하였다. TMAO의 함량은 각 시료에서 생시료일 때에 31.1, 26.2, 49.4 및 58.5 mg%로 가자미에 있어서가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으며, 가열을 함에 따라서 그 함량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TMA의 함량은 각 시료에서 3.7, 5.8, 22.9 및 16.9 mg%로 나타났으며, 조기의 경우가 가장 많았고, 가열처리를 함에 따라서 TMAO가 환원되어 그 함량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총 creatinine의 함량은 341.2, 469.8, 52.3 및 87.6 mg%로 백색육어 보다는 적색육어에서 더 많은 함량을 보였으며, 꽁치에서 가장 많았다. 가열을 함에 따라서 모든 시료에서 정미성분의 함량이 감소하였다.

  • PDF

서식지에 따른 다소비 어류의 납과 카드뮴의 오염 및 위해 평가 (Contamination and Risk Assessment of Lead and Cadmium in Commonly Consumed Fishes as Affected by Habitat)

  • 김기현;김용중;허민수;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541-555
    • /
    • 2016
  • This study determined the concentrations of lead and cadmium in 18 species of commonly consumed fish and assessed the risk based on provisional tolerable weekly (monthly) intakes [PTW(M)I] % as affected by behavioral characteristics, such as migration and settlement. In the 18 species, the mean concentrations of lead and cadmium were higher in the 11 species of migratory fish (llargehead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Pacific saury Cololabis saira,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anchovy Engraulis japonicus, Alaska pollack Theragra chalcogramm, brown croaker Miichthys miiuy, Japanese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niphonius,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and Pacific herring Clupea pallasii) than in the seven demersal species (red stingray Dasyatis akajei, brown sole Pleuronectes herzensteini, bastard halibut Paralichthys olivaceus, conger eel Conger myriaster, blackmouth angler Lophiomus setigerus, rockfish Sebastes schlegelii, and filefish Stephanolepis cirrhifer). Based on the mean concentrations, the PTWI % of lead and cadmium in commonly consumed migratory fish were 1.900 and 2.986%, respectively, which were higher than the values for lead and cadmium in the commonly consumed demersal fishes (0.257 and 0.318%, respectively). The estimation of weekly (monthly) intakes and target hazard quotients for the toxic elements lead and cadmium revealed that the commonly consumed migratory and demersal fish do not pose any health risks for consumers.

서식지에 따른 다소비 어류의 총수은 오염 및 위해 평가 (Mercury Contamination and Risk Evaluation in Commonly Consumed Fishes as Affected by Habitat)

  • 조미라;김기현;조문래;권지영;손광태;이희정;김지회;이태식;강상인;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621-630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centration of total mercury in 17 species of commonly consumed fishes and assessed the risk to human health from provisional tolerable weekly intakes PTWI% as affected by migratory characterization, such as migration and vagility. The measured mean concentrations of total mercury in these 17 species of commonly consumed fishes suggest that mean concentrations of total mercury in 10 species of migratory fishes (largehead hairtail, chub mackerel, Pacific saury, skipjack tuna, Pacific cod, anchovy, Alaska pollack, brown croaker, Japanese Spanish mackerel, yellow croaker and Pacific herring) were low compared to those in 7 species of demersal fishes (red stingray, brown sole, bastard halibut, conger eel, blackmouth angler, rockfish and filefish). Based on the mean concentrations, the PTWI% of total mercury among commonly consumed migratory fishes was 3.393%,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commonly consumed demersal fishes (2.710%).

등전점 전기영동에 의한 서해산 해산어의 근형단백질의 전기영동에 관한 연구 (Electrophoretic Patterns of Sarcoplasmic Proteins in Mid-West Korean Sea Fishes by Thin Layer Polyacrylamide Gel Isoelectrofocusing)

  • 김종배;최선남;이근우;정용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55-460
    • /
    • 1991
  • 서로 비슷한 어종으로 약간의 저차 가공시에도 육안적 규별이 어려운 12개 어종의 등전점 전기영동 결과는 다음과 같다. 3종의 갑각류에서 대하와 중하는 밀새우와 다른 단백질 pattern이 pH 4.5 이하에서와 pH 5~7.5에서 서로 구별이 가능하였으며, pH 범위를 변경했을때, 중하와 대하 사이의 구별은 pH 5 부근에 있는 단백질띠로 나타났지만 크기나 형태적으로 거의 같은 대하의 치어에 대한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민어속 어류에서도 참조기와 항강달이는 비슷한 등전점을 가지는 단백질의 분포가 pH 5~8 사이로 나타났다. 이 분포대에서 돌가자미와 도다리에서도 비슷한 현상을 보였으며, pH 6~7, pH 8~9 범위에서 박대와 도다리는 서로 다른 단백질 분포를 보였고, 참가자미와 돌가자미는 pH 4.5, pH 6.0과 pH 8.0이하에서 뚜렷이 다른 분포를 보였다. pH범위를 변경하여도 단백질 pattern의 구별이 어려운 참조기와 황강달이에서의 2차원 전기영동은 pH 5.0rhk pH 6.0부근에 있는 단백질들에서 추정분자량 11,700과 87,000으로서 등전점 전기영동시 pH 범위 변경 및 2차원 전개 전기영동을 병용할 경우 서해산 어종(중하, 대하, 밀새우, 참조기, 수조기, 황강달이, 참가자미, 도다리, 박대, 돌가자미, 병어, 아홉등가리)의 판별에 구성 단백질의 등전점 전기영동이 신속하고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