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xylitol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32초

자일리톨 껌 저작에 의한 유치 우식증 예방효과 비교분석 (PREVENTION OF DENTAL CARIES BY XYLITOL GUM IN PRE-SCHOOL CHILDREN DURING 12-MONTHS)

  • 한성근;최연희;손은영;송근배;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59-168
    • /
    • 2004
  • 자일리톨 껌 저작에 의해 어린이들의 유치우식증 예방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3개 어린이집에서 만 $5{\sim}6$세 어린이 123명을 최종 선정하였다. 자일리톨 껌을 씹는 군(42명), 솔비톨 껌을 씹는 군(42명) 그리고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은 대조군(39명)으로 나누어 12개월 동안 하루 5회씩 껌을 저작하게 한 다음 구강검사와 우식활성 검사를 통해 유치우식증 예방효과를 비교 분석 하였다. 12개월 동안 대조군 어린이들에서는 dfs index가 5.19개면 증가하였고 솔비톨 군에서는 2.96개면이 증가한 반면 자일리톨 군에서는 2.62개면이 증가하여 대조군에 비해 자일리톨 군은 47.1%가 감소하였고 솔비톨 군에서는 43.6%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Dentocult-SM strip 검사 및 site strip 검사 결과 모두에서 대조군에 비해 자일리톨 껌과 솔비톨 껌을 씹은 군의 아동들에서 우식활성도가 공히 감소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와 같은 집중적인 자일리톨 껌의 저작 사업은 대상자들과 부모들의 사업에 대한 호응도가 높았고, 사업 시행이 다른 국책 구강보건사업에 비해 용이하였으며 특히 유치우식증 예방적인 측면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lditol Acetates의 분자구조 (The Structures of Alditol Acetates)

  • 박영자;박명희;신정미
    • 대한화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17-526
    • /
    • 1990
  • D-glucitol hexaacetate 와 xylitol pentaacetate의 결정구조를 단결정 X-선 회절법으로 연구하였다. D-glucitol hexaacetate 는 공간군 P2$_1$, 단위세포 상수는 a = 10.275 (2), b = 8.363 (1), c = 12.560 (5) $\AA$, $\beta$= 95.97 $(2)^{\circ}$; Z = 2이고, xylitol pentaacetate는 공간군이 P2$_1$/C이고, a = 18.126 (1), b = 11.422 (2), c = 8.649 (1) $\AA$, $\beta$ = 95.03 $(1)^{\circ}$이며 Z = 4이다. 회절세기는 diffractomerer로 얻었고, 분자구조는 직접법으로 밝혔으며,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하였다. 두 분자에 결쳐 결합의 평균길이는 C($sp^3)-C(sp^3$)가 1.514 (10), C($sp^3)-O: 1.444 (6),\; C(sp^2)-O: 1.347 (9),\; C(sp^2)=O: 1.197 (6),\; C(sp^2)-C(sp^3): 1.479(9){\AA}$이고, 평균 결합각도는 C($sp^3)-C(sp^3)-C(sp^3): 114.6 (17),\; O-C(sp^3)-C(sp^3): 109.4 (23),\; C(sp^2)-O-C(sp^3): 117.4 (6),\; O=C(sp^2)-O: 122.6 (6),\; C(sp^3)-C(sp^2)-O: 111.8 (7), C(sp^3)-C(sp^2)=O: 125.5 (4)${\circ}$이다. 두 분자내의 탄소 사슬들은 extended zigzag chain으로 되어 있어 D-glucitol과 xylitol 분자들의 conformation과는 다르다. Acetate group들의 각 원자들은 모두 한 평편상에 놓여있다.

  • PDF

감미료가 생강정과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weetener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 Jungkwa)

  • 이영민;이현정;조정석;최지영;우진호;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06-412
    • /
    • 2017
  • 감미료의 종류를 달리하여 제조한 생강정과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성을 분석하여 품질이 향상된 생강정과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열수처리한 생강을 설탕, 자일리톨, 꿀, 올리고당과 2:1의 비율로 약한불에서 졸여 정과를 제조하였다. 생강정과의 수분함량은 꿀과 올리고당 정과가 높았으며 설탕과 자일리톨 정과는 수분함량이 적어 표면에 결정이 생성되었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자일리톨이 $7.07^{\circ}Brix$로 가장 높았다. 정과의 pH는 올리고당이 5.82로 가장 낮았으며 설탕이 6.59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자일리톨로 제조한 정과의 명도가 가장 높았으며 꿀로 만든 정과가 적색도가 1.02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설탕, 자일리톨, 올리고당 순으로 나타났다. 자일리톨 정과의 hardness와 chewiness 값이 가장 높았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리당 함량은 설탕으로 제조한 정과의 sucrose, glucose, galactose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자일리톨 처리구의 경우 당 성분이 극히 미량이거나 검출되지 않았다. 꿀로 제조한 생강정과의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도 꿀이 가장 높았고 자일리톨, 올리고당, 설탕 순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 꿀과 올리고당으로 제조한 정과가 외관과 색의 선호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종합적 기호도는 꿀, 설탕, 올리고당, 자일리톨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생강정과를 제조할 때 꿀을 사용하는 것이 정과의 품질과 기호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cid Stability of Anti-Helicobacter pyroli IgY in in Aqueous Polyol Solution

  • Lee, Kyong-Ae;Chang, Sung-Keun;Lee, Yoon-Jin;Lee, Jong-Hwa;Koo, Nan-Sook
    • BMB Reports
    • /
    • 제35권5호
    • /
    • pp.488-493
    • /
    • 2002
  • IgY was separated from a hen's egg yolk that was immunized with Helicobacter pyroli. The anti-H. pyroli IgY activity at acidic pH and the suppressive effect of polyol on acid-induced inactivation of IgY were investigated. Sorbitol and xylitol were used as polyols. IgY was quite stable at pH 5~7. Irreversible inactivation of IgY was observed at pH below 4, and proceeded rapidly at pH below 3. The acid stability of IgY was enhanced in the presence of 30% sorbitol or above. In a 50% aqueous sorbitol solution, an acid-induced inactivation was almost completely suppressed at pH 3. However, the improvement of IgY activity was not observed in the aqueous xylitol solution. IgY showed almost the same activity as native IgY when sucrose was substituted for sorbitol. On the other hand, the xylitol replacement with sucrose did not enhance the acid stability of IgY. The acid-induced inactivation of IgY was related to tryptophyl fluorescence. Fluorescence emission spectra suggested that structural changes near the tryptophan residues may occur under acidic conditions. An increase in sorbitol concentration induced a blue shift. The fluorescence emission of IgY in a 50% sorbitol solution had a peak at 330 nm, which was the same emission peak that was exhibited by native IgY. Sorbitol could, therefore, be used as a good stabilizer of IgY under acidic conditions.

설탕 대체 당류를 첨가하여 제조한 아로니아잼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ronia Jam Replacing Sucrose with Different Sugar Substances)

  • 황은선;뉴안도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888-896
    • /
    • 2014
  • 설탕과 설탕 대체 감미료를 첨가하여 아로니아잼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잼에 대한 이화학적 제품특성, 관능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설탕과 에리스리톨을 첨가하여 제조한 잼의 수분 함량(28.4~29.5%)은 유사하였고, 올리고당과 자일리톨을 첨가한 잼의 수분 함량(31.6~32.3%)은 높게 나타났다. pH, 총산의 함량, 당도는 당의 종류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탕을 첨가하여 제조한 잼의 퍼짐성이 가장 높았으며, 올리고당과 에리스리톨을 첨가하여 제조한 잼의 퍼짐성이 가장 낮았다. 아로니아잼의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는 설탕을 첨가하여 제조한 잼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올리고당, 자일리톨, 에리스리톨을 첨가하여 제조한 잼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첨가한 당류의 종류와 관계없이 아로니아잼에는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DPPH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관능검사에서는 맛, 향미 및 전반적인 만족도 측면에서 자일리톨을 첨가한 잼이 비교적 높은 관능적인 선호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에리스리톨은 색, 맛, 질감, 향미, 전반적인 만족도 측면에서 선호도가 낮은 것으로 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아로니아를 함유하는 잼을 제조할 때 자일리톨이 설탕을 대체할 수 있는 주요 당류로 이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Complete In Vitro Conversion of n-Xylose to Xylitol by Coupling Xylose Reductase and Formate Dehydrogenase

  • Jang, Sung-Hwan;Kang, Heui-Yun;Kim, Geun-Joong;Seo, Jin-Ho;Ryu, Yeon-W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4호
    • /
    • pp.501-508
    • /
    • 2003
  • Artificial coupling of one enzyme with another can provide an efficient means for the production of industrially important chemicals. Xylose reductase has been recently discovered to be useful in the reductive production of xylitol. However, a limitation of its in vitro or in vivo use is the regeneration of the cofactor NAD(P)H in the enzyme activity. In the present study, an efficient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xylitol from D-xylose was established by coupling two enzymes. A NADH-dependent xylose reductase (XR) from Pichia stipitis catalyzed the reduction of xylose with a stoichiometric consumption of NADH, and the resulting cofactor $NAD^+$ was continuously re-reduced by formate dehydrogenase (FDH) for regeneration. Using simple kinetic analyses as tools for process optimization, suitable conditions for the performance and yield of the coupled reaction were established. The optimal reaction temperature and pH were determined to be about $30^{\circ}C$ and 7.0, respectively. Formate, as a substrate of FDH, affected the yield and cofactor regeneration, and was, therefore, adjusted to a concentration of 20 mM. When the total activity of FDH was about 1.8-fold higher than that of XR, the performance was better than that by any other activity ratios. As expected, there were no distinct differences in the conversion yields of reactions, when supplied with the oxidized form $NAD^+$ instead of the reduced form NADH, as a starting cofactor for regeneration. Under these conditions, a complete conversion (>99%) could be readily obtained from a small-scale batch reaction.

대체당 첨가 고령자용 포도젤리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ape Jellies with Sugar Derivative Sweeteners for the Elderly)

  • 이미혜;최은정;오명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99-506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ape jellies for the elderly. The jellies contained sugar (control) or sugar derivative sweeteners (erythritol, isomaltooligosaccharide, sorbitol, and xylitol). Agar (0.31%) and $\kappa$-carrageenan (0.27%) were the gelling agents.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participating in the acceptance test was 79. The lightness (L), redness (a), and yellowness (b) values of the agar gel with erythritol mostly decreased, indicating a darker and pale red color. The L and b values of the carrageenan gel with sugar derivative sweeteners increased, indicating brighter and yellowish color. The agar and carrageenan gels with sorbitol showed higher gelling and melting temperature, indicating that gelation occurred easily and did not easily melt. The agar and carrageenan gels with xylitol showed a low-melting temperature, indicating low stability with temperature change. The break-down rate of the agar and carrageenan gels with erythritol was low, whereas that of agar gel with sorbitol was relatively high despite its high melting temperature. Hard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the gels with sugar derivative sweeteners decreased, and this tendency was most distinct with isomaltooligosaccharide in the agar gel and with sorbitol in the carrageenan gel. The rupture properties of the gel were the same as the hardness of the gel. Sensory acceptance of the agar gels with erythritol, sorbitol, isomaltooligosaccharide, and the carrageenan gel with erythritol was fairly high, whereas that of the agar gel with xylitol and the carrageenan gel with isomaltooligosaccharide and xylitol was low. The results show that sorbitol and erythritol are appropriate as sugar substitutes in grape jellies for the elderly about the acceptability and stability of the g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