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en structure

검색결과 303건 처리시간 0.023초

조선후기 경복궁 근정전 주요 구조재의 맞춤과 이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Joint and Splice of wooden Structure at Geunjeongjeon Hall of Gyeongbok Pala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 정연상
    • 건축역사연구
    • /
    • 제16권1호
    • /
    • pp.83-99
    • /
    • 2007
  • This study examines the joint and splice of wooden structure at Geunjeongjeon Hall of Gyengbok Palace, which was construc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scope of the study is on the part of columns, the bracket sets, and the frame structure. This research also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vortical load and horizontal load. Firstly, the examination of the joint and splice methods between the pillar and penetrating ties is on the joint and splice methods of the outer and corner. Through the investigation, it is verified that the joint methods between pillar and penetrating tie on the outer and corner pillars is the method of Sagal joints(cross joints, 사개맞춤). Joints used between pillar and penetrating tie are dovetailed tenon joints, between columns and Anchogong(안초공), between columns and Choikgong(초익공) are tenon joint(장부맞춤). Secondly, the examination of the joint and splice methods of the bracket set is on that of Salmi and Cheomcha(첨차), and Salmi and Janghyeo(장혀). Joints used between Salmi and Cheomcha, Salmi and Janghyeo are halved joint, and between each Janghyeo are stepped dovetailed splice. It is Cheomcha that is used the Jujang-Cheomcha(주장첨차) on center line. Therefore it is connected with each bracket set, which gets to is the strong system, easy and convenient on the construction of that. Thirdly, the frame structure of wooden architecture in royal palace is consist of purlins and beams, Janghyeo(장혀, timber under purlin), tall columns, king posts, etc. Through the investigation, it is verified that the joint and splice methods between purlins and beams are used with the methods of Sungeoteok joint(숭어턱맞춤). It is verified that the joint and splice methods between beams and high columns are used with methods of mortise and tenon joint(장부맞춤), is highly related with tensile force. To reduce the separation of parts, sangi(산지) and tishoi(띠쇠) are used as a counterproposal, which were generally used for architecture in royal Palac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continued to be used until these days common wooden architecture.

  • PDF

안동지역(安東地域) 목조교회건축(木造敎會建築)의 형성(形成)과 특성(特性)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Wooden Church Architecture in Andong Area)

  • 김수진;도선붕;한규영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39-4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explain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wooden church architecture in Andong area from 1902 to 1975. Especially, I tri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 of wooden construction and the influence of typical form of Andong church architecture to the small church of nearby Andong rural a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e actual inspection of existing architecture through analysis.

  • PDF

문헌기록(文獻記錄)을 통하여 본 황룡사(皇龍寺) 목탑(木塔)의 결구(結構) 및 의장(意匠)에 관한 재고찰(再考察) (A Study on the Structural Methods and Design of The Wooden Stupa of Hwangnyongsa Temple based on Historical Documents)

  • 권종남;이상해
    • 건축역사연구
    • /
    • 제6권3호
    • /
    • pp.9-22
    • /
    • 1997
  • The Wooden Stupa of Hwangnyongsa Temple, existed from Shilla to Koryo Dynasty, is recognized as a typical model of the Korean wooden stupa. The related records on this stupa are found in some historical documents including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ulcorner}$三國史記${\lrcorner}$. This study,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se documents, attempts to discuss and analyse design and structural methods of the stupa, viz., i) the relationship with both Chinese and Japanese wooden stupa, ii) the height, iii) each floor's linking methods, iv) the 'Noban' (Basement of the upper part), v) structure of the 'Simju' (Central pillar) and vi) the stairs and the handrai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hopefully used for the further researches as well as the restoration of this precious architectural asset.

  • PDF

집성재를 이용한 목공예품의 개발 (Development of Wooden Artifacts with Laminated Lumber)

  • 김사익;김동귀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17
    • /
    • 2002
  • Laminated lumber is an engineered wood products using stress rated, seasoned and selected lumber. Each piece of lumber is graded, and then end jointed to produce the required length.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wooden artifacts with laminated lumber. It is expected through this research that wooden artifacts, which have originality and local character, can be developed by making design of wooden artifacts through the use of plentiful resources around the local area. A development of new design products, an improvement of distributive structure and the achievement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will contribute to develop the industrial artifacts art in Korea.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rporation system between industrial craft companies and universities.

  • PDF

전통목조건축(傳統木造建築) 기둥의 축조(築造) 및 보존방법(保存方法)에 관한 연구(硏究) 일본(日本)의 사례(事例)를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the Method of Constructing and Repairing Column of Traditional Wooden Builing)

  • 김은중
    • 건축역사연구
    • /
    • 제3권1호
    • /
    • pp.45-55
    • /
    • 1994
  • This study deals with the method of constructing and repairing column, important element of traditional wooden building. Column should have long-lasting strength and resistance to decay and vermin because it is more important in role of structure than in that of ornament. And the rotten or the split part of wooden column should be repaired regularly or irregularly. First of all, this study treats of general character related to the life length and strength of wood. Then it describes the technical method of choosing proper wood for column and that of carpentering, painting, and mending wooden column.

  • PDF

목조 구조물 접합부의 강성에 대한 근사평가를 위한 해석모델 (Analysis Model for Approximate Evaluation of Stiffness for Semi-Rigid Connection of Wooden Structures)

  • 조소훈;이헌우;박문재;김태진;김종호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93-100
    • /
    • 2015
  • 현대 목조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접합철물인 연결재를 이용하여 접합된다. 그리고 목조 구조물에서 다수의 연결재를 사용한 접합부는 반강접 접합부를 만든다. 목조 구조물에 접합부가 핀접합으로 설계될 경우에 접합부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이 과소 평가되고 이것은 접합부의 저항능력 부족을 초래한다. 목조 구조물의 접합부를 완전 강접합으로 고려할 경우에 접합에 필요한 접합철물의 양이 과도하게 증가 할 수 있다. 이것은 미적인 요소 뿐만 아니라 시공성과 경제성을 저하시킨다. 접합부의 합리적인 강성에 대한 추정은 목조 구조물의 합리적인 접합부의 설계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 논문은 목조 구조물의 구조설계를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하여 2면 전단접합에 대하여 구조설계에서 널리 이용되는 상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접합부의 근사적인 강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해석 모델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근사해석 모델링 기법은 휨 모멘트, 인장에 대한 실험 결과와 해석결과를 비교하여 접합부의 거동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순창 운림리 농소고분 출토 목관 칠 분석을 통한 제작방법 연구 (Lacquer Layers and Making Methods of the Wooden Coffin Excavated from the Nongso Tomb of Unrimri, Sunchang in Korea)

  • 이혜연
    • 보존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55-362
    • /
    • 2017
  • 순창 농소고분은 적성면 운림리 일대와 내월리 농소마을을 둘러 형성된 구릉지 능선에 위치하고 있다. 고분의 토광은 비교적 깊은 곳에 조성되어 도굴의 피해가 없었으며 전체적으로 다량의 숯으로 채워져 있어 목관이 비교적 좋은 상태로 출토되었다. 고분 구조 및 매장시설, 출토 유물, 방사선탄소연대 측정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농소 고분의 축조시기는 고려시대 후기부터 조선 초기까지로 추정하고 있다. 농소고분에서 출토된 목관은 목곽과 목관의 2중 구조로 목관 외면에 두껍게 옻칠을 하고 금색 문자와 흰색 문양으로 장식되었다. 안료 분석 결과 금색 문자는 금(Au), 흰색 문양은 은(Ag)이 주요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칠 막은 안료 층, 황갈색 층, 검은 층의 3개 층으로 관찰되었다. 검은 층은 그을음과 같은 검은 물질로 목재 바탕의 밑칠로 사용되었다. 황갈색 층은 옻칠로서 정제칠로 추정된다. 목관 칠막 분석을 종합하면 칠 제작방법은 금박을 이용하는 방법과 금분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추정된다. 안료 형태 및 내부 구조상으로는 금박이 유력하지만 표현된 글자의 형태를 보면 금분을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향후 금박과 금분을 이용한 재현실험을 통하여 제작방법을 확인한다면 고분 축조 당시 칠기 제작기술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비파괴 검사에 의한 전통목조건축물의 흰개미 열화 특성 조사 (Evaluation on Termite Damage of the Traditional Wooden Building by Non-destructive Methods)

  • 손동원;이동흡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21-29
    • /
    • 2008
  • 서울시 내에 소재한 현재까지 이용되고 있는 목조건물에 대한 열화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된 목조건물은 겨울철임에도 흰개미에 의한 피해가 진행되고 있었다. 목조건물의 흰개미 피해 실태 및 원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초음파에 의한 비파괴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환경적 열화요인 조사에는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하였다. 비파괴 검사를 통한 기둥부재의 내구성을 조사한 결과 일부 기둥 부재에서는 심각한 강도적 손실이 발견되어 교체가 필요하였다. 조사된 목조건물은 사람이 생활하기 위하여 현대식 난방설비를 설치한 곳으로서 전통적인 목조건물 내부에 난방시스템이 설치됨으로써 연중 비교적 균일한 온도대의 형성 그리고 바닥재에 의한 결로발생으로 인한 수분 제공이 흰개미의 피해가 발생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조사한 목조건물의 흰개미는 일본흰개미, Reticulitermes speratus로 동정되었다. 목조건물은 주위환경에 따라서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환경 조절을 통하여 생물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유지 관리 기술이 필요하였다. 전통건물 내 현대식 시설의 설치는 전통목조건물의 특징을 잘 살리고 내구성에 영향이 없는 시설의 설치가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대한제국기 목조가구 용어 량(樑)의 사용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Using of Ryang, a Word of Wooden Structure in the Daehan Empire)

  • 이연노
    • 건축역사연구
    • /
    • 제25권5호
    • /
    • pp.41-50
    • /
    • 2016
  • This thesis mainly deals with how 'count of Ryang' was used in the Daehan Empire. Count of Ryang means how many purlins were used in the building with longitudinal section. As a result, the notion of Ryang in the Daehan Empire does not differ from now one. But the usages of that are different from the Joseon Dynasty, and from the present. In the Daehan Empire, count of Ryang mainly was appeared with another word, count of Kan. In the Joseon Dynasty, they used the count of Ryang combined with Kan. Count of Kan had the meaning of purlin-directional length. By doing that, count of Ryang indicates the size of flank, count of Kan indicates the length of front. But in the Daehan Empire, count of Kan, especially the beam-directional length was considered at first, and then count of Ryang. Separately they used another count of Kan meaning the area of building. By using the combined words, count of Kan and Ryang in the beam direction, they got focused on the frame of wooden structure than before.

문경 고모산성에서 발굴된 신라시대 지하식 목구조물의 목재 식별 (Wood Identification in Underground Wooden Structure of Shilla Period Excavated at Mungyeong Gomo Sanseong Fortress)

  • 엄영근;허광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73-82
    • /
    • 2007
  • 경상북도 문경시에 위치하고 있는 고모산성에서 발굴된 5세기 무렵 신라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대형 지하식 목조구조물의 부재 시료 12점을 대상으로 광학현미경 기법을 사용하여 수종 식별을 실시한 결과 참나무과에 속하는 활엽수 목재 8점 그리고 소나무과에 속하는 침엽수 목재 4점이 확인되었다. 활엽수 목재 8점 가운데 5점이 상수리나무류, 2점이 졸참나무류 그리고 1점이 밤나무인 것으로 식별되었다. 한편, 침엽수 목재는 4점 모두 소나무인 것으로 식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