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 vinegar liquor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19종 시판 탄화초액의 항산화활성의 평가 및 비교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Nineteen Commercial Carbonated Vinegar Liquors)

  • 김성필;남석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2권4호
    • /
    • pp.174-179
    • /
    • 2009
  • 목초액, 죽초액 및 왕겨초액을 포함한 시판 중인 19종의 탄화초액이 가지는 기능성을 DPPH 라디칼에 대한 전자공여활성과 $Fe^{3+}$인 ferricyanide에 대한 환원력, linoleic acid의 자동산화를 억제하는 지질과산화 억제활성, LPS 자극에 의한 생쥐 대식세포주 RAW264.7세포의 NO생산에 대한 억제활성 및 탄화초액 처리에 의한 RAW264.7세포의 세포독성을 중심으로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탄화원료에 관계없이 정제도가 떨어지는 탄화초액의 경우, 전자공여활성, 환원력, 지질과산화 억제활성 및 NO 생성 억제활성을 포함한 항산화활성과 세포독성은 모두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피부이상 치료용이나 목욕용 정제 탄화액의 경우, 세포독성은 낮지만 전반적인 항산화활성도 낮았고, 특히 염증 유발에 중요한 분자인 NO의 생성을 억제하는 활성도 낮게 나타났다. 19종의 탄화초액 중에서는 왕겨초액이 NO 생성 억제활성을 포함한 항산화활성이 높을 뿐 아니라 세포독성이 낮은 기능성이 뛰어난 탄화초액임이 관찰되었다.

왕겨초액의 산화억제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Chaff Vinegar Liquor)

  • 남동윤;이시림;박철홍;박규식;남상헌;허진철;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30-434
    • /
    • 2010
  • 왕겨초액은 최근 목초액을 대신할 수 있는 소재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왕겨초액과 목초액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고, 왕겨초액과 홍삼 및 로즈마리 농축액과의 발효를 통한 시료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여 보았다. DPPH와 FRAP 활성 실험을 통해 항산화 활성을 알아본 결과, 왕겨초액의 항산화 활성은 목초액 보다는 다고 미흡하나, 로즈마리와의 동시 발효를 통해 왕겨초액의 항산화 활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이취 제거로 인한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시판 목초액의 성분조성 (Compostion of Constituents of Commercial Wood Vinegar Liquor in Korea)

  • 김삼곤;김근수;이윤환;김영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4호
    • /
    • pp.262-268
    • /
    • 2001
  • 국내에서 농업용으로 시판되고 있는 목초액을 dichloromethane으로 추출한 다음 추출물의 성분조성을 조사하였다. 삼나무 [Cryptomeria japonica(L. fil.) D. Don]와 참나무류(Quercus)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목초액의 추출물의 수율은 각각 5.8%와 1.8%이었다. 각각의 추출물은 산 및 알칼리 처리에 의해 산성 분획, 페놀성 분획, 중성 분획 및 염기성 분획으로 구분한 다음 GC 및 GC-MS를 사용하여 각 분획의 구성성분을 분석하였다. 산성 분획 에서는 26종의 성분을 동정하였고, 2종의 시료에서 공통적으로 acetic acid, propionic acid 및 n-butyric acid가 주요 구성성분이었다. 페놀성 분획에서는 32종의 페놀화합물을 동정하였고, 2종의 시료에서 공통적인 주요 구성 성분은 guaiacol, 4-methylguaiacol, phenol, p-cresol, m-cresol 등이었다. 또한 참나무로 제조한 목초액의 페놀성분획에서는 syringol과 4-methylsyringol의 함유비율이 각각 8.89%, 1.72%이었으나 삼나무로 제조한 목초액에서는 두 성분의 함유비율이 각각 1.12%, 0.07%이었고, 삼나무로 제조한 목초액의 페놀성 분획에서는 vanillin(3.31%), acetovanillone(3.11) 및 GC-MS에 의해 잠정적으로 확인된 ethylvanillyl ether(7.75%)의 함유 비율이 높은 편이었으나 참나무 목초액에서 이 성분들의 함유비율은 0.1% 이하이었다. 중성 분획에서 동정된 45종의 성분 중에서 2-furfural, 5-methyl-2-furfural, 3-methyl-2-cyclopenten-1-one, 2-methyl-1-cyclopenten-1-one 등이 주요 구성성분이었고, 이외에도 furan, furfural 및 cyclopentenone 유도체들이 많이 검출되었다.

  • PDF

Inhibitory Activity of Oak Pyroligneous Liquor against Coleosporium Plectranthi, an Obligate Parasite Responsible for the Rust Disease on Perilla Leaf

  • Kumar, Varun;Chauhan, Anil Kumar;Baek, Kwang-Hyun;Kang, Sun-Chul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53-458
    • /
    • 2011
  • BACKGROUND: Coleosporium plectranthi, an obligate parasite,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rust disease of Perilla frutescens, a plant in Korea, commonly known as Perilla. All rusts are obligate parasites, meaning that they require a living host to complete their life cycle. They generally do not kill the host plant but can severely reduce growth and yield. Food and feed spoilage fungi cause great economic losses worldwide. It is estimated that between 5 and 10% of the world food production is wasted due to fungal deterioration. Rust disease of Perilla is highly frequent and is widely spread in Korea.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a novel media for the urediniospore germination in vitro and anti-rust activity as well as GC-MS analysis of oak pyroligneous liquor. METHOD AND RESULTS: Urediniospores were collected from the infected leaf of Perilla. Spore suspension was made and the suspension was inoculated in the 2% water agar media with proper humidity, then they were incubated at $26^{\circ}C$ for 56 hrs. The GC-MS analysis of the oak pyroligneous liquor was also done to check the chemical composition. GC-MS analysis of the wood vinegar was found 15 compounds, among them o-mthoxyphenol (25.93%), 2,6-dimethoxyphenol (16.06%), 4-methylenecyclohexanone (10.69%), 2,3-dihydroxytoluene (7.84%), levoglucosane (6.14%) and propanoic acid (5.32%) were the major components. Different concentration of the oak pyroligneous liquor was used, and spore inhibition was recorded on the basis of spore counting. The best results were noted at the concentration of 50% solution where 31.8% spores were inhibited. CONCLUSION: On the basis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oak pyroligneous liquor and the activity recorded we can use it as an anti-rust ag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