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sh to renovat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노인의 주거공간 개조의사에 관한 연구 (The Elderly Willingness to Improve Residential Environment)

  • 곽인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6호
    • /
    • pp.141-153
    • /
    • 2009
  •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esidential spaces that the elderly wish to renovate and their willingness to improve residential environment as they grow old. The analysis shows, first, the most inconvenient places as they grow old are the stairs, following by the toilet and the bath. Second, the place that the elderly most wish to renovate is the floor, upgrading floors with non-slippery materials. And they wish to remove the height differences on the floor to protect them from tripping over, upgrade the floor plan for their convenience and renovate the storage and working spaces at the kitchen and dining areas. The more the government supports the costs of the residential renovation service, the more the elderly are willing to use the renovation service.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willingness to residential renovation are health, residential environment, experience to accidents and their allowances. The elderly who experienced accidents inside their residence are more willing to renovate their house. Even though the elderly wish to renovate their houses, it's not carried out due to the financial difficulties and the lack of information. Thus, the government should share the useful information about residential renovation for the safety of the elderly and find a way to raise money to cover the costs of the renovation.

소수자의 정보빈곤과 도서관의 책무 (Information Poverty of Minorities and Responsibilities of Libraries in Korean Society)

  • 이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1-31
    • /
    • 2019
  • 이 글의 목적은 한국사회에서 도서관이 정보와 교육 그리고 문화의 영역에서 사회적 소수자를 위한 필수적인 '공익 장치'로 거듭나기 위한 전략과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먼저 한국사회에서 소수자와 정보빈곤이 갖는 보편적 의미에 주목하면서, 소수자의 정보빈곤에 관한 한국 학계의 문제인식과 대응방법 그리고 그 성과와 한계에 대해 논의한다. 이어서 논점을 한국 도서관계로 좁혀서, 소수자의 정보빈곤에 대한 한국 도서관계의 문제인식과 대응실태를 추적한다. 이 과정에서 한국 도서관계가 주목해온 소수자의 정체와 정보빈곤의 실체를 밝혀내고, 관련 학술연구와 도서관서비스의 성과와 한계 그리고 문제점에 대해 논의한다. 마지막 논의는 소수자 정책의 건강성을 회복하기 위한 한국 도서관계의 책무에 집중된다. 소수자 정책의 이론적 근거를 강화하기 위해 도서관학자들이 담당하여야 하는 책무와 실효적인 소수자서비스의 개발을 위해 도서관 현장의 사람들이 준수하여야 하는 원칙과 전략에 대한 제언이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