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WHOQOL-BREF)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4초

Exploring Concurrent Validity and Item Level Analysis for Two Korean Version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strument: EQ-5D vs. WHOQOL-BREF

  • Choi, Bongsam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33-240
    • /
    • 2020
  • Background: Cross-culturally adapted questionnaires may not be comparable to their original version. Objects: To examine concurrent validity of tw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struments for the Korean versions of EuroQOL-5 Dimension (EQ-5D) and the abbreviated vers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WHOQOL-BREF) instrument. Methods: A total of 139 cancer survivors from two rehabilitation institutes was recruited. All participants were registered for palliative rehabilitation care. Both instruments were concurrently administered by health care providers following the second bout of the rehabilitation cares. Rasch partial credit model and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to investigate: 1) dimensionality, 2) hierarchical item difficulty, and 3) concurrent validity using correlations between two instruments. Results: For the WHOQOL-BREF, all items except negative feeling, pain, dependence of medical aid, were found to be acceptable, while all items of EQ-5D were acceptable. There was an evidence of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EQ-5D and 4 domains of WHOQOL-BREF. Two correlations were strong (EQ-5D vs. physical health domain, ρ = -0.610, 95% CI = -0.716 to -0.475) and moderate (EQ-5D vs. psychosocial domain, ρ = -0.402, 95% CI = -0.546 to -0.236). Other two correlations were weak (EQ-5D vs. social relationship and environmental domains, ρ = -0.242, 95% CI = -0.401 to -0.075 and ρ = -0.364, 95% CI = -0.514 to -0.207, respectively). Item difficulty calibrations of the two measurements were ranged from -0.84 to 0.86 for the EQ-5D and -1.07 to 1.06 for the WHOQOL-BREF. Conclusion: The study provides some supports for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two Korean versions of HRQOL instrument, with evidences of weak to strong correlations between the EQ-5D and four domains of the WHOQOL-BREF applied to various cancer survivors. Additionally, the cancer survivors appeared to have more of a tendency to view the EQ-5D items as being slightly more challenging than the WHOQOL-BREF items.

위암 수술 환자에서의 삶의 질 -WHOQOL-BREF의 타당도 및 유용성-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after a Curative Resection -The validity and availability of WHOQOL-BREFE-)

  • 박이진;정양환;한상익;김진조;박승만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4권4호
    • /
    • pp.263-267
    • /
    • 2004
  • 목적: 본 연구는 위암 환자에서 한국판 단축형 세계보건 기구 삶의 질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이를 이용하여 위암 환자의 삶의 질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모자애병원 외과에서 근치적 절제술을 받은 50명의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나이, 성별을 고려하여 선정된 성모자애병원 직원 50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군에게 100문항으로 이루어진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를 구성하는 26문항을 선별하여,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신체영역, 심리영역, 사회영역, 독립성 영역의 점수를 비교하였다. 결과: 각각의 영역에서 단축형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 점수와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신체영역과 사회영역에서 위암 수술 환자의 삶의 질은 대조군과 비교해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판 단축형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는 위암 환자의 삶의 질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고 타당한 도구라고 생각된다.

  • PDF

The impact of quality of life measured by WHOQOL-BREF on mortality in maintenance hemodialysis patients: a single center retrospective cross-sectional study

  • Seong Gyu Kim;In Hee Lee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0권1호
    • /
    • pp.49-57
    • /
    • 2023
  • Background: Several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quality of life (QoL) in hemodialysis patients affects mortality. However, the 36-item Short Form Health Survey, which has been used mainly in previous studies, is complicated in terms of questionnaire composition and interpretation.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mpact of QoL on mortality in hemodialysis patients using an easier and simpler diagnostic tool.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160 hemodialysis patients. QoL was evaluated using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Brief version (WHOQOL-BREF). Psychosocial factors were evaluated using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and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We also evaluated medical factors, such as dialysis adequacy and laboratory results. Results: The mean hemodialysis vintage was 70.7±38.0 months. The proportion of patients who were elderly was higher in the mortality group than in the surviving group, and the Charlson Comorbidity Index score was also higher in the former group. Of the four domains of the WHOQOL-BREF, the physical health and psychological scores of the mortality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survival group. When the score in the physical health domain or psychological domain was ≤10, the 10-year mortality rate after hemodialysis initiation increased by approximately 2.3- and 2-fold, respectively. Conclusion: QoL ma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mortality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The WHOQOL-BREF is an instrument that can measure QoL relatively easily and can be used to improve the long-term prognosis of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후천성면역결핍환자의 삶의 질 측정을 위한 한국판 WHOQOL-HIV BREF 개발 (Development of quality of life with WHOQOL-HIV BREF Korean version among HIV patients in Korea)

  • 이원기;김신우;김혜인;장현하;이종명;김윤주;이미영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2호
    • /
    • pp.337-347
    • /
    • 2014
  • 세계보건협회에서 인간후천성면역결핍환자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WHOQOL-HIV BREF (World Health Organization's quality of life -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brief scale)를 한국판으로 번역 개발하였다. 설문 문항은 전반적 삶의 질과 건강상태를 묻는 두 문항과 6개의 도메인을 포함한 29문항을 합하여 총 3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수집은 국내 14개 병원에 내원한 220명의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양성환자를 대상으로 전문조사원이 무기명 자가 기입식으로 조사하였다. 대상자 중 남성이 202명 (91.8%), 평균 나이는 40.6세, 평균 CD4+ T 세포수는 1ml당 414.9개였다. 삶의 질은 평균 53.2점이었고 도구의 크론바흐 ${\alpha}$ 신뢰계수는 0.942였다. 동일 도구로 측정한 포르투칼의 경우 54.8점으로 유사하였으며 전반적인 삶의 질과 건강상태와의 상관관계는 각각 0.747 (p <0.01)과 0.651 (p <0.01)이었다. 한국판 도구의 내적신뢰도와 구성타당도도 만족스러웠다.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과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환자의 지속적인 관찰은 필요하며 이러한 도구의 개발은 이들의 삶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 환자들과의 비교를 가능하게 해 줄 것이다.

Analysis of Plant Type and Color Preference and Psychological Assessment for Gardening Activities of Firefighters

  • Jang, Hye Sook;Yoo, Eunha;Kim, Jeong Hee;Jeong, Sun-Jin;Kim, Jae Soon;Ryu, Doo Young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21-535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plant type and color preference and conducted a psychological assessment for gardening activities of firefighters in a high-risk occupational group.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117 firefighters aged 39.01±9.17 in Sunchang in March 2020 to examine their preferences in plant type and color and conduct a psychological assessment of firefighters on gardening activities. Results: For plant experience and awareness, plant-related event showed the highest score, followed by plant preference tendency and plant growing experience. The level of plant gardening activities was higher among older age and higher job pos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 with WHOQOL-BREF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it was found that the quality of life was higher among the 20s-30s than 50s, firefighter position than fire lieutenant or higher, those with higher average monthly income, and the singles group than married (p < .05). The administration group showed lower scores than the fire suppression group working in the field, showing statistical significance. Most firefighters showed high preference for herbal plants among the 12 types of flowering plants, in the order of Rosmarinus officinalis>Lavandula spp.>Mentha piperita, Calendula officinalis. Pelargonium spp. was preferred the least out of the flowering plants, Lycopersicon esculentum was preferred the most out of 12 types of vegetable plants, while Angelica acutiloba was preferred the least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the preference of plant colors, yellow was the most preferred color, followed by white, blue, orange, red, and green, showing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the psychological survey responses of emotion words toward 6 plants colors, it was found that 'bright' was the emotion felt most strongly by the white, yellow, and orange groups, 'calm' and 'comfortable' by the green and blue groups, and 'fancy' by the red group. Conclusion: The effect of agro-healing programs can be increased by using mostly yellow plants when creating indoor healing gardens at the workplaces of fire officials in a high-risk occupational group, and using herbal plants and Lycopersicon esculentum in the gardens for agro-healing activities.

안면 홍조 증상을 수반한 중년 우울증 여성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Middle Aged Depressed Women with Hot Flushes)

  • 송민재;조숙행;정현강
    • 정신신체의학
    • /
    • 제25권2호
    • /
    • pp.176-184
    • /
    • 2017
  • 연구목적 중년 우울증 여성은 안면 홍조 증상을 자주 경험한다. 우울증과 안면 홍조 간의 연관성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면 홍조가 있는 우울증 여성과 안면 홍조가 없는 우울증 여성을 대상으로 호르몬 농도, 기능적 신체 증상, 폐경에 대한 태도 및 스트레스대처 방식을 비교하여 그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안면 홍조가 있는 우울증 여성 33명과 안면 홍조가 없는 우울증 여성 3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안면 홍조 증상은 일주일에 걸쳐 전향적으로 일일 증상 척도를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스트레스 대처 방식은 스트레스 대처 방식 설문지를 통해 평가하였다. 신체 증상은 환자 건강 설문지(Patient Health Questionnaire-15, PHQ-15)로 평가하였다. 성 호르몬 농도는 방사성면역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간편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평가도구(Brief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WHOQOL-BREF)를 이용하여 삶의 질을 평가하였다. 결 과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있어서, 안면 홍조가 있는 우울증 여성이 문제-중심의 대처 방식과($13.15{\pm}3.17$) 사회적 지지에 대한 탐색($11.83{\pm}2.84$) 항목이 안면 홍조 증상이 없는 우울증 여성에 비해 적었다(각각 $15.17{\pm}3.1$, p=0.028 ; $14.25{\pm}3.22$, p=0.009). 안면 홍조가 있는 우울증 여성이 폐경 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부정적 태도를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근사치로 불충분하였다(p=0.059). 본 연구에서는 PHQ-15로 평가한 신체 증상과 성호르몬 농도에서 두 군 간의 차이를 발견하지 못 하였다. WHOQOL-BREF에 따른 사회적 대인 관계의 점수는 안면 홍조가 없는 군보다($9.71{\pm}1.65$ ; p=0.044) 안면 홍조가 있는 군에서($8.62{\pm}2.04$) 유의하게 낮았다. 결 론 우울증이 있는 중년 여성에서, 안면 홍조 증상은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방식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증 여성에서 안면 홍조 증상은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주므로, 임상가는 안면 홍조가 있는 우울증 환자에서 적극적으로 안면 홍조에 대하여 치료적인 접근을 해야 할 것이다. 항우울제 혹은 소량의 호르몬 치료에 반응이 없는 우울증 환자에서, 인지 행동 치료 또는 스트레스 관리가 효과적일 수 있겠다. 추후 안면 홍조 및 우울증과 관련된 위험 요인에 대한 인과 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방법을 통한 종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환아 보호자의 삶의 질과 관련요인 (Quality of Life and Related Factors in Caregiver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Patients)

  • 정종현;홍승철;한진희;이성필
    • 정신신체의학
    • /
    • 제13권2호
    • /
    • pp.102-111
    • /
    • 2005
  • 목적: 질병이 환자에 끼치는 주관적인 영향을 반영하고, 환자의 전반적인 경과와 예후를 나타내는 지표로써 삶의 질 개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때 질병은 환자 자신뿐만 아니라 가족들의 삶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되고, 특히 아동이 질병에 이환 되었을 경우 이러한 영향은 더욱 커지리라고 생각된다. 이에 주의력결핍 과잉 행동장애 환아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삶의 질의 정도를 알아보고,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인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DSM-IV 진단기준에 의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로 진단된 아동 38명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나이와 성별을 맞춘 정상아동 16명의 보호자를 건강대조군으로 하였다. 환아 보호자군과 건강대조군에 대하여 자체 제작한 사회인구학적인 변인에 대한 설문지,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를 사용하여 각각 변인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1) 한국판 WHOQOL-BREF 척도에서 전체 삶의 질 총점과 전반적인 삶의 질, 척도내의 4개의 영역인 신체적 건강 영역, 심리적 영역, 사회적 관계 영역, 환경영역에서 환아 보호자군과 대조군에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신체적 건강 영역의 하부척도인 일상생활수행능력 척도$(3.0{\pm}0.7\;vs.\;3.6{\pm}0.7)(p=0.008)$와 심리적 영역에 해당되는 자존감척도$(2.8{\pm}0.7\;vs.\;3.3{\pm}0.7)(p=0.049)$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2) 전체 삶의 질 총점은 교육년수가 길수록 높았다(r=0.437, p=0.007). 3) 신체적 건강 영역 (영역 1)은 교육년수가 길수록 높은 점수를 보였고(r=0.370, p=0.024), 하부 척도 중에서는 수면과 휴식 척도가 교육연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429, p=0.008). 4) 심리적 영역(영역 2)과 관련 있는 요인은 없었으나, 하부 척도인 긍정적사고 척도는 교육년수가 길수록 점수가 높았으며 (r=0.346, p=0.036), 자존감 척도(r=-0.337, p=0.039)와 사고 학습 기억능력 척도(r=-.341, p=0.036)는 보호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점수가 낮았다. 5) 사회적 관계 영역(영역 3)과 관련 있는 요인은 없었으나, 하부척도 중 성적활동 척도는 교육년수가 길수록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었다(r=0.344, p=0.037). 6) 환경 영역(영역 4)은 교육년수가 길수록 점수가 높았지만(r=0.482, p=0.003), 환아의 나이가 많을수록 낮은 삶의 질 수준을 보고하였다(r=0.328, p=0.044). 한편 하부 척도 중에서는 신체적 안전 척도(r=-0.414, p=0.010), 거주환경 척도(r=-0.429, p=0.007), 새로운 정보나 기술의 취득 척도(r=-0.382, p=0.018), 의료서비스 및 사회보장서비스 척도(r=-0.351, p=0.031)가 환아의 나이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신체적 안전척도는 보호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삶의 질이 낮음을 보고하였다(r=-403, p=0.012). 한편, 새로운 정보나 기술의 취득척도(r=0.406, p=0.013), 여가활동 척도(r=0.464, p=0.004), 교통 척도(r=0.363, p=0.027)은 교육연수가 길수록 높은 점수를 보고하였다. 결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환아의 보호자가 느끼는 주관적인 삶의 질은 건강대조군에 비해 나쁘지 않았다. 그러나 환아의 나이가 많을수록, 보호자의 교육연수가 낮을수록 스스로 느끼는 삶의 질의정도가 낮았으므로 이에 대한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

  • PDF

전반적 삶의 만족도와 영역특정적 삶의 만족도 간 인과관계의 탐색 (The Search of Causality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Domain Satisfactions: Analysis through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 한정균;임성문
    • 한국심리학회지ㆍ건강
    • /
    • 제16권3호
    • /
    • pp.609-622
    • /
    • 2011
  • 본 연구는 주관적 안녕의 구성 성분 가운데 삶의 만족도 증진을 위한 개입 전략 수립에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는 인과성에 대한 탐색을 시도하였다. 즉 삶의 만족도의 두 구성 요소인 전반적 삶의 만족도와 영역특정적 삶의 만족도 간 인과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207명의 대상자들로 부터 2주 간격의 연 이은 세 시점에서 전반적 삶의 만족도와 영역특정적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고 수집하였다. 통계자료 분석에는 구조방정식의 자귀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사용하였는데, 인과성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본 모형을 적용함에 있어서 연구자가 채택한 논리와 방식을 이론적 배경에 서술하였다. 본 모형을 적용하여 수집 자료를 통계 분석한 결과 영역특정적 삶의 만족도가 전반적 삶의 만족도에 원인 변인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삶의 만족도 증진을 위한 개입에 있어서 일차적 초점을 영역특정적 삶의 만족도 증진에 둘 때 전반적 삶의 만족도 또한 증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로의 흐름을 따를 때 삶의 만족도 증진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논의에서는 연구방법 상의 논점과 연구결과가 지닌 함의, 그리고 연구의 제한점이 검토되었다.

기능성 위장질환의 종류에 따른 정신사회적 특성 및 삶의 질의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Type of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

  • 박승규;이상열;류한승;최석채;양찬모;장승호;염동한;이귀행
    • 정신신체의학
    • /
    • 제29권1호
    • /
    • pp.58-66
    • /
    • 2021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위장질환 환자를 과민성 대장 증후군, 기능성 소화불량, 기능성 변비, 기능성 흉부 작열감, 중복집단(두 개 이상의 기능성 질환이 중복)으로 분류하여 정신사회적 특성을 비교하고, 기능성위장질환 환자의 삶의 질과 연관된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일 대학병원 소화기 내과 전문의에 의해 기능성 위장질환으로 진단받은 환자 144명을 기능성위장질환 환자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인구통계학적 요인을 조사하였으며 정신사회적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Korean-Beck Depression Inventory-II (K-BDI-II), Korean-Beck Anxiety Inventory (K-BAI), Korean version of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K-CTQ),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 Korean Version of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K-CD-RISC),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Brief Form (WHOQOL-BREF)를 사용하였다. 결 과 중복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BDI-II 점수(F=11.09, p<0.001)와 BAI 점수(F=8.93, p<0.001)가 유의하게 높았다. 아동기 외상에서 정서적 방임(F=2.54, p=0.04)은 IBS 환자집단이 FD 환자 집단에 비해 유의하였다. FGID 환자에서 삶의 질은 우울증상(r=-0.196, p<0.01), 불안(r=-0.235, p<0.01), 아동기 트라우마(r=-0.222, p<0.01)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사회적 지지(r=0.512, p<0.01), 회복탄력성(r=0.581, p<0.01)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 론 연구결과 중복 환자 집단에서 우울, 불안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아동기 외상에서 IBS 환자 집단이 FD 환자 집단보다 정서적 방임이 유의하게 높았다. 따라서 추후 기능성 위장질환 환자의 치료에 있어 정신사회적 요인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기능성위장질환 환자들의 정신사회적 특성과 삶의 질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

  • 이동호;이상열;류한승;최석채;양찬모;장승호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1호
    • /
    • pp.20-28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FGID 환자군, FGID양성군 및 정상대조군에서 정신사회적 특성을 비교하고, 기능성위장질환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원광대학교병원 소화기 내과 전문의에 의해 기능성위장질환으로 진단받은 환자135명을 FGID 환자군으로 선정하였다. 167명의 일 도 지역 공무원을 대상으로 로마 III 진단 기준에 따라 기능성위장증상을 보이지 않는 79명을 정상대조군, 기능성위장증상을 나타내는 88명은 FGID 양성군으로 선별하였다. 인구통계학적 요인을 조사하였으며 정신사회적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Korean version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K-BDI-II), Korean version of the Beck Anxiety Inventory (K-BAI), Korean version of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CTQ-K),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 Korean Version of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K-CD-RISC), Patient Health Questionnaire-15 (PHQ-15),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Brief Form (WHOQOL-BREF)를 사용하였다.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여 집단들 간의 차이를 비교하고 FGID 환자군의 삶의 질과 정신사회적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 correlation test를 시행하였다. FGID 환자군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다. 결 과 우울 증상(F=48.75, p<0.001), 불안(F=14.48, p<0.001), 아동기 트라우마(F=12.71, p<0.001) 및 신체화(F=24.42, p<0.001)에서 FGID 환자군이 다른 두 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다. 사회적지지(F=39.95, p<0.001)와 회복탄력성(F=17.51, p<0.001) 및 삶의 질(F=52.14, p<0.001)에서 FGID 환자군이 다른 두 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점수가 낮았다. Model 2에서는 Model 1에 심리적 변인들을 추가했으며 회복탄력성(β=0.373, p<0.01)이 가장 중요한 설명 변인이었다. 최종 회귀 모델의 설명 변량은 47.2%였다. 결 론 FGID 환자군은 FGID 양성군 및 정상대조군에 비해 우울 증상, 불안과 아동기 트라우마, 신체화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사회적지지 및 회복탄력성, 삶의 질이 낮았다. FGID 환자군의 삶의 질에 주요한 요인은 회복탄력성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