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 particle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29초

목분-폴리프로필렌 복합재의 수분흡수율 : 목재수종, 충진제 입자크기 및 상용화제의 영향 (Water Absorption of Wood Flour-Polypropylene Composites: Effects of Wood Species, Filler Particle Size and Coupling Agent)

  • 강인애;이선영;도금현;전상진;윤승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4호
    • /
    • pp.298-30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목분 첨가된 폴리프로필렌 복합재의 수분흡수 특성에 목재수종, 화학조성분, 충진제 함량, 입자크기 및 상용화제의 첨가가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 알아보았다. 500, 1,000, 1,500, 2,000, 2,500 및 3,000 시간 동안 물에 침지시킨 후, 상수리나무(Quercus accutisima Carr.)와 다릅나무(Maackia amuresis Rupr. et Maxim)는 낙엽송(Larix kaempferi Lamb.)에 비하여 훨씬 낮은 물흡수도를 보였다. 모든 수종에서 목분의 함량이 10 wt%로부터 50 wt%까지 증가할수록, 주어진 시간동안 물에 침지시켰을 때 복합재의 수분흡수율이 증가하 였다. 목분의 입자크기는 복합재의 수분흡수율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용화제의 첨가는 복합재의 수분흡수율을 낮추는데 아주 효과적이다. 가장 낮은 수분흡수율은 다릅나무 목분을 이용하고, 목분의 함량이 낮을수록, 목분의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그리고 상용화제를 첨가했을 때 얻을 수 있다. 복합재의 두께팽창은 수분흡수율과 아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고대 먹의 특성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zation on Ancient Ink Stick)

  • 남태광;신수정;박원규;김병로
    • 보존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5-17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고대 먹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선조들의 조묵방법 및 기술을 파악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고목재와 고문서의 묵서부의 먹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고목재(창덕궁 신선원전 적심)를 연륜연대분석한 결과 1899년에 벌채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고목재에 씌어진 먹의 연대를 추정할 수가 있었다. 고대 먹 원료인 그을음의 단일입자크기는 고목재의 경우 평균 107nm로 가장 크게 분석되었고, 12개의 고문서의 경우 38~86nm범위를 나타냈다. 응집체입자크기 분석 결과 고목재의 경우 평균 370nm로 단일입자크기와 같이 가장 크게 분석되었으며, 고문서의 경우 평균 206~318nm로 분석되었고, 단일입자크기와 응집체입자크기 간에는 같은 경향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단일입자크기와 응집체입자크기로 그을음의 원료를 분석할 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고목재와 고문서 묵서부분의 박편상먹의 적외선 및 라만 분광분석에서는 목재나 종이의 간섭으로 먹 입자의 스펙트럼을 얻을 수 없었다. 고목재에서 분리한 분말먹의 라만 분광분석에서는 현대 송연 그을음과 유사한 라만 스펙트럼패턴을 보여, 송연먹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이식용(移植用)Pot의 제조(製造) 및 그 효과(効果)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Manufacture of Fiber Pot and its Effect for the Good Transplanting)

  • 김지문;이화형;권기원;송호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9
    • /
    • 1980
  • 본(本) 연구(硏究)는 산지이식(山地移植)에서 Jiffy pot를 fiber pot로 대체가능(對替可能)한가 알아보기 위해 수행(遂行)되었다. fiber pot는 fiber, wood waste particle, particle 량(量)의 10%에 해당하는 bark powder로 만들어졌고 또 latex가 결합제(結合劑)로 첨가(添加)되었다. pot는 식물(植物)이 자라는 동안 pot벽(壁)의 wood fiber 분해(分解)에서 생기는 배양토(培養土)의 N흠핍증(欠乏症)을 막기 위해 충분(充分)한 요소액(尿素液)으로 spray되었다. fiber pot의 이용가능성(利用可能性)은 온실조건(溫室條件)하에 두 수종(樹種)의 service test에서 Jiffy pot와 비교(比較)되었다.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된다. 1. 비중(比重), 비인열도(比引裂度), 비파열도(比破裂度)에 있어서 30% wood fiber+10%의 bark powder를 포함(包含)한 70% particle과 3% latex로 된 fiber pot가 Jiffy pot에서와 같은 좋은 결과(結果)를 나타냈다. 흡수력(吸水力)에 있어서는 50% fiber+50% particle과 3%-latex로 된 fiber pot가 가장 좋은 결과(結果)를 나타냈다. 뿌리의 pot벽(壁) 관통(貫通), 취급편의성(取扱便宜性)에 대(對)한 상기(上記) 물리적(物理的), 기계적(機械的) 성질(性質)을 고려(考慮)할 때 30%fiber+70%particle과 3%-latex로 된 fiber pot가 좋을 것으로 보였다. 2. Jiffy pot와 마찬가지로 fiber pot에서도 묘목생장(苗木生長)에는 아무런 해(害)가 없었다. 뿌리의 pot벽(壁) 관통능력(貫通能力)은 Jiffy pot보다 fiber pot가 다소 뒤지나 운반(運搬)에 의(依)한 pot의 손상(損傷)은 Jiffy pot보다 약간 더 경미(輕微)했다.

  • PDF

입자크기 및 열처리가 목재 셀룰로오스의 결정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t Treatment and Particle Size on the Crystalline Properties of Wood Cellulose)

  • Kim, Ah-ran;Kim, Nam-Hu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3호
    • /
    • pp.299-31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목분입자 크기 및 열처리가 목재 셀룰로오스의 결정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형태학적 특성, 셀룰로오스 결정특성, 화학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목분의 색은 열처리 온도가 $100^{\circ}C$에서 $200^{\circ}C$로 높아짐에 따라, 진한 황색에서 진한 갈색을 보였다. 열처리 목재셀룰로오스의 상대결정화도는 목재?에서 200 mesh로 목재의 입자 크기가 작아질수록 낮은 값을 보였으며, 결정폭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온도가 $100^{\circ}C$에서 $200^{\circ}C$로 증가함에 따라 목재의 상대결정화도가 증가하였고, 결정 폭의 변화는 뚜렷하지 않았다. FT-IR분석 결과, 열처리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OH 신축에서 피크가 점차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1425cm^{-1}$의 리그닌 C-H 굽힘과, $1370cm^{-1}$의 헤미셀룰로오스 C-H 굽힘은 열처리 온도의 증가에 따른 차이를 보기 어려웠다. $1235cm^{-1}$의 OH-phenolic 신축의 특성 피크와 $1031cm^{-1}$ 부근의 탄수화물의 C-C 신축이 열처리 온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목재의 입자크기 및 열처리는 목재 셀룰로오스의 결정특성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다.

목질.시멘트보드의 물리.기계적 성질, 열전도성 및 내화성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Thermal Conductivity and Fire-Proof Performance of Wood-Cement Board)

  • 서진석;박종영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1-38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wood-based panels and wood-cement board for the possible uses as flooring and wall materials. The optimum cement/wood ratio(C/W ratio) of wood~cement board manufactured by clamp-pressing was from 2.7 to 3.2. The dimesional stability was superior in the C/W ratio of 3.2. Particularly,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cement board using fine particle for particleboard face layer was favorable through three levels of C/W ratio. According to types of wooden material, bending strength of cement board using coarse particle for particleboard core layer or old newspaper(ONP) fiber was relatively higher than others. Thermal conductivities of wood-cement boards were no lower than that of gypsum board, and higher than those of plywood and boards. In case of wood-cement board of the C/W ratio of 2.7, the fire-proof performances of cement composite boards were greater than that of gypsum board, and weight loss reached to about a half of gypsum board. Then, wood-cement boards showed superior fire-proof performance compared to wood-based panels.

  • PDF

신갈나무, 소나무, 낙엽송 목분의 함수율 및 크기가 목재펠릿의 연료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wdust Moisture Content and Particle Size on The Fuel Characteristics of Wood Pellet Fabricated with Quercus mongolica, Pinus densiflora and Larix kaempferi Sawdust)

  • 김성호;양인;한규성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6호
    • /
    • pp.757-767
    • /
    • 2015
  • 본 연구는 신갈나무, 소나무, 낙엽송 목분을 이용하여 flat-die pelletizer로 제조한 목재펠릿의 연료적 특성에 대한 목분 함수율 및 크기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각 수종별 화학적 조성을 조사한 결과, 회분 함량은 신갈나무에서, 리그닌 함량은 소나무와 낙엽송에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각 목재펠릿의 연료적 특성은 펠릿 함수율의 경우 소나무에서 가장 낮았으며, 겉보기밀도는 낙엽송, 소나무, 신갈나무 순으로, 내구성은 낙엽송, 신갈나무, 소나무 순이었다. 각 수종별 목분 함수율에 따른 목재펠릿 함수율, 겉보기밀도, 내구성을 측정한 결과, 목분 함수율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수종의 목재펠릿 함수율과 내구성은 증가하였으며, 신갈나무와 낙엽송 펠릿의 겉보기밀도는 감소하였다. 각 수종별 목분 크기에 따른 목재펠릿 함수율, 겉보기밀도, 내구성을 측정한 결과, 목분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낙엽송 펠릿의 함수율과 겉보기밀도 그리고 신갈나무 펠릿의 겉보기밀도는 증가하였다. 한편, 목분 크기의 감소는 신갈나무, 소나무, 낙엽송 펠릿의 내구성 증가에 기여하였다. 각 목분 함수율별 신갈나무, 소나무, 낙엽송 펠릿의 함수율, 겉보기밀도, 내구성에 목분 크기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12% 함수율 목분으로 제조한 신갈나무 펠릿의 겉보기밀도와 내구성은 목분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한편 대조구로 사용된 낙엽송 펠릿의 내구성은 10% 및 12%의 목분 함수율 조건에서 목분 크기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8% 목분 함수율 조건에서 목분 크기의 감소와 함께 내구성이 증가하였다. 제조된 목재펠릿의 연료적 특성과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한 최적 목분 함수율 및 크기는 신갈나무의 경우 10%와 2 mesh 그리고 소나무의 경우 12%와 2 mesh라는 결론을 얻었으며, 이 조건에서 제조한 목재펠릿의 모든 연료적 특성은 국립산림과학원 목재펠릿 품질규격 1등급 기준을 크게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목재파티클을 이용한 재생보드의 제조특성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of Boards Recycling Waste Wood Particle)

  • 김외정;서진석;한태형;박종영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120-127
    • /
    • 2006
  • 폐목질원료로서, 제재, 합판, PB, MDF와 폐침목 등의 해머밀에 의한 파쇄특성과 재생파티클 종류와 혼합비율에 따른 재생보드의 물성을 구명함으로써, 보드원료로서 재자원화 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재생보드의 휨성질은 목질원료의 입자형태 및 입도분포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파티클, 섬유와 같은 element가 압축고화된 상태의 판넬(PB, MDF)로부터 재생한 파티클은 물성저하를 초래하였다. 그러나, 재생파티클에 이미 도포 경화된 수지에 의해 재생보드의 치수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보드원료로서의 적합한 요건은 건전폐목재(제재, 합판)와 저급폐목재(PB, MDF)의 적정한 혼용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전폐목재 재생파티클과 재생 PB파티클의 혼용시험에서 제재파티클이 휨성질(MOR, MOE)과 박리강도에 기여하고, 합판파티클은 치수안정성에 더욱 기여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보드의 중층용 원료로 재생PB파티클의 혼합비율을 증가함에 따라서 보드의 휨성능이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혼합률 40%까지는 유의차가 없이 보드 15형(MOR : $153kgf/cm^2$, MOE : $27.5tonf/cm^2$) 수준의 성능이 구비되었다. 향후 생활폐목재(폐가구 등)와 같은 저급폐목재의 활용방안이 강구된다면 보드원료의 수급에 한층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침엽수 혼합목분에서 배양조건을 달리한 Fomitopsis palustris 의 균체외효소 활성 변화 (Effect of Various Culture Conditions on the Activity of Extracellular Enzymes from Fomitopsis palustris, Brown Rot Fungi)

  • 이영민;최두열;김현정;윤정준;김영숙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4권1호
    • /
    • pp.53-59
    • /
    • 2008
  • 목질 바이오매스(wood biomass)를 효율적으로 분해하는 최적 배양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국내 침엽수 4수종(소나무, 낙엽송, 잣나무, 리기다소나무)의 목질바이오매스를 혼합하여 목분의 적정입도, 배양기간, 기질첨가농도별 균주의 균체외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혼합목분을 기질로 했을때 Fomitopsis palustris가 분비하는 균체외효소 활성은 효소 종류에 따라 기질농도, 목분입도, 및 배양기간등의 배양조건에 따라 다른 효소활성 값을 나타냈다. 침엽수 혼합목분을 기질로 했을 때 대부분의 cellulase 분비를 유도하는 최적 조건은 목분 입도, 80~100 mesh, 기질 농도는 7.5%가 적정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최적의 목분입도 및 투입농도 조건에서 배양기간은 4~8주로 적절한 것으로 구명되었다.

  • PDF

Study on the Fluidized-Bed Drying Characteristics of Sawdust as a Raw-Material for Wood-Pellet Fuel

  • Lee, Hyoung-W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2호
    • /
    • pp.30-36
    • /
    • 2006
  • Wood fuel must be dried before combustion to minimize the energy loss. Sawdust of Japanese red pine was dried in a batch type fluidized-bed to investigate the drying characteristics of sawdust as a raw material for bio-fuel. The minimum fluidization air velocity was increased as particle size was increased. It took about 21 minutes and 8 minutes to dry 0.08 m-deep bed of particles with average particle size of 1.3 mm from 100% to 10% moisture content at air temperature of $20^{\circ}C$ and $50^{\circ}C$, respectively.

Influence of Hwangto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Wood Flour Reinforced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Composites

  • Lee, Sun-Young;Doh, Geum-Hyun;Kang, In-Aeh;Wu, Qingli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2호
    • /
    • pp.69-78
    • /
    • 2007
  •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wood flour, Hwangto (325 and 1,400 mesh per 25,4 mm) and coupling agent-reinforced HDPE composite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Hwangto and maleated polyethylene (MAPE) were used as an inorganic filler and a coupling agent, respectively. The addition of Hwangto and MAPE to virgin HDPE also increased the Young's modulus in the smaller degree. The addition of wood flour and Hwangto to virgin HDPE increased the tensile strength, due to the high uniform dispersion of HDPE by high surface area of Hwangto in HDPE and wood flour. MAP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the tensile strength. When wood flour was added, there was no notable difference on the tensile properties, in terms of Hwangto particle size. Hwangto also improved the flexural modulus and strength of reinforced HDPE composites. With different particle sizes of Hwangto, there was no considerable difference in flexural modulus and strength of reinforced HDPE composites. The addition of Hwangto showed slightly lower impact strength than that of wood flour. However, the particle size of Hwangto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act strength of reinforced composites. In conclusion, reinforced HDPE composites with organic and inorganic fillers provide highly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over virgin HD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