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nter survival rate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7초

65세 이상 노인 약물 중독 환자의 예후 인자 (Prognostic Factors of Acute Poisoning in Elderly Patients)

  • 김지윤;정현민;김지혜;한승백;김준식;백진휘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1-87
    • /
    • 2011
  • Purpose: Incidents of suicide attempt and acute poisoning in the elderly population is ris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linical nature of acute poisoning and differences between the survival and mortality groups in the elderly. Methods: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325 patients with acute poisoning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survival and one death group. Information regarding patient sex, age, root cause of poisoning, time of year of poisoning, type of intoxicant, duration of time between intoxicant ingestion and arrival at the emergency department, total length of hospital stay, and any previous suicide attempts and subsequent hospitalization were collected. An initial Glasgow Coma Scale (GCS) and an initial and final Poison Severity Score (PSS) for each patient was calculated. Results: The survival rate for men was higher than for women in this study. The most common reason of drug intoxication was suicide, with accidental ingestion and substance abuse occurring in descending frequency. Seasonal factors were reflected in the data with the highest number of incidents occurring in spring and the lowest number in winter. Compared with the mortality group, the survival group had a lower initial PSS with a higher GCS. Conclusion: We conclude that being female, having suicide as a root cause, agrochemicals as an intoxicant, low initial Glasgow Coma Scale and high initial Poisoning Severity Score, are all associated with poor prognosis.

  • PDF

월동전후 초지관리에 관한 연구 V. 초지조성시 3요소 시비수준이 목초의 월동과 이른 봄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Grassland Management in Late-Autumn and Early-Spring V. Effect of application levels NPK fertilizer at pasture establishment on witer survival, early spring growth and yield of grasses)

  • 서성;박문수;한영춘;이종경;조무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41-147
    • /
    • 1989
  • 본 시험은 草地造成時 3要素 施肥水準(標準施肥R 區와 3要素 無施肥區 등 13처리)이 목초의 월동, 이른 봄 생육과 수량 둥에 미치는 영향을 究明하고자 水原 畜塵試驗場 草地試驗團에서 1987년 9월 3일 orchardgrass를 單播하여 1988년 6월까지 수행 하였다. 목초의 월동율은 대체로 標準肥뻐(80-200-70kg/ha) 이상의 질소시비구에서 90% 내외로 높았으며, 질소 및 3요소 무시비구에서는 각각 76%와 64% 로 낮았고, 목초의 월동에는 질소와 칼리시비의 영향이 컸다. 이른 봄 生育도 標準服 이상의 질소시비구에서 양호하여 수확당시 出穩率은 50 -70 % 였으며, 절소 및 3요소 무시비구는 각각 20-26%와 15-18%로 생육은 가장 더디었다. l차 乾物收量은 질소 및 3요소의 시비수준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으며 (p<0.05), 질소 빛 3 요소 무시 비구에서는 標準肥區 收量의 60-70%로 낮았고, 이른 봉철 질소 50% 增맨區에서는 收量의 보상효과가 인정되었다. 2次 收量에서는 처리간 유의차는 없었으며, 질소 및 3요소 무시비구의 수량은 標準服區의 90% 이상을 보여 주었다. 租蛋白質含量은 질소시비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p< 0 0.05), 그루터기중 저장탄수화물含量은 施服水準別 차이없이 35-39%로 높았다. 본 시험의 결과로서 造成當時 3要素 拖肥는 목초의 월동율향상과 이른 봄 生塵性增大에 크게 유리하였으며, 그 중 질소비료의 영향이 가장컸고, 주 성당시 부족한 施服量(특히 질소비료)은 이른 봄 충분한 追肥施用으로 어느 정도 보상이 되었으며, 草地 造成時 適正施肥水準은 標準施肥量인 ha당 질소 80, 인산 200, 칼리 70 kg이 바람직할 것이다.

  • PDF

보리 유묘기의 염처리가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Physiological Response of Winter Barley to Salt Stress at Seedling Stage)

  • 최원열;권용웅;박종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34-538
    • /
    • 1997
  • 보리 품종들의 염해반응의 생리적 특성과 품종간 차이를 이해하여 간척지에서의 재배법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NaCl용액으로 염해를 유발하여 생장저해정도, 엽록소 및 유리 proline 함량, 그리고 엽수분 potential 등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품종간 생육저해 정도는 상당히 큰 차이를 보였는데 대조구에 비해 NaCl용액(Ψ/sub π/ =-20bar) 처리의 경우 초장은 2∼22%, 유묘건물중은 25∼39%가 감소되었다. 2. 엽록소함량은 대조구에 대하여 염분처리구에서 33∼49% 감소되었고 엽건물 g당 유리 proline 함량은 대조구가 0.2∼0.3mg이나 염분처리 구는 9.6∼14.7mg으로 32∼74%나 증가되었다. 3. 엽수분 potential은 대조구가 -3.0 ∼ -4.1bar이나 염분처리구에서는 -7.4 ∼ -11.2bar와 -15.0 ∼ -17.9bar로 낮아졌으나 시간의 경과함에 따라 품종간 차이는 많지는 않았다. 4. 품종별로 엽생존율은 백동>밀양1002>올보리>두루보리>향맥의 순으로 높았으나 유묘 건물중 감소율은 백동>올보리>향맥>밀양1002>두루보리 순이었다. 5. 염처리구에서 제2엽의 유리 proline 증가율은 밀양1002>향맥>백동>두루보리>올보리의 순이 었다.

  • PDF

병원성 비브리오균과 동물성 플랑크톤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Pathogenic Vibrios and Zooplankton Biomass in Coastal Area, Korea)

  • 장동석;김창훈;유홍식;김신희;정은탁;신일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57-566
    • /
    • 1996
  • 병원성 비브리오균은 생선회를 즐겨 먹는 우리나라의 식습관 때문에 여름철 식중독 원인 세균 중에서 제일 빈도가 높은 세균이다. 특히 매년 여름철이면 콜레라 파동으로 활선어 판매금지 조치 등으로 생산어민 및 생선 횟집 경영자들의 경제적 손실은 매우 크다. 더구나 콜레라균이 해수에서 동물성 플랑크톤에 부착하여 월동한다는 보고도 있어서 실제로 우리 나라 연안 해수에서 콜레라균이 플랑크톤에 부착하여 월동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검토한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1. 우리 나라 남해안의 해수, 어패류 및 동물성 플랑크톤에서 V. parahaemolyticus, V. vulnificus, V. cholerae non O1, V. mimicus는 검출되었으나 V. cholerae O1은 검출되지 않았다. 2. 동물성 플랑크톤은 해수에서 각종 병원성 비브리오균의 증식이나 부착, 생잔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3. 병원성 비브리오균의 동물성 플랑크톤에의 부착율은 대장균에 비하여 높은데 염분 농도 $5\%_{\circ}$ 일 경우에는 $60\%$이상으로 높았으나, 염분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적으로 흡착율은 감소하였으며 염분 농도 $20\%_{\circ}$이상, pH 8.0 이상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4. 병원성 비브리오균은 $25^{\circ}C$의 해수에서는 플랑크톤이 존재할 때가 그렇지 않을 때 보다 균의 생잔율이 크게 나타났으나, $0^{\circ}C$에서는 플랑크톤의 존재 유무에 관계없이 $2\~3$일 이내에 균수가 급격히 감소되었다. 5. 미세 조류나 사멸시킨 동물성 플랑크톤의 존재가 병원성 비브리오균의 증식이나 생존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 PDF

한국 남해안에 이식한 중국산 해만가리비, Argopecten irradians의 동절기 성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Growth of the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in Winter Season in South Sea of Korea)

  • 오봉세;정춘구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71-79
    • /
    • 1999
  • To develop new products for aquaculture, which fishermen at South Sea can get high income, after bay scallop was transplanted from Sandong province in China from October 17, 1996 to March 18, 1997 at Duekrang Bay in Janghung gun and Kamak Bay in Y대녀 City on Chollanam province, Sumjin river estuary in Hadong gun and Gejae Bay in Keoje city on Kyongsangnam proince. Temperature was decreased from 20.5$^{\circ}C$ to 5.1$^{\circ}C$ in February and then it was increased to 12.0 in March. Ranges of salinity, DO and Chlorophyll-a were 22.40-34.70 psu, 5.24-9.77 mg/l and 1.27-22.28 $\mu\textrm{g}$/l, respectively, and low temperature, sudden changes of salinity and low concentration of chlorophyll-a influenced the growth of bay scallop. bay scallop in the rearing period showed the fastest growth from October 17 to November 18 through the every size rages, while it grew slowly or stopped growing from December 18 to March 18. Among 4 transplanted areas, young scallop at Duekrang Bay showed the fastest growth and then Kamak Bay, Gejae Bay, Sumjin estuary in order. The daily growth rate of young scallop in the middle size range (5.70%) was higher than those in large (2.07%) and small (5.49%) size range. The meat weight index showed the highest in December. Survival rates from October to December were high, not related to the size ranges, but survival rate of the small young scallop from January to March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rest. As the Result, transplanted bay scallop at South Sea was shown to grow by the middle of December (around 1$0^{\circ}C$ temperature).

  • PDF

국내에 도입된 Sedum album L.의 생육 특성 및 저토심 옥상 녹화 시스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Shallow Green-Roof Systems of Sedum album L. Introduced in Korea)

  • 김인혜;허무룡;허근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5호통권112호
    • /
    • pp.69-82
    • /
    • 2005
  • These studies were carried out (1)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Sedum album L. in the field, (2) to propose a suitable shallow peen roof system for this plant, and (3) to evaluate plant growth in the proposed system over the long term. The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morphological properties, growth habit, shade tolerance, and flowering, were surveyed. In experimental shallow green-roof systems, the effects of drainage type, substrate type, and soil depth on plant growth were investigated. Then drought tolerance was investigated. After planting Sedum album L. in the proposed system survival rate, cover, and resistance to insects, heal and cold were evaluated for about 2 years.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summarized below. 1. In the field, the aboveground part of Sedum album L. did not die back during the winter. Plant height was 4$\sim$7 cm. Roots were distributed to a depth of 5$\sim$7 cm. Sedum album L. is a compact ground-cover plant that spreads vigorously. Shading condition of less than $30\%$ of full sunlight didn't cause any trouble, but shading conditions above $87\%$ made the shape of the shoots and leaves abnormal. The plant bloomed from June to August and had a rather large compound umbel of white, star-shaped flowers. 2. Two systems, a drainage-blend-10 cm soil depth and a reservoir$\cdot$drainage-blend-15 cm soil depth, performed best in terms of cover, fresh weight, and dry weight. The first has an advantage for green roofs because it is lighter than the latter. 3. In drainage-blend-10 m soil depth and modified reservoir · drainage-blend-10 cm soil depth system no plants died for about 4 months after stopping the irrigation. The visual quality of the latter system was above 5 for 4 months and that of the former was under 5 after 2 months. In the field, however, the drought tolerance of Sedum album L. grown in the former would be enough to withstand the dry season. Considering the urban ecosystem and the importance of healthy growth the modified reservoir $\cdot$ drainage-blend-10 cm soil depth system was finally recommended. This system was composed of a 4 cm thick drainage layer and drain outlets placed at a height of 2.5 cm. 4. In the proposed system, the survival rate was $100\%$, and there was no injury induced by insects and heat. The leaf density decreased a little in winter. Cover increased throughout the year. Sedum album L. was planted with a cover of 72$cm^{2}$ on 3 April 2003; on 16 June 2003 and 15 June 2004, cover was $132.66\pm$5.87 $cm^{2}$(1.8 times) and $886.98\pm$63.51 $cm^{2}$(12.3 times), respectively.

수온 하강에 따른 참돔, Pagrus major의 생존율 및 생리 반응 (Surviv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Red Sea Bream Pagrus major with Decreasing Sea Water Temperature)

  • 신윤경;김영대;김원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31-136
    • /
    • 2018
  • 겨울철 수온의 변동으로 우리나라 남해안 연안에 위치하고 있는 어류가두리 양식장에서 관리하고 있는 어류의 폐사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온대성 어류인 참돔을 대상으로 저수온 하한내성 범위 및 수온 하강에 따른 호흡률, 암모니아질소 배설률과 혈액내 산화스트레스 반응을 조사하였다. 참돔의 하한내성수온은 $6.54^{\circ}C$(95% 신뢰한계: $6.31{\sim}6.76^{\circ}C$)였다. 산소소비율은 수온 하강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하한수온에서 최저치를 나타내었다. 혈액 내 삼투질농도는 수온 $5^{\circ}C$$6^{\circ}C$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혈액 내 SOD는 모든 실험구 가운데 수온 $5^{\circ}C$에서 유의하게 활성 증가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참돔을 양식할 수 있는 지역선정 및 겨울철 발생하는 동계 폐사원인 규명을 위한 자료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월동기 저수온 충격에 따른 양식산 가숭어 Mugil haematocheilus의 생리생화학적 반응 (Effect of Cold Shock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Cultured mullet, Mugil haematocheilus in Winter)

  • 강덕영;강희웅;김규희;조기채;김효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26-233
    • /
    • 2007
  • Physiological responses of mullet Mugil haematocheilus to cold shock in winter were investigated. The experimental mullets were initially acclimated at $10.0^{\circ}C$ and then the water temperature was reduced to $-1.2^{\circ}C$ for cold shock experiment. The stress responses was monitored for nearly 50 hours. The parameters monitored include survival rate, plasma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glucose (GLU), total protein (TP), electrolytes $(Na^+,\;K^+,\;Cl^-)$, cortisol and thyroid hormones $(TT_4,\;TT_3,\;FT_4\;and\;FT_3)$. With the exception of the TP and electrolytes, most parameters changed significantly during the cold shock. The survival rate did not change from $10^{\circ}C\;to\;-0.6^{\circ}C$, but decreased significantly below $-1.0^{\circ}C$, and was zero at $-1.2^{\circ}C$. The plasma AST and ALT concentrations increased remarkably from $2.5^{\circ}C\;to\;0.5^{\circ}C$ and from $2.5^{\circ}C\;to\;1.5^{\circ}C$, respectively, and then declined rapidly as the temperature decreased to $-1.2^{\circ}C$. The plasma GLU concentration did not change until -0.5'E, and then the concentr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at $-1.2^{\circ}C$. The plasma cortisol concentration increased remarkably from $2.5^{\circ}C\;to\;-0.5^{\circ}C$, and then declined at $-1.2^{\circ}C$. The plasma thyroid hormones showed two changes during the cold shock. Both plasma 74 concentrations increased remarkably from $2.5^{\circ}C$\;to\;0.5^{\circ}C$, then declined rapidly until $-1.2^{\circ}C$, while both plasma 73 concentrations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10^{\circ}C\;to\;2.5^{\circ}C$, and then remained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centration at $10^{\circ}C$.

야외조건에서 인공사육에 의한 팥나방 발육과 월동태 (Development of Matsumuraeses phaseoli (Lepidoptera: Tortricidae) Reared on an Artificial Diet under Outdoor Conditions and Its Over-wintering Stage)

  • 정진교;서보윤;조점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87-293
    • /
    • 2014
  • 팥나방 (Matsumuraeses phaseoli) (나비목: 잎말이나방과)은 한국에서 팥 (Vigna angularis)과 녹두 (Vigna radiata)의 꽃과 꼬투리를 가해하는 주요 해충의 하나인데, 수원지방에서 이 곤충의 발육 특성과 월동태를 추정할 목적으로 야외 ($37^{\circ}$16'N $126^{\circ}$59'E 35ASL) 조건에서 인공사육을 통해 발육과정이 관찰되었다. 갓 부화한 유충 집단들은 약 14일 간격으로 인공사료를 이용하여 1년 이상 야외에서 사육되었는데, 봄에서 고온인 여름철로 감에 따라 발육기간이 짧아지고, 가을철로 감에 따라 다시 길어지는 경향이었다. 유충 혹은 번데기 발육에서 여름철 하면 현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2008년 10월 8일 사육이 시작된 집단은 번데기 상태로 월동하였는데, 6%의 생존율을 보이며 이듬해 4월말 우화하였다. 10월 23일에 사육이 시작된 집단은 노숙유충태로 월동하였는데, 이듬해 4월말 용화하여, 5월 초중순에 2%의 최종 생존율을 보이며 우화하였다. 한편 실내에서 사육되어 5령까지 발육된 유충들을 11월과 2월 사이에 야외로 옮겨 사육하였을 때, 생존하는 개체들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항온조건 ($25^{\circ}C$, 15L:9D)에서 갓 산란된 알을 11월과 12월 중에 야외로 옮겨 유지하였을 때, 월동하여 부화하는 알은 발견되지 않았다. 또 항온조건에서 갓 우화한 성충들을 11월과 12월 중 야외로 옮겨 사육하였을 때, 모두 사망하였다. 이 결과로 팥나방은 한국의 수원지방에서 10월 중 부화한 유충들이 유충과 번데기로 월동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논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품종별 파종시기가 월동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eties and Seeding Date on Over Winter and Dry Matter Yield of Italian Ryegrass in Paddy Field)

  • 김맹중;최기준;김종근;서성;윤세형;임영철;임석기;권응기;장선식;김형철;김태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21-328
    • /
    • 2009
  • 논에서 내한성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조 중 만생 숙기별 Kospeed, Kowinmaster, Hwasan 101호 3품종을 파종시기별로 9월 30일부터 5일 간격으로 10월 20일까지 5처리 파종하여 이듬해 5월 17일에 수확하였고 단위면적당 입모수, 월동률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시험을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수원에서 수행하였다. 논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조생종(Kospeed)의 출수기는 5월 7일에서 5월 13일이며 파종일이 늦으면 출수일도 늦어졌다. 또한 조생품종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개화최성기에 수확할 수 있어 건물수량이 높고 모내기를 적기에 할 수 있었다. 중생종(Kowinmaster)은 5월 16일에 출수하였고, 만생종(Hwasan 101)은 생육시기가 늦어 출수 전에 수확하여 모내기를 5월 20일에 마쳤다. 중부지방에서 적기 모내기를 위해 5월 17일 수확한 건물수량은 9월 30일에 파종한 시험구의 조생종 Kospeed는 7,909 kg/ha이며, 중생종 Kowinmaster 6,398kg/ha, 만생종 Hwasan 101호 5,204kg/ha이었다. 건물수량이 높은 조생종(Kospeed)의 논에서 적정 파종시기는 9월 30월에서 10월 5일까지이며 중 만생종은 파종시기가 빨라도 조생종보다 건물수량이 감소하였다. 파종시기에서 9월 하순에서 10월 5일까지는 건물수량이 차이가 없었으나 그 이후는 월동률도 급격히 떨어져지고 건물수량도 감소하였다. 또한 중 만생종은 숙기가 늦어 수분함량이 많아 사일리지 품질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중부지방에서 내한성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논 재배는 조생종 품종으로 10월 5일 이전에 파종해야 건물수량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