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 sawdust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22초

톱밥과 왕겨 및 숯을 이용하여 제조한 보드의 휨성능 (Bending Strength of Board Manufactured from Sawdust, Rice Husk and Charcoal)

  • HWANG, Jung-Woo;OH, Seung-Wo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4호
    • /
    • pp.315-32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제재부산물인 톱밥과 농업부산물인 왕겨의 이용방안을 검토하고자 친환경재료인 숯을 첨가하여 밀도별, 혼합비율별로 혼합보드를 제조하고 휨성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톱밥과 왕겨 및 숯의 첨가율을 50:20:20, 수지첨가율을 10%로하여 밀도별로 제조한 혼합보드의 밀도가 0.5 g/cm3에서 0.7 g/cm3로 증가할수록 휨강도는 0.42~3.24 N/mm2, 동적탄성계수는 94.5~888.4 N/mm2 그리고 정적탄성계수는 31.4~220.7 N/mm2의 범위를 나타내, 밀도가 증가할수록 휨성능이 증가하여 밀도가 휨성능에 크게 영향을 끼쳤다. 밀도 0.6 g/cm3, 톱밥첨가율을 50%로 하고, 왕겨와 숯의 첨가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보드에서 숯의 첨가율이 증가할수록 휨성능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왕겨 및 숯의 첨가율과 휨강도, 공진주파수, 동적 및 정적 휨 탄성계수사이의 관계는 결정계수의 값(R2)은 각각 0.4562, 0.4310, 0.4589, 0.5847으로 다소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내 첨가율이 휨성능에 끼치는 영향은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Mechanical Properties and Density Profile of Ceramics Manufactured from a Board Mixed with Sawdust and Mandarin Peels

  • Jung-Woo HWANG;Seung-Won OH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2호
    • /
    • pp.98-108
    • /
    • 2023
  • In this study, the boards wer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mandarin peels addition rate using sawdust and mandarin orange peel. After that,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density profile of ceramics prepared by conditions through resin impregnation process and carbonization process were investigated. The bending and compression strengths of ceramics tended to increase as the resin impregnation rate increased. When the resin impregnation rate was 70%, the highest values were 8.58 MPa and 14.77 MPa, respectively. Also,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eramics according to carbonization temperature showed the highest values at 1,200℃ for bending strength of 11.09 MPa and compression strength of 17.20 MPa. The bending strength and compression strength according to the mandarin peels addition rate showed the highest values at 8.62 MPa and 14.16 MPa, respectively, when the mandarin orange peel addition rate was 5%. The mechanical properties tended to decrease when the addition rate of mandarin orange was increased. The density profile of ceramics showed a similar tendency to the mechanical properties. It can be seen that the density distribution from the surface layer to the center layer is more uniform as the resin impregnation rate and carbonization temperature increase and the mandarin peels addition rate decreases.

목재 폼알데하이드 신속검출 공정개발 (Development of Rapid Detection Method for Volatilized Formaldehyde from Wood)

  • 김정임;최근형;권오경;홍수명;박연기;옥용식;김진효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5권1호
    • /
    • pp.55-5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목재로부터 신속한 폼알데하이드 정량분석 시험법을 개발하고자 챔버법을 변형한 방법을 설계하였으며, 톱밥시료는 0.15-2.0 mm 크기의 입자를 사용하였고, 휘발부와 포집부가 분리된 장치에서 휘발온도 및 질소유량별 폼알데하이드 포집률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질소유량 40 mL/min, $100^{\circ}C$ 조건에서 30분간 포집 할 경우 94.8%의 최대 포집률이 확인되었으며, 본 공정의 농도별 폼알데하이드 포집률은 71.0-94.8% ($r^2$=0.9968)로 확인되었으며, 목재 중 총 폼알데하이드 농도가 증가 할수록 휘발된 폼알데하이드량이 정량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2$=0.8234). 목재종류 별 폼알데하이드 평균 함량은 천연톱밥(0.7-4.6 ${\mu}g/g$), 방부목(3.9-5.6 ${\mu}g/g$), 접착제 사용 가공목재(5.9-211.5 ${\mu}g/g$) 순으로 낮은 함량을 확인하였고, 각 그룹별 폼알데하이드 분석결과에 대한 Duncan's multiple range test 수행결과 천연톱밥과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방부목은 95% 신뢰수준에서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천연톱밥과 접착제 사용목재간에는 동일 수준에서 유의차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접착제가 사용된 목재는 본 시험분석을 통해 신속하게 천연목재와 구분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첨가제로서 낙엽송의 수피 및 건조폐액이 리기다소나무 및 신갈나무 펠릿의 연료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ark and Drying Waste Liquor of Larix kaempferi Used as An Additive on The Fuel Characteristics of Wood Pellet Fabricated with Rigida Pine and Quercus mongolica Sawdust)

  • 양인;채현규;한규성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258-267
    • /
    • 2017
  • 리기다소나무와 신갈나무 목분에 낙엽송 수피 또는/그리고 인공건조시 발생하는 폐액을 첨가제로 사용하여 펠릿을 제조하고, 이에 대한 연료적 특성의 분석을 통하여 고등급 목재펠릿 제조를 위한 원료 및 제조조건을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첨가제에 대한 화학적 조성을 조사한 결과, 수피는 90% 이상의 전섬유소와 리그닌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건조폐액은 대부분 당 성분이라 추정되는 0.1%의 고형분을 가지고 있었다. 신갈나무 목분은 수피의 포함으로 회분 함량(2.2%)이 높았으며, 수피와 건조폐액도 4% 이상의 회분을 가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목분 및 첨가제의 발열량은 모두 국립산림과학원(NIFOS)에서 고시한 "목재제품의 규격과 품질기준"의 목재펠릿 1급 기준(18.0 MJ/kg) 보다 높았다. 피스톤형 펠릿성형기로 제조한 펠릿은 첨가제의 양이 2 wt%인 관계로 회분함량과 발열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내구성의 경우, 대부분의 제조 조건에서 첨가제의 사용에 의하여 증가하였다. 한편 첨가제로 수피 그리고 목분의 함수율 조절을 위하여 건조폐액을 함께 첨가하여 제조한 펠릿의 내구성은 첨가제없이 제조한 펠릿과 차이가 없었으며, 수피 또는 건조폐액을 각각 첨가제로 사용하여 제조한 펠릿보다 낮았다. 그러나 펠릿 제조비용 측면에서 건조폐액은 폐수처리에 따른 수익이 가능한 관계로 수피와 건조폐액을 공동으로 펠릿 제조에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생각한다. 피스톤형 펠릿성형기로 제조한 펠릿의 연료적 특성 측정 결과를 토대로 파일럿 규모의 평다이펠릿성형기로 리기다소나무 및 신갈나무 펠릿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펠릿의 함수율은 목분 및 첨가제의 사용과 상관없이 NIFOS 1급 기준($${\leq_-}$$10%)을 모두 만족하였다. 이에 대한 겉보기밀도와 내구성 측정결과를 종합하면, 첨가제의 사용은 리기다소나무의 경우 목분 함수율을 10%로 조절하고 수피나 건조폐액을 사용하는 것이 그리고 신갈나무의 경우 12%의 목분 함수율에 수피를 사용하는 것이 각각의 최적 목재펠릿 제조 조건이라 생각한다. 신갈나무 펠릿의 회분 함량을 제외하고 이 조건에서 제조한 목재펠릿의 품질은 NIFOS 목재펠릿 1급 기준을 크게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톱밥혼합율(混合率)이 파이티클보오드재질(材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sawdust addition on the quality of particle board)

  • 박수경;서문배;이필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권1호
    • /
    • pp.33-37
    • /
    • 1976
  • 본 연구(硏究)에서는 합판공장(合板工場) 및 목재공장(木材工場)이면 어디서나 나오는 톱밥을 효율적(效率的)으로 이용(利用)하고자 하는 목적(目的)으로 P.b.에 섞어 사용(使用)할 때 P.b.의 곡강도(曲强度), 흡수율, 함수율, 비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분석(分析) 고찰하였다. 결과(結果) 및 고찰에 의해서 얻어진 본연구(本硏究)의 결론(結論)은 다음과 같다. 1) P.b.의 bending strength에 있어서 톱밥을 섞지 않은 것과 비교해서 5% 섞은 것 까지는 차(差)가 없으며 10%, 15%섞으면 곡강도가 떨어졌으며 20% 섞은 것은 현격한 차이(差異)가 생겼다. 2) Absorbility는 톱밥을 섞을 수록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20% 섞은 경우는 현격한 증가가 생겼다. 3) 함수율과 비중(比重)은 각 구성간에 차이(差異)가 없었다. 분산(分散) 분석(分析)을 한 결과(結果)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이상과 같이 톱밥을 P.b. 제조시(時)에 5% 정도 섞는 것은 P.b 의 질(質)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보강재료(補强材料)를 첨가(添加)한 톱밥보드의 물리적(物理的) 성질(性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Sawdust-Board Combined With Reinforce Material)

  • 이필우;박헌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1권3호
    • /
    • pp.31-38
    • /
    • 1983
  • 파티클보드의 단점중(短點中) 하나인 저(低)휨강도(彈度)를 개선(改善)하고 건축재료(建築材料)로서 개발(開發)하기 위한 목적(目的)으로, 본(本) 실험(實驗)에서는 톱밥보드를 프라스틱 강(網)과 철강(鐵網)으로 보강(補强)시켜 보드의 물리적(物理的), 기계적(機械的) 성질(性質)을 개선(改善)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實驗結果), 밀도(密度)에서는 철강(鐵網)을 3장 구성(構成)시킨 보드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휨 강도에서도 밀도(密度)가 가장 높았던, 철망을 3장 구성(構成)시킨 보드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고지(古紙)를 섞어서 만든 보드도 다른 보드와 비슷한 강도(强度)를 보여 고지혼용(古紙混用)보도의 가능성(可能性)을 나타냈다. 철강(鐵網)을 구성(構成)시킨 보드는 정하중(靜荷重)에 의(依)해 영구변형(永久變型)이 발생(發生)되어도 쉽게 파괴되지 않는 현상(現象)을 보였다. 보강(補强)된 보드와 합판(合板)과의 강도적(强度的) 성질(性質)을 비교(比較)해 본 결과(結果), 보강(補强)된 보드보다 합판(合板)이 훨씬 높은 수준(水準)을 보였다.

  • PDF

톱밥 제조기용 3차원 절삭 헬리컬형 드럼의 개발 (Development of a Helical Type Drum with an Oblique Cutting Condition for the Sawdust Machine)

  • 오상엽;배용환;하민수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419-424
    • /
    • 2004
  •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awdust machine, the helical type drums with an oblique cutting condition (3D) were developed. The preexisting drums have an orthogonal cutting condition (2D) considering of a saw cutter and a wood cutting pattern. Unfortunately, the disadvantages of this type drum are the big cutting resistance, the high cost of a cutting power and the extreme occurrence of a vibration. To improve this shortcoming, the helical type drum with an oblique cutting condition was developed. Therefore, this type drum decreased the vibration and the cutting resistance of the sawdust machine, and also improved the productivity of 30% or more and the porosity of the sawdust.

  • PDF

톱밥 제조기용 3차원 절삭 헬리컬형 드럼의 개발 (Development of a Helical Type Drum with Oblique Cutting Condition for Sawdust Machine)

  • 오상엽;배용환
    • 한국공작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작기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8-92
    • /
    • 2004
  • We developed a helical type drum with an oblique cutting condition for sawdust machine. The existing drum has an orthogonal cutting(2D) condition considering of saw cutter and wood cutting pattern. Additional disadvantage of this type include big cutting resistance, high cost of cutting power and extreme occurrence of vibrations. To improve this shortcoming, we developed a helical type drum with an oblique cutting(3D) condition, therefore, this type drum decreased the vibration and cutting resistance of sawdust machine, and also improved productivity and sawdust porosity.

  • PDF

톱밥과 왕겨로 제조된 혼합세라믹의 물성 - 수지함침율 및 소성온도의 영향 - (Properties of Ceramics from a Board Mixed with Sawdust and Rice Husk - Effect of Percentage of Resin Impregnation and Carbonization Temperature -)

  • 오승원;박금희;정인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3호통권131호
    • /
    • pp.30-37
    • /
    • 2005
  • 톱밥과 왕겨를 혼합하여 보드를 제조한 후 페놀수지에 함침율 40~70%로 함침한 후 소성온도 $600{\sim}1200^{\circ}C$에서 소성하여 혼합세라믹을 제조한 다음 수지함침율과 소성온도에 따른 혼합세라믹의 밀도변화, 중량 및 치수감소율과 휨강도를 조사하였다. 수지함침율이 증가함에 따라 소성 후 두께 및 중량 감소율은 감소하였고 밀도와 휨강도는 증가하였다. 소성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소성 후 길이, 두께 및 중량 감소율은 증가하였고 밀도는 소성온도 $800^{\circ}C$까지는 증가하다가 $1200^{\circ}C$ 에서는 약간 감소하였다.

방염처리가 톱밥-귤박 혼합파티클보드의 흡음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lame Resistant Treatment on The Sound Absorption Capability of Sawdust-mandarin Peel Composite Particleboard)

  • 강춘원;;강호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4호
    • /
    • pp.511-517
    • /
    • 2015
  • 방염처리에 의한 톱밥-귤박 혼합파티클보드의 방염성능과 흡음성능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톱밥과 귤박을 혼합하여 파티클보드를 제작하였다. 보드로부터 원반형 시험편을 제작하여 무처리 보드에 2마이크로폰 전달함수법으로 보드의 흡음률을 측정하고 동일한 시험편에 방염수지를 도포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흡음률을 측정하였다. 방염성능 시험은 무처리와 방염처리 톱밥-귤박 혼합파티클보드를 45도 연소챔버에서 연소하여 탄화면적을 비교하였다. 방염처리에 의해시험편의 중량은 6.3% 정도 증가하였으며 탄화면적은 46.7% 정도 감소하였다. 흡음률은 측정주파수범위(500-6,400 Hz) 에서 방염처리 시험편이 무처리 시험편보다 약간 낮게 나타났다. 무처리와 방염처리 톱밥-귤박 혼합파티클보드의 흡음성능은 측정주파수 영역에서 상용 석고보드(두께 11 mm)보다 우수한 흡음성능을 나타내어 비내력벽 등의 흡음판으로의 이용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