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akgwa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초

자소엽 첨가량에 따른 구운 약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ked Yakgwa Containing Different Amounts of Perilla frutescens Powder)

  • 김수인;이진선;손다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9호
    • /
    • pp.1106-111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튀긴 약과(FY) 및 구운 약과(BY)의 자소엽 분말의 첨가 비율을 달리하여 약과를 제조하고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수분함량은 튀긴 약과 7.05%, 자소엽 분말 첨가량에 따른 구운 약과가 12.42~10.44%로 튀긴 약과보다 구운 약과 및 자소엽 분말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소엽 분말 함량에 비례하여 수분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는 튀기는 과정 중 약과 내 수분이 유실된 것으로 판단되며 구운 약과가 튀긴 약과보다 팽화율은 낮지만, 일정한 크기와 형태를 유지하여 튀긴 약과의 단점을 해소하며 동시에 쿠키 타입의 약과 제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조지방의 경우 튀긴 약과가 구운 약과보다 지방 성분이 높았으며, 이는 튀기는 과정에서 수분과 유지의 교환반응이 진행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약과 열량의 경우 튀기는 조리법을 사용한 FY 시료는 501 kcal로, 오븐에 굽는 조리법을 사용하는 BY 시료군들에 비해서 약 65.8 kcal 정도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기름에 튀기는 조리법과 오븐에서 굽는 조리법에 따른 조지방의 함량 차이가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약과의 색도는 튀긴 약과보다 구운 약과의 L값은 높게 나타났고 a, b값이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자소엽 분말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L, a, b값은 모두 감소하였다. 조직감의 경우 자소엽 분말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약과의 경도, 응집성, 씹힘성, 검성은 증가하였으나 탄력성은 감소하였다. 약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BY 0.2~0.4% 시료군이 FY와 BY 0~0.1%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자소엽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산화 활성도 증가하였다. 따라서 구운 약과 제조 시 자소엽 분말을 0.2% 이상 첨가하였을 때 항산화 효과가 증진함을 알 수 있었다. 관능평가에서 맛, 전반적인 기호도 평가에서는 BY 0.1% 시료가 가장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향과 색에서는 BY 0% 시료의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자소엽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소재로 자소엽 분말을 첨가하여 구운 약과를 제조할 경우 열량 및 지방 감소, 항산화 활성 증가 효과를 알 수 있었고, 또한 구운 약과는 기존 튀긴 약과에 비해 경도 값이 쿠키 경도와 비슷하여 차후 약과 제품 유통 시 형태 보존에 대한 안전성 유지에 도움을 줄 것이다. 더불어 기존 튀긴 약과의 상품성, 맛과 품질을 개선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할 기회를 제공하며 한국의 대표 디저트에 부합하는 약과 제조 방법 정립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쌀눈쌀가루 배합 비율과 조리 방법에 따른 약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bryonic Rice Flour Substituted Yakgwa Cooked using Different Frying Methods)

  • 전재은;이인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40-648
    • /
    • 2021
  • In this study, when manufacturing Yakgwa, 0, 25, or 50% of embryonic rice flour (ERF) was substituted for wheat flour (WF) to make the dough. After making Yakgwa by hot air frying (HF) or deep-fat frying (DF) methods,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acceptance tests were conducted. ERF had a higher water-binding capacity and a lower fat-binding capacity than WF (p<0.05). Yakgwa prepared by HF had lower crude fat contents, peroxide values, and expansion rates, but higher hardnesses, lightnesses, and rednesses (p<0.05) than that prepared by DF. Higher ERF substitution ratios reduced acid values and expansion rates and increased hardness (p<0.05). Acceptance testing showed 0% ERF Yakgwa prepared by HF had a significantly higher acceptance than Yakgwa prepared by DF. HF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roduct acceptability. Yakgwa prepared with the DF method by substituting WF with ERF resulted in better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than Yakgwa prepared with WF alone (p<0.05).

블랙 렌틸콩 추출물 첨가 약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gwa added with Ethanol Extract from Black Lentil (Lens culinaris))

  • 오지연;심기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4-123
    • /
    • 2017
  • This study added black lentil ethanol extract to Yakgwa at ratios of 0%, 0.5%, 1.0%, and 2.0%,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to those of the synthetic antioxidant BHT added to Yakgwa. Yakgwa with black lentil extract had lower moisture content than Yakgwa with BHT (3.98%) but higher content than the control group (5.72%). Higher black lentil extract resulted in less moisture content (p<0.001) as well as a faster expansion rate and oil absorption rate (p<0.001).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showed that as black lentil extract content increased, pores merged and collapsed, whereas the number of pores decreased and pore size became larger. For chromaticity, all L, a, and b values of the group containing black lentil extract were highe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group with BHT (p<0.001). For texture, as amount of added black lentil extract increased, hardness (p<0.001) and gumminess (p<0.01) increased while cohesiveness (p<0.01)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or sensory characteristics, Yakgwa with 1.0% black lentil extract showed the best preference for all items except for off-flavor. Thus, 1.0% black lentil added to Yakgwa was the best in terms of functionality including preference.

찹쌀가루 배합비율이 약과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lutinous Rice Flour Substitution Levels 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Yakgwa)

  • 박진숙;이현아;이경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85-291
    • /
    • 2017
  • Purpos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effects of glutinous rice flour substitution in Yakgwa. Methods: The glutinous rice flour was added to Yakgwa dough as ratio to ranging from 0, 20, 40, 60%. Dehydration, oil absorption, color, texture and preference properties of Yakgwa were then investigated. Results: Glutinous rice flour caused a decrease in dehydration and oil absorption during frying. For color determination, L-value increased while b-value decreased as the addition of glutinous rice flour increased. In the instrumental texture analysis, hardness and chewin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glutinous rice flour content. Yakgwa with 20 or 40% glutinous rice flour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overall acceptability than others. Conclusion: It can be concluded that 20 or 40% glutinous rice flour substitution is appropriate for preparing Yakgwa, based on the sensory evaluation results.

제조지역에 따른 약과의 품질 특성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Qualify Characteristics of Yackwa according to the region - Focusing on Jeonbuk Province -)

  • 차경옥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75-81
    • /
    • 2006
  • 전북지역의 약과 제조법을 조사하기 위하여 9개 지역(전주, 임실, 장수, 정읍, 남원(사매면, 덕과면), 완주, 고창, 익산)의 약과 제조자를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재료와 분량 및 만드는 방법을 조사하였다. 또한 전북지역에서 제조되는 약과와 대조군을 비교하기 위해 경도측정과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북의 9개 지역에서 조사된 약과의 공통된 재료에는 밀가루, 참기름 또는 식용유, 꿀 또는 설탕, 생강즙, 술등이었으며, 밀가루 1kg에 대해 기름의 양은 1/2컵-l컵이었고, 꿀이나 설탕은 1컵-3컵이었으며, 생강즙은 1/2-l컵이었고, 술은 1/2컵-l컵이었다. 만드는 방법에서 임실과 전주를 제외한 지역에서는 밀가루에 참기름을 섞어 체에 내린 후 나머지 재료들을 넣어 반죽하였고, 임실지역과 전주지역에서는 액체재료를 먼저 섞은 다음 밀가루와 함께 섞어 손쉽게 반죽하였다. 2. 약과의 경도측정의 결과는 익산약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임실, 대조군, 정읍 약과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주의 경도가 낮았다. 또한 각 약과별로 사용한 즙청의 종류가 달랐음에도 불구하고 즙청 전과 즙청 후의 경도는 동일한 순서로 나타나서 즙청 종류보다는 약과재료의 조성이 약과의 경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약과의 관능평가 결과에서 표면색은 익산약과가 가장 높게 나왔고 윤기는 임실과 대조군이, 터진 정도, 부드러운 맛, 단맛, 기름 맛에서는 전주약과가 가장 높게 나왔다. 전체적인 선호도는 유의적이지는 않았지만 전주약과가 높은 결과를 보였다.

  • PDF

흰찰쌀보릿가루의 첨가가 약과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ng Glutinous Barley Flour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gwa)

  • 라하나;이인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604-611
    • /
    • 2019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lutinous barley flour (GBF) Yakgwa produced by air frying. To achieve this, the pH of the dough as well as expansion ratio, color, texture, and sensory evaluation of Yakgwa were measured. The pH of the Yakgwa dough significantly decreases with increasing amount of GBF, over the range 5.35-5.45. Lightness (L), redness (a), and yellowness (b) also decrease with increasing amount of GBF. Furthermore, significant decrease was observed in the hardness, proportionate to the ratio of GBF added (p<0.001). Generic descriptive sensory evaluation results reveal that samples with high ratio of GBF show increased grain aroma, burnt aroma, grain flavor, nutty flavor, astringency, chalky taste, and hardness. The acceptance test determined the GBF-20 sample group to be high in flavor and texture (p<0.05). Therefore, it would be appropriate to apply to 20% GBF for alternative and the addition of GBF would be consider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gwa using air fryer.

튀김유의 종류를 달리한 약과의 품질 특성 (Quality Properties of Yakgwa with Different Types Frying Oil)

  • 이경미;김진원;신정규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4호
    • /
    • pp.375-382
    • /
    • 2017
  • 튀김 기름의 종류가 약과의 팽화도, 색도, 유지함량, 수분함량, 물성 등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팽화도(expansion rate)의 경우 가로(width), 세로(length)의 팽화는 옥수수유가 높은 팽창율을 보였으며, 높이(height)에서는 미강유가 높은 팽창율을 보였고, 전체적인 팽화도에 있어서는 미강유가 큰 값을 보였다. 명도(lightness)와 황색도(yellowness)는 대두유로 튀긴 약과가 34.74로 가장 밝은 색을 나타내었고, 포도씨유를 사용한 약과가 29.82로 가장 어두운 색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적색도(redness)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유지함량은 미강유로 튀긴 약과가 18.91%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옥수수유과 카놀라유 약과가 낮은 함량을 보였다. 수분함량은 튀김유의 종류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약과의 산가는 대두유, 과산화 물가는 미강유가 각각 $0.24{\pm}0.66$, $3.59{\pm}1.74$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경도(hardness), 응집성(cohesiveness), 복원성(resilience)는 기름의 종류 상관없이 비슷한 값을 보였으며, 부착성(adhesiveness)와 씹힘성(chewiness)은 옥수수유과 카놀라유가 각각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 평가에서는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미강유가 $5.93{\pm}1.87$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찹쌀가루 첨가 약과의 관능적 특성 및 소비자 기호도 (Sensory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Acceptance of Yakgwa with Glutinous Rice Flour)

  • 박진숙;신말식;최은옥;이경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71-277
    • /
    • 2016
  • 찹쌀가루 첨가 약과에 대해 훈련된 관능검사원이 묘사분석을 실시하여 4개의 외관 특성(표면의 갈색, 내부의 갈색, 윤기, 표면의 균열), 6개의 냄새 특성(달콤한 냄새, 고소한 냄새, 참기름 냄새, 콩기름 냄새, 밀가루 냄새, 쌀가루 냄새), 4개의 맛 특성(달콤한 맛, 참기름 맛, 콩기름 맛, 밀가루 맛), 5개의 텍스처 특성(단단함, 촉촉함, 응집성, 바삭함, 기름짐) 등 총 22개의 관능적 특성이 도출되었다. 찹쌀가루 첨가 약과에서는 '표면의 균열', '찹쌀가루 냄새', '단단함', '바삭함' 의 특성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표면의 색', '내부의 색', '콩기름 냄새', '콩기름 맛' '촉촉함' 의 특성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소비자 기호도 조사에 의하면 한국인은 맛, 텍스처, 종합적 기호도에서 찹쌀가루 첨가 약과가 밀가루만 사용한 약과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중국인은 찹쌀가루 첨가 약과의 텍스처와 종합적 기호도가 밀가루만 사용한 약과에 비해 더 높았다.

쌀가루 전용 품종으로 제조한 약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wa Produced with Rice Flour Developed as Rice Powder)

  • 이연리;유예진;박주영;신아현;김지수;김지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71-579
    • /
    • 2019
  •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the consumption of rice powder, 5 cultivars were applied differently to establish the optimal manufacturing conditions and measured Hunter color values, hardness and expansion rate of Yakgwa for the optimal conditions. Looking into the optimal manufacturing conditions of Yakgwa, the commercial flour-facilitating Yakgwa is shown to have a great shape when the mold is made with a thick paste for C-2 manufacturing method, Hangaru 100 mesh for H100-2 manufacturing method, Hangaru 200 mesh for H200-2 manufacturing method, Shingil 100 mesh for S100-2 manufacturing method, and Shingil 200 mesh for S200-1 manufacturing method. It also showed a trend of chewy taste after frying without cracks. Hunter color values (L) and red chromaticity and value b of yellow chromaticity indicated a lower value for the commercial flour and Hangaru 200 mesh in its entirety. The hardness of Yakgwa is within the range of 1,981.41~3,756.45 g and the degree of hardness is shown differently for each rice powder exclusive cultivars. Rice flour developed as rice powder 5 cultivars, and as a result of measuring chromaticity, hardness and expansion rate of Yakgwa for the quality characteristics, the item of hangaru 200 mesh had outstanding quality characteristics for Yakgwa.

인삼열매, 잎 및 뿌리를 첨가한 약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gwa Added with Ginseng Fruit, Leaf and Root)

  • 이가순;김관후;성봉재;김선익;한승호;이석수;송미란;이규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1981-1987
    • /
    • 2013
  • 인삼의 주된 식용부위인 뿌리 이외에 열매 및 잎에도 기능성이 우수한 사포닌 및 페놀성화합물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특성을 이용하고자 약과제조 시 첨가하여 인삼류를 이용한 약과를 제조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약과제조 시 팽화도는 GFY와 GLY는 GRY에 비하여 팽화도가 우수하였고, 2.5% 첨가구인 2.5-GFY와 2.5-GLY는 약 1.68배 증가하여 대조구보다 더 팽화도가 좋았으나 그 이상의 첨가 시에는 팽화도가 떨어졌다. 색도는 GFY와 GLY는 시료의 적색과 초록색이 혼합되어 밝기 및 황색도는 감소하였다. 약과제조시 흡유율은 인삼 부위별에 관계없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흡유량은 증가하였다. 인삼 중 뿌리를 첨가할 경우 기름함유량이 가장 낮아서 흡유율이 인삼열매나 잎보다 낮았고, GFY에서는 첨가량에 따라 기름함유량이 가장 높아 과육을 첨가함에 따라 기름 흡유량이 높았다. 약과의 hardness는 인삼뿌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인삼열매와 잎을 첨가할 경우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인삼류를 첨가하여 제조한 약과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 인삼열매와 잎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oily taste 값이 낮아져 기호도가 상승되는 효과를 얻었으며, 인삼잎은 5% 이상 첨가 시에는 쓴맛이 너무 강하고 인삼열매는 7.5%까지 맛에 대한 기호도는 가장 좋았으나 softness가 너무 높았으며, 인삼뿌리는 7.5%를 첨가할 경우 인삼맛과 냄새가 나서 인삼약과에 대한 인식도가 강하여 전체적인 기호도로 볼 때, GFY에서는 5.0%, GLY에서는 2.5%, GRY에서는 7.5% 첨가구가 기호도가 높았으며 각각 사포닌 함량이 2.30 mg/g, 1.02 mg/g 및 0.91 mg/g을 함유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