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llastonite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7초

A Preliminary Study on the Roles of Fe Content and Neoformed Ca-rich Minerals in the Coloration of Ceramic Glazes

  • Lee, Min Hye;Han, Min Su;Kim, Ji Hye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75-283
    • /
    • 2020
  • Iron oxides are the essential coloring oxides in traditional ceramic glazes. However, when Fe is involved in the coloration in the form of ions or colloids in glazes with low Fe conten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iron oxide phases. Generally, in many these glazes, Ca-rich minerals are observed by X-ray diffraction (XRD) or microscopic images, owing to their devitrification by the high Ca content. This study attempts to elucid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rystalline structure and coloration in the glazes while mainly focusing on neoformed Ca-rich minerals and Fe content. An experimental firing was carried out to produce tree ash glazes, with pine tree ash and Buyeo feldspar. In the case of oxidation glazes,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images and XRD patterns did not exhibit any Ca-rich crystals, and all the visible light reflectance spectra lines exhibited a similar shape. In contrast, the reduction glazes divided into blue glazes and other colored glazes according to the shapes of their reflectance spectra.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Ca-rich minerals on the glaze color was more pronounced than the blue color of the reduction glazes when the Ca and feldspar contents were sufficiently high and low, respectively, to form wollastonite. As the Ca content increased and the elemental composition of the reduction glazes changed, the neoformation of the Ca-rich minerals, such as wollastonite, anorthite, diopside, and akermanite was sequentially observed.

화산회토양(火山灰土壤)에서의 인산(燐酸)의 시용량(施用量)과 시비법(施肥法) 및 규회석(硅灰石)의 효과 (Rate and method of application for phosphorus and the effect of wollastonite on Volcanic ash soil)

  • 유인수;윤정희;김인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5-30
    • /
    • 1978
  • 흑색(黑色) 화산회토(火山灰土)에 있어서 인산(燐酸)의 시비량(施肥量)과 시비법(施肥法) 그리고 규산(珪酸)의 시용효과(施用效果)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제일작(第一作) 콩 파종시(播種時)에 처리(處理)하여 제이작(第二作) 보리 및 제삼작(第三作) 콩에서 잔효(殘效)를 보았는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인산(燐酸)의 한계시용량(限界施用量)은 대체(大體)로 콩에서는 10~20kg10a, 보리에서는 약(約) 100kg10a로 볼 수 있었다. 인산(燐酸)의 시용응수(施肥應酬)는 콩에서 낮고 보리에서 높기 때문에 보리 재배(栽培)를 위(爲)하여는 토양개량(土壤改良)이 우선(優先) 되어야 하며 인산(燐酸) 100kg/10a를 시용(施用)했을 때 생산력(生産力)은 2배(倍)로 증가(增加)되었다. 2.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含量)은 인산(燐酸) l00kg/10a를 시용(施用)했을 때 제일작(第一作) 수확후(收穫後) 토양(土壤)에서 175ppm이었으나 제이작(第二作) 수확후(收穫後) 토양(土壤)에서는 69ppm으로 떨어졌고 인산(燐酸) 흡수계수(吸收係數)는 1,146mg/100g에서 1,764mg/100g으로 높아졌다. 원토양(原土壤)의 유효인산(有效燐酸) 및 인산흡수계수(燐酸吸收係數)는 33ppm 및 2,290mg/100g이었다. 3. 인산(燐酸)의 가장 효율적(效率約)인 시용방법(施肥方法)은 퇴비혼용파조시용법(堆肥 混用播條施肥法)이었으며 그 잔효(殘效)는 제삼작(第三作)에 까지 크게 나타났다. 4. 충분량(充分量)의 인산시용(燐酸施用) 조건하(條件下)에서 검토(檢討)된 규회석(珪灰石)의 효과(效果)는 매우 컸고 그 잔효(殘效)도 삼작(三作)에 까지 크게 나타났다. 5. 규회석(珪灰石)의 효과(效果)는 보리에서 보다 콩에서 더욱 컸다. 즉 일작(一作) 콩에서 30% 이작(二作) 보리에서 12%(잔효(殘效)), 삼작(三作) 콩에서 20%(잔효(殘效))의 증수효과(增收效果)를 보였다. 최고수량(最高收量)은 콩에서 1,000kg/10a, 보리에서 500kg/10a 시용구(施用區)에서 나타났다.

  • PDF

수도(水稻)에 대(對)한 불화수소(弗化水素)가스 피해경감(被害輕減)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소석회(消石灰), 규회석(珪灰石)의 적정시용량(適正施用量) (Studies on the Reduction of Hydrogen Fluoride Damage to Rice Plant II. Optimum Application of Lime and Wollastonite)

  • 김복영;한기학;곽판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63-168
    • /
    • 1981
  • 농작물(農作物)에 대(對)한 불화수소(弗化水素)가스의 피해(被害)를 경감(輕減)시키기 위(爲)하여 피해경감제(被害輕減劑)로서 소석회(消石灰) 규회석(硅灰石)을 토양(土壤)에 증시(增施)하여 수도(水稻)를 재배(裁培)하고 $0.05g/m^3$$0.10g/m^3$의 불화수소(弗化水素)가스를 1시간(時間)씩 접촉(接觸)한후(后) 수량감소정도(收量減少程度), 피해엽율(被害葉率), 식물체중(植物體中)의 불소함량(弗素含量) 및 규산함량(珪酸含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소석회(消石灰) 및 규회석시용량(硅灰石施用量)에 따른 불화수소(弗化水素)가스에 의(依)한 피해경감효과(被害輕減效果)는 석회(石灰) 중화량(中和量)+150kg/10a이 가장 좋았고, 규회석(硅灰石)은 150kg/10a 시용(施用)이 가장 효과(效果)가 좋았다. 2. 식물체중(植物體中) 불소함량(弗素含量)과 피해엽율(被害葉率)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피해(被害)가 증가(增加)되었다. 3. 가스접촉(接觸) 식물체중(植物體中) 불소함량(弗素含量)이 많았던 구(區)에서 수확기(收穫期) 식물체중(植物體中) 규산함량(珪酸含量)이 많았다. 4. 시용량(施用量) 증가(增加)에 따라서 토양중(土壤中) 가용성(可溶性) 규산함량(珪酸含量)이 增加하였고 식물체중(植物體中) 규산함량(珪酸含量)도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다.

  • PDF

벼에 대한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의 분시효과 (Application effect in split doses of silicate fertilizers on rice plant)

  • 이윤환;신천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55-161
    • /
    • 1974
  • 약제(藥劑) 무방제상태(無防除狀態)에서 벼에 대한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의 분시효과를 검토(檢討)한 결과(結果) 규회석(珪灰石)이나 합성고농도규산용융물(合成高濃度珪酸熔融物) 공(共)히 전량기비구(全量基肥區)의 규산흡수량(珪酸吸收量)이 전생육기간(全生育期間) 가장 높았으며 생육(生育)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분시구(分施區)의 짚중규산함량(中珪酸含量)과의 차이(差異)는 좁혀지고 수확기(收穫期)에는 거의 차이(差異)가 없었다. 비종간(肥種間)에 있어서는 역용성(易溶性) 규산용융물(珪酸熔融物)의 비효가 규회석(珪灰石)보다 높았으며 추비효과도 현저(顯著)하였다. 분시(分施)에 의(依)하여 무방서(無防徐)에 의한 50%의 엽도열병(葉稻熱病) 이병률(罹病率)을 규회석(珪灰石)은 20~40%로 감소(減少)시켰고 합성고농도규산용융물(合成高濃度珪酸熔融物)은 5~15%로 감소(減少)시켰다. 또한 수수도열병(穗首稻熱病)도 무방제구(無防除區)의 50% 이병율(罹病率)을 각각(各各) 20%로, 10%로 감소(減少)시겼다. 즉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의 시비시기(施肥時期)는 전량기비(全量期肥)가 가장 우수(優秀)하나 추비(追肥)로써도 사용(使用)될 수 있으며 최고분벽기(最高分蘗期) 이전(以前)에 시용(施用)되어야 하고 추비용(追肥用)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는 난용성물질(難溶性物質)보다 유효규산함량이 높고 역용성(易溶性) 규산용융물(珪酸熔融物)을 사용(使用)하는 것이 추비효과를 높일 수 있으나 미세분말(微細粉末)의 풍산(風散)과 엽부착등(葉附着等)을 고려(考慮)한 시비방법(施肥方法)이 모색(摸索)되어야겠다.

  • PDF

Description of The Geology of The Sangdong Tungsten Deposit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Exploration Using Geochemical Techniques

  • Han, Tai Hwan
    • 자원환경지질
    • /
    • 제11권4호
    • /
    • pp.143-167
    • /
    • 1978
  • The Sangdong tungsten (mostly scheelite) mine is located on the southern limb of a major syncline, the Hambaeg syncline, in a thick sequence of lower Paleozoic sedimentary rocks in the mideastern part of south Korea. Productive scheelite mineralization in Sangdong area is confined to one single formation, the Myobong Slate. Four major ore beds, which have an lateral extension over than 1 km and were not heavily subjected to spatial disturbance, are developed in the Myobong Formation. The original materials of the ore-comprising horizones were probably of either calcareous or silceous sediments. The four ore beds, especially in the case of Main ore bed, display both lateral and vertical zoning. Association quartz-mica-scheelite is predominant in the central, while association hornblende-quartz-diopside-scheelite, diopside-garnet and wollastonite-garnet are developed in this order towards the periphery of the ore beds. Petrologically, two phases of thermometamorphism are recognized. The first phase is represented by the association wollastonite-garnet and diopside-garnet, while the second phase by the association hornblende-quartz-diopside-scheelite and quartz-mica-scheelite. The associations of the second phase do constitute prodctive ore. The high background value of tungsten in the area surrounding the Sangdong mine reveals that the area can be considered a geochemical zone enriched in tungsten. Studies on the trace element patterns were carried out to draw useful criteria for the purpose of future geochemical exploration in the area. The increasing trend of the ratio Rb $({\times}1000)/K_2O$ of the Myobong Slate towards the known mineralization area proved to be indicative for the presence of tungsten mineralization.

  • PDF

사질답(砂質沓)에 있어서 개량제 시용(施用)이 수도증수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soil amendments on rice yield in sandy soils)

  • 임재현;박경배;이일호;정연태;박래경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3-89
    • /
    • 1979
  •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特性)이 불량(不良)한 사질답(砂質畓)을 개량(改良)코저 규회석(珪灰石), Dolomite, 객토(客土), 퇴비등(堆肥等) 개량제를 병용했을때 이들 개량제가 수도수량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밝히고저 시험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토양중의 무기성분(無機成分) 변화는 개량제 시용(施用)에 의(依)하여 석회(石灰), 고토(苦土), 규산함량(珪酸含量)이 증가되었고 pH도 높게 유지(維持)되었다. 2. 식물체 무기성분(無機成分) 함량중(含量中) 석회(石灰) 규산함량(珪酸含量)은 객토(客土) Dolomite 규회석등(珪灰石等)의 개량제 시용(施用)에 의하여 증가되었다. 3. 규회석(珪灰石)과 Dolomite 시용(施用)에 의(依)하여 식물체중 인산함량(燐酸含量)은 관행(慣行)에 비(比)해 전생육기간(全生育期間)을 통(通)하여 감소(減少)되었고 가리함량(加里含量)도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 이후(以後)부터 감소(減少)되었다. 4. 가장 증수된 개량제처리는 객토(客土)+Dolomlte+N 증시처리로서 19% 증수되었으며, 규회석(珪灰石)+유기물처리에서도 10% 증수되었다. 이들 증수요인은 등숙율증가에 기인(基因)되었다.

  • PDF

사양토(砂壤土)에 규산성분비료(珪酸成分肥料) 처리시(處理時) 규산용출량(珪酸溶出量) 변화(變化) (Changes of Silica Solubility in the Suspension of Sandy Loam Soil Treated with Silicate Fertilizers)

  • 이기상;안윤수;이경수;하호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21-325
    • /
    • 1986
  • 유효규산함량이 61 ppm 사양토(砂壤土)에서 규회석(硅灰石) 및 규산질비료시용(珪酸質肥料施用)에 의한 규산용출(珪酸溶出)의 변화(變化)에 관(關)해서 실내(室內)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규회석(硅灰石) 및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를 토양(土壤)에 처리(處理)하고 증류수(蒸溜水) 및 1N-NaOAc(pH 4.0)로 연속침출(連續浸出)했을 때 각(各) 침출용액중(浸出溶液中)의 규산용출농도(珪酸溶出濃度)는 규회석(硅灰石)보다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 처리(處理)에서 높았다. 2. 규회석(硅灰石) 및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를 토양(土壤)에 처리(處理)하고 증류수(蒸溜水)로 연속침출(連續浸出)했을 때 pH는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보다 규회석처리(硅灰石處理)에서 높았다. 3. 규회석(硅灰石) 및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를 토양(土壤)에 처리(處理)하고 항온(恒溫)했을 때 규회석처리(硅灰石處理)는 시용량(施用量)이 많아짐에 따라 수용액중(水溶液中)의 $SiO_2$ 및 K 농도(濃度)는 낮아졌고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에서는 높아졌으며 pH, Ca 및 Mg 농도(濃度)은 두비종(肥種) 모두 높아졌다. 4. 토양(土壤)에 pH를 달리하여 규산용액(珪酸溶液)을 흡착(吸着)시킨 결과(結果) pH 9.4 정도(程度)에서 최대(最大)로 흡착(吸着)되었다.

  • PDF

석조문화재 보존처리에 사용되는 혼합충전제의 특성분석 (Characteristic Analysis on Mixed Filler of Conservation Materials for Stone Cultural Heritage)

  • 송치영;한민수;이장존;전병규;도민환
    • 보존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39-450
    • /
    • 2009
  • 접착용 에폭시 수지 L-30과 충전용 에폭시 수지 L-50을 대상으로 활석, 규사, 규회석을 중량비 5, 50, 80, 120, 150% 비율로 혼합하여 첨가제에 따른 에폭시수지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각 재료의 점도와 색도를 측정하고, 이온크로마토그래피 분석, 주사전자현미경관찰을 실시하였다. 또한 실제 석조문화재 적용 시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초음파속도와 압축강도, 접촉각 측정을 실시하였다. 활석을 혼합한 경우 에폭시 몰탈은 낮은 초음파 속도를 보이며, 압축강도는 배합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규회석을 혼합한 에폭시 몰탈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초음파 속도를 보이며, 배합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이는 석조문화재의 접착 충전제의 물성이 첨가제의 특성, 즉 입도 및 형태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제는 수지의 종류는 물론 첨가제의 종류와 특성, 배합비에 따른 특성이 다르므로, 문화재 적용 시에는 이를 고려한 처리제의 선택이 중요하다.

  • PDF

수도(水稻)의 동피해(銅被害)에 대한 물관리(管理) 및 석회물질(石灰物質)의 효과(效果) (Effect of Water Management and Lime Application on the Growth and Copper Uptake of Paddy Rice)

  • 김규식;김복영;이민효;한기학;김만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02-107
    • /
    • 1985
  • 수도(水稻)에 대(對)하여 토양(土壤)에서 동(銅)의 농도(濃度)를 달리하고 개량제(改良劑)로서 무시용(無施用) 소석회(消石灰)(중화량(中和量)+150kg/10a) 및 규회석(硅灰石)(200 kg/10a)을 시용(施用)한 후(後)에 간단관수(間斷灌水)와 상시담수(常時湛水)로 조절(調節)하여 pot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수량(收量)은 동(銅) 처리농도(處理濃度)가 높을수록 감수(減收)되었으며 유의성(有意性)있는 토양중(土壤中) 감수농도(減收濃度)는 간단관수(間斷灌水) : 133.1 ppm 상시담수(常時湛水) : 136.8 ppm이었다. 2) 동(銅) 200 ppm인 토양(土壤)에서 소석회(消石灰) 시용(施用)으로 26${\sim}$30% 규회석(硅灰石) 시용(施用)으로 27${\sim}$48% 증수(增收)되었고 상시담수(常時湛水)하므로 간단관수(間斷灌水)보다 증수(增水)되었다. 3) 동(銅) 함량(含量)이 높을수록 수량(收量) 구성요소중(構成要素中) 주당(株當) 총수등열율(總數登熱率) 및 천립중(千粒重)이 감소(減少)되고 소석회(消石灰) 및 규회석시용(硅灰石施用)으로 수수(穗數)와 입수(粒數)가 적었다. 4) 동(銅) 함량(含量)이 높을수록 현미(玄米) 및 경엽중(莖葉中)의 동(銅) 함량(含量)이 증가(增加)되고 상시담수(常時湛水) 및 소석회(消石灰) 계규회석(桂灰石) 시용(施用)으로 그 함량(含量)이 적어졌다. 5) 토양중(土壤中) Cu/Ca+Mg 당량비(當量比)가 증가(增加)할수록 경엽중(莖葉中) 동(銅) 함량(含量)이 높았다. 6) 석회물질(石灰物質) 시용(施用)으로 토양(土壤) pH는 소석회(消石灰)>규회석(硅灰石)>무시용(無施用) 순(順)이었다. 7) 시험토양중(試驗土壤中) 동(銅) 함량(含量)은 상시담수(常時湛水)가 간단관수(間斷灌水)보다 높았다.

  • PDF

CaO-SiO2-B2O3계 결정화 유리의 제조와 in-vitro법을 이용한 생체활성 평가 (Preparation of CaO-SiO2-B2O3 Glass-ceramics and Evaluation of Bioactivity Using in-vitro Test)

  • 류현승;서준혁;김환;홍국선;김득중;이재협;이동호;장봉순;이춘기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90-497
    • /
    • 2002
  • $CaO-SiO_2-B_2O_3$계의 결정화유리의 소결 특성 및 기계적 특성, 생체활성을 알아보았다. 이 조성의 결정화유리는 750-830${\circ}$ 사이에서 소결 되었으며 치밀한 미세구조를 보였다. 이 결정화 유리는 단사정계 월라스토나이트(monoclinic wollastonite), 칼슘보레이트(Calcium borate, $CaB_2O_4$) 결정상과 보로실리케이트(borosilicate) 유리 기지상(matrix)의 3상으로 구성되었다. 기계적 강도는 지금까지 알려진 다른 생체활성 세라믹스보다 우수하였으며 특히 압축강도(2813 MPa), 파괴인성($3.12 MPa{\cdot}m^{1/2}$)이 높았다. 생체활성은 결정화유리 중 calcium borate와 보로실리케이트 유리의 양에 의존하였는데, 용해도가 높은 calcium borate는 의사체액(SBF)의 칼슘이온의 과포화도를 상승시키고 borosilicate 유리는 탄산아파타이트 핵생성에 필요한Si-OH기를 형성시켜 탄산아파타이트 층이 빨리 생성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CaB_2O_4$와 borosilicate 유리가 많을수록 결정화유리의 생체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