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y-${\theta}$좌표

Search Result 25,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An Efficient Image Retrieval Method Using Informations for Location and Direction of Outdoor Images (outdoor image의 촬영 위치와 방향 정보를 이용한 효율적인 영상 검색방법)

  • Han, Gi-Tae;Suh, Chang-Duk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4B no.5
    • /
    • pp.329-336
    • /
    • 2007
  • In this paper we propose both the construction of image DB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shooting location and direction of the captured outdoor images and the efficient retrieval method from the DB. Furthermore, for the automatic extraction of the loca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we suggest to have the Digital Camera equipped with an expandable GPS modulo which has a function to calculate the location and direction and also to utilize GPS IFD tags in the EXIF. Then that will make it possible for us to retrieve quickly and precisely the target image with its geography and other objects on the ground included. In the previous retrieval method based only on the location, we eel some extra useless images due to the fact that all the images in the ROI(Region Of Interest) are searched on one condition, radius. However, with the proposed method in this paper, we can not only retrieve all the images selectively within the ROI but also achieve nearly 100% of precision when we search for the target images within DOI(Direction Of Interest) with another condition, direction, added. Applying this method to an image retrieval system, we can classify or retrieve natural images based on the loca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which, in turn, will be vitally useful to diverse industrial fields such as disaster alarm system,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system, traffic information system, and so forth.

Structure of Cholesteryl Pentyl Carbonate (Cholesteryl Pentyl Carbonate의 결정 및 분자구조)

  • Seo, Hye Ran;Park, Yeong Ja;B. M. Craven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34 no.1
    • /
    • pp.29-36
    • /
    • 1990
  • Cholesteryl pentyl carbonate $(C_{33}H_{56}O_3)$ is monoclinic, space group P21, with a = 12.484(3), b = 9.043(3), c = 14.053(3)$\AA$, ${\beta} = 94.12(2)^{\circ}$ and z = 2. The intensity data were measured for the 2969 reflections within sin $\theta/\lambda = 0.52 {\AA}^{-1}$, using an automatic four--circle diffractometer and graphite monochromated Mo-K$\alpha$ radiation. The atomic coordinates from cholesteryl octanoate were used in an initial trial structure and the structure was refined by full-matrix least squares methods. The final R-factor was 0.12 for 1164 observed reflections. The pentyl group has shortened bond lengths due to the high thermal vibrations in this region. Adjacent molecules are related by $2_1$ screw axis so that they are arranged in an antiparallel array, corresponding to the Monolayer Type II packing mode. There are close packings of cholesteryl groups within the monolayers. This packing type is similar to those of cholesteryl hexanoate, octanoate, hexyl carbonate and oleate.

  • PDF

An Analysis of Soil Moisture Using Satellite Image and Neuro-Fuzzy Model (위성영상과 퍼지-신경회로망 모형을 이용한 토양수분 분석)

  • Yu, Myung-Su;Choi, Chang-Won;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54-154
    • /
    • 2012
  • 지표에서의 토양수분은 작은 구성비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여러 수문 현상을 연계하는 매우 중요한 인자로써 최근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토양수분은 침투나 침루를 통하여 강우와 지하수를 연결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강우사상에 따른 유출특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증발산을 통하여 에너지 순환을 연결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토양수분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세타 탐침(Theta Probe), 장력계, TDR(Time Domain Reflectrometry) 등이 이용되고 있으며, 광역 토양수분자료의 보다 정확한 공간 변동성의 관측을 위하여 항공원격탐사와 인공위성 원격탐사기술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인공위성 영상은 자료의 분석이 간편하며, 공간자료이므로 공간 변화를 분석하는 데 있어 매우 편리하다. 그 중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위성영상은 저해상도 영상으로 극궤도 위성인 Terra와 Aqua 위성에 장착되어 있으며, NASA에서 필요한 정보를 받아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물리적 지형자료와 같은 방대한 양의 자료 수집 없이도, 모형이 구축되면 인공위성자료와 강우자료만으로도 신뢰성 높은 결과를 단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자료 지향형 모형인 ANFIS(Adaptive Neuro-Fuzzy Inference System)를 사용하였다. 사용된 퍼지변수로는 시험유역의 토양수분 관측자료와 강수량 및 인공위성 자료인 MODIS NDVI(Normalize Difference Vegetation Index), MODIS LST(Land-Surface Temperature) 영상을 이용하였다. MODIS NDVI는 시간 해상도 8일, 공간해상도 250 인 Level 3 영상이며, MODIS LST는 시간 해상도 1일, 공간해상도 1 km인 Level 3 영상을 사용하였다. 위성자료를 사용하기 위해 Korea TM 좌표체계로 변환한 뒤, 토양수분 관측지점이 속한 각 셀의 속성값을 추출하였다. 위성자료와 수집된 자료 및 토양수분자료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입력자료를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하여 입력 변수를 생성하였다. 생성된 입력 변수와 ANFIS 모형을 연계하여 각각의 토양수분 산정모형을 구축하고 대상지점에 대한 토양수분을 산정 및 비교 분석하였다.

  • PDF

이방성대수층에서의 투수량계수 텐서

  • 강철희;이대하;이철우;김용제;채병곤;우남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1.09a
    • /
    • pp.172-175
    • /
    • 2001
  • 이 연구에서는 5개의 시추공에 대한 양수시험을 실시하여 대수층의 수리학적 이방성과 지하수의 주 유동방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코아검층 및 초음파주사검층을 통해 각각의 공에 대한 균열방향을 결정하고 이를 토대로 통합해본 결과 크게 세 방향의 균열군이 집중성을 보였다. 가장 빈도가 높은 균열의 방향은 N0$^{\circ}$~40$^{\circ}$E/30$^{\circ}$~50$^{\circ}$SE 그리고 N30$^{\circ}$~ 80 $^{\circ}$W/20$^{\circ}$~50$^{\circ}$ NE이 방향이 함께 나타났으며 두 번째 균열의 방향은 N0$^{\circ}$ ~50$^{\circ}$E/60$^{\circ}$ ~80$^{\circ}$NW로 나타났다. 세 번째 방향은 N30$^{\circ}$~50 $^{\circ}$W/70$^{\circ}$~80$^{\circ}$SW방향의 균열로 구성된다. 이처럼 지표하에서는 크게 세 방향의 균열이 다른 방향을 보이는 균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빈도를 가지며 발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수층이 이방성이고 균질하다는 가정하에 양수시험을 실시하여 각각의 공에 대한 최대 투수량계수 ( $T_{{\varepsilon}{\varepsilon}}$)와 최소 투수량계수 ( $T_{ηη}$)값을 산출하고 주 텐서방향 ($\theta$)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 BH-1, BH-4, BH=5공을 제외한 BH-2, BH-3호공에서의 이방성 투수량계수텐서값은 이 논문의 가정인 대수층이 이방성이고 균질하다는 가정에 일치하지 않았다. 따라서 원형좌표계에 도시하였을 때 다른 공에 비해서 비균질성이 심한 결과로 인해 이방성타원체 에서 많이 벗어남을 보였다. 이로인해 3개의 공 BH-1, BH-4, BH-5호공을 사용하여 대수층의 이방성을 분석하여 보았다. BH-1호공에서의 $T_{{\varepsilon}{\varepsilon}}$는 171.90 $m^2$/day, $T_{ηη}$는 71.0l $m^2$/day이고 주 텐서방향은 Nl5.39$^{\circ}$ E로 나타났다. BH-4호공의 $T_{{\varepsilon}{\varepsilon}}$는 268.20 $m^2$/day, $T_{ηη}$는 28.75 $m^2$/day이고 주 텐서방향은 N7.55$^{\circ}$E이며 BH-5호공에서의 $T_{{\varepsilon}{\varepsilon}}$는 168.40 $m^2$/day, $T_{ηη}$는 66.80 $m^2$/day이고 주 텐서방향은 N76.59$^{\circ}$E로 나타났다. 이처럼 연구지역에서의 각각의 공에 대한 투수량계수텐서는 서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주 텐서방향도 서로 다름을 알 수 있다.

  • PDF

Analysis of transmissivity tensor in an anisotropic aquifer (이방성 대수층에서의 투수량계수텐서 해석)

  • 강철희;이대하;김구영;이철우;김용제;우남칠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7 no.2
    • /
    • pp.53-61
    • /
    • 2002
  • An Aquifer test was carried out on five boreholes to determine the hydrologic anisotropy and the major groundwater flow direction in the aquifer system of the study area. With an assumption of the aquifer's anisotropy and homogeneity, the major transmissivity(T(equation omitted)), the minor transmissivity( $T_{ηη}$ ), and primary tensor direction ($\theta$) for each borehole were determined from the test. Besides the boreholes BH-1, BH-4 and BH-5, the anisotropy transmissivity tensor values of BH-2 and BH-3 did not correspond with the assumption. Thereafter the values were plotted on the polar coordinate, and showed that the tensor values were out of the anisotropy ellipsoid due to the high heterogeneity of BH-2 and BH-3 comparing with the other boreholes. Therefore. the anisotropy of the aquifer was examined from BH-1, BH-4. and BH-5. In BH-1, T(equation omitted) is 171.9 $\m^2$/day. $T_{ηη}$ is $71.01\m^2$/day, and the principal tensor direction is Nl5.39$^{\circ}$E. In BH-4. T(equation omitted) is $268.2 \m^2$/day, $T_{ηη}$ / is $28.75\m^2$/day and the principal tensor direction is N7.55$^{\circ}$E. In BH-5, T(equation omitted) is $168.4\m^2$/day, $T_{ηη}$ is 66.80 $\m^2$/day, and the principal tensor direction is $N76.59^{\circ}$E. On the basis of teleview logging performed on each borehole. the principal fracture directions were revealed as $N0^{\circ}$~4$^{\circ}$E/$30^{\circ}$~$50^{\circ}$SE and $N30^{\circ}$~$80^{\circ}$W/$20^{\circ}$~$50^{\circ}$NE that are the most frequently occurred sets as well as that correspond well with the calculated transmissivity tens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