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ord piece model(wpm)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 Study on the Sentiment analysis of Google Play Store App Comment Based on WPM(Word Piece Model) (WPM(Word Piece Model)을 활용한 구글 플레이스토어 앱의 댓글 감정 분석 연구)

  • Park, jae Hoon;Koo, Myong-wan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10a
    • /
    • pp.291-29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기본 유니트 단위로 WPM을 활용한 구글 플레이 스토어 앱의 댓글 감정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자동 띄어쓰기 시스템을 적용한 후, 어절단위, 형태소 분석기, WPM을 각각 적용하여 모델을 생성하고, 로지스틱 회귀(Logistic Regression), 소프트맥스 회귀(Softmax Regression), 서포트 벡터머신(Support Vector Machine, SVM)등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댓글 감정(긍정과 부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어절단위, 형태소 분석기보다 WPM이 최대 25%의 향상된 결과를 얻었다. 또한 분류 과정에서 로지스틱회귀, 소프트맥스 회귀보다는 SVM 성능이 우수했으며, SVM의 기본 파라미터({'kernel':('linear'), 'c':[4]})보다 최적의 파라미터를 적용({'kernel': ('linear','rbf', 'sigmoid', 'poly'), 'C':[0.01, 0.1, 1.4.5]} 하였을 때, 최대 91%의 성능이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Sentiment analysis of Google Play Store App Comment Based on WPM(Word Piece Model) (WPM(Word Piece Model)을 활용한 구글 플레이스토어 앱의 댓글 감정 분석 연구)

  • Park, jae Hoon;Koo, Myong-wa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6.10a
    • /
    • pp.291-29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기본 유니트 단위로 WPM을 활용한 구글 플레이 스토어 앱의 댓글 감정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자동 띄어쓰기 시스템을 적용한 후, 어절단위, 형태소 분석기, WPM을 각각 적용하여 모델을 생성하고, 로지스틱 회귀(Logistic Regression), 소프트맥스 회귀(Softmax Regression), 서포트 벡터머신(Support Vector Machine, SVM)등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댓글 감정(긍정과 부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어절단위, 형태소 분석기보다 WPM이 최대 25%의 향상된 결과를 얻었다. 또한 분류 과정에서 로지스틱회귀, 소프트맥스 회귀보다는 SVM 성능이 우수했으며, SVM의 기본 파라미터({'kernel':('linear'), 'c':[4]})보다 최적의 파라미터를 적용({'kernel': ('linear','rbf', 'sigmoid', 'poly'), 'C':[0.01, 0.1, 1.4.5]} 하였을 때, 최대 91%의 성능이 나타났다.

  • PDF

Categorization of Korean News Articles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Using Doc2Vec and Word2Vec (Doc2Vec과 Word2Vec을 활용한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반 한국어 신문 기사 분류)

  • Kim, Dowoo;Koo, Myoung-Wan
    • Journal of KIISE
    • /
    • v.44 no.7
    • /
    • pp.742-747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approach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 word embedding model on top of word2vec with the result of performing like doc2vec in conducting a document classification task. The Word Piece Model(WPM) is empirically proven to outperform other tokenization methods such as the phrase unit, a part-of-speech tagger with substantial experimental evidence (classification rate: 79.5%). Further, we conducted an experiment to classify ten categories of news articles written in Korean by feeding words and document vectors generated by an application of WPM to the baseline and the proposed model. Fro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 report the model we proposed showed a higher classification rate (89.88%) than its counterpart model (86.89%), achieving a 22.80% improvement. Throughout this research, it is demonstrated that applying doc2vec in the document classification task yields more effective results because doc2vec generates similar document vector representation for documents belonging to the same category.

A Study on Categorization of Korean News Article based on CNN using Doc2Vec (Doc2Vec을 활용한 CNN기반 한국어 신문기사 분류에 관한 연구)

  • Kim, Do-Woo;Koo, Myoung-Wan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10a
    • /
    • pp.67-71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word2vec과 doc2vec을 함께 CNN에 적용한 문서 분류 방안을 제안한다. 먼저 어절, 형태소, WPM(Word Piece Model)을 각각 사용하여 생성한 토큰(token)으로 doc2vec을 활용하여 문서를 vector로 표현한 후, 초보적인 문서 분류에 적용한 결과 WPM이 분류율 79.5%가 되어 3가지 방법 중 최고 성능을 보였다. 다음으로 CNN의 입력자질로써 WPM을 이용하여 생성한 토큰을 활용한 word2vec을 범주 10개의 문서 분류에 사용한 실험과 doc2vec을 함께 사용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word2vec만을 활용하였을 때 86.89%의 분류율을 얻었고, doc2vec을 함께 적용한 결과 89.51%의 분류율을 얻었다. 따라서 제안한 모델을 통해서 분류율이 2.62%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Categorization of Korean News Article based on CNN using Doc2Vec (Doc2Vec을 활용한 CNN기반 한국어 신문기사 분류에 관한 연구)

  • Kim, Do-Woo;Koo, Myoung-Wa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6.10a
    • /
    • pp.67-71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word2vec과 doc2vec을 함께 CNN에 적용한 문서 분류 방안을 제안한다. 먼저 어절, 형태소, WPM(Word Piece Model)을 각각 사용하여 생성한 토큰(token)으로 doc2vec을 활용하여 문서를 vector로 표현한 후, 초보적인 문서 분류에 적용한 결과 WPM이 분류율 79.5%가 되어 3가지 방법 중 최고 성능을 보였다. 다음으로 CNN의 입력자질로써 WPM을 이용하여 생성한 토큰을 활용한 word2vec을 범주 10개의 문서 분류에 사용한 실험과 doc2vec을 함께 사용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word2vec만을 활용하였을 때 86.89%의 분류율을 얻었고, doc2vec을 함께 적용한 결과 89.51%의 분류율을 얻었다. 따라서 제안한 모델을 통해서 분류율이 2.62%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 PDF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Model-Based Social Data Collection and Content Exploration (소셜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 알고리즘 기반 범죄 수사 기법 연구)

  • An, Dong-Uk;Leem, Choon Seong
    • The Journal of Bigdata
    • /
    • v.4 no.2
    • /
    • pp.23-34
    • /
    • 2019
  • Recently, the crime that utilizes the digital platform is continuously increasing. About 140,000 cases occurred in 2015 and about 150,000 cases occurred in 2016.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a limit handling those online crimes by old-fashioned investigation techniques. Investigators' manual online search and cognitive investigation methods those are broadly used today are not enough to proactively cope with rapid changing civil crime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that is posted to unspecified users of social media makes investigations more difficult. This study suggests the site-based collection and the Open API among the content web collection method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media where the infringement crimes occur. Since illegal content is published and deleted quickly, and new words and alterations are generated quickly and variously,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m quickly by dictionary-based morphological analysis registered manual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 tokenizing method in the existing dictionary-based morphological analysis through WPM (Word Piece Model), which is a data preprocessing method for quick recognizing and responding to illegal contents posting online infringement crimes. In the analysis of data, the optimal precision is verified through the Vote-based ensemble method by utilizing a classification learning model based on supervised learning for the investigation of illegal contents. This study utilizes a sorting algorithm model centering on illegal multilevel business cases to proactively recognize crimes invading the public economy, and presents an empirical study to effectively deal with social data collection and content investig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