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ndbreak effect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초

Deltacon공법을 통한 해안 침식지의 복구 효과 연구 (The Restoration Effect of Deltacon Method in Coastal Erosion)

  • 한봉호;박석철;이풍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35-50
    • /
    • 2017
  • This study is to see the recovery effect of the Deltacon method by investigating the amount of sand deposition, the topographical cross section and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to derive the effective recovery method of coastal erosion area. The target areas of this study include Jinri coastal dune, Bajireum coastal dune and Seopori coastal dune in Deokjeok-do Island, Ongjin-gun, Incheon. In order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the coastal erosion area recovery, the soil profile structure map was prepared on the site and then the amount of sand deposition within 1m was calculated indoors. The vegetation recovery status of the costal erosion area was assessed via the analyses of the topographical profile structure and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we aim to derive the effective recovery plan of the Deltacon method with the results. With the Deltacon method, structures with ductile material, special non-woven fabric bags filled with soil and vegetation can be performed therefore the structuralstability and prevention of sand erosion can be achieved. The amounts of sand deposition of Bajireum coastal dune, Seopori costal dune and Jinri costal dune were calculated $0.98{\sim}2.54m^3$, $1.02{\sim}2.96m^3$, and $0.27{\sim}0.75m^3$, respectively,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costal erosion recovery is actively performed for Bajireum costal dune and Seopori costal dune. The analysis results of vegetation structures by topography show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send collecting net in steep areas has been highly effective and the Deltacon-constructed target areas have been restored to vegetation and the costal dune, which is similar to the natural dune. The investigation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in Deokjeok-do Island costal dune, Incheon displayed similar research results of the existing costal dune flora and confirmed the emergence of Lathyrus japonicus, Carex kobomugi, Elymus mollis, Vitex rotundifolia, and Calystegia soldanella and others. In order to carry out further effective recovery with the Deltacon method, improvements to rootage of herbaceous vegetation are needed in areas without foredune herbaceous vegetation, and continuos maintenance & management monitoring of connected windbreak forest to costal dunes are also necessary.

황화물(黃化物) 및 불화물(佛化物)이 수도생육(水稻生育)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II. 오염지역(汚染地域)에서의 방풍막설치(防風幕設置)에 따른 생육(生育) 및 수량변이 (Influence of Sulfur and Fluorine Compounds on the Growth and Yield of Rice Plants;II. Growth and Yield Profiles with a Isolated Windbreak Under Stressed Conditions in Fields)

  • 박완철;신응배;김광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0-135
    • /
    • 1988
  • 울출공업단지주변지역중(蔚出工業團地周邊地域中) 대기오염(大氣汚染)의 영향(影響)을 많이 받고있는 특정지역(特定地域)에 방풍막(放風幕)을 설치(設置)하여 배출원(排出源)에서 방출(放出)되는 대기오염물(大氣汚染物)의 영향(影響)을 줄이고, 피해원인(被害原因)을 구명(究明)하기위해 방풍막(放風幕) 앞뒤의 오염도(汚染度)와 수도(水稻)의 생육상태(生育狀態)를 조사(調査),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방풍막(放風幕) 후면(後面) 3m지점(地點)의 대기중(大氣中) $SO_2$ 및 HF농도(濃度)와 엽내유황(葉內硫黃) 및 불소함량(弗素含量)은 다른 조사지점(調査地點)보다 낮았으며, 대기중(大氣中) $SO_3$농도(濃度)와 엽내유황함량(葉內硫黃含量), 대기중(大氣中) HF농도(濃度)와 엽내불소함량간(葉內弗素含量間)에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막후면(幕後面) 3m지점(地點)의 수량(收量)과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는 다른 조사지점(調査地點)보다 현저히 높은 수치(數値)를 보였다. 2. 대기중(大氣中) $SO_2$ 및 HF농도(濃度)보다는 엽내유황(葉內硫黃) 및 불소함량(弗素含量)이 수도(水稻)의 수량(收量) 및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와의 높은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 PDF

조기낙엽에 따른 참다래(골드러쉬) 무착과 유목 액아의 발아와 착화 (Regrowth of Buds and Flower Bud Formation in Kiwifruit as Affected by Early Defoliation)

  • 곽용범;김홍림;채원병;이재한;이응호;김진국;이용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01-206
    • /
    • 2013
  • 본 연구는 태풍에 의한 참다래 (골드러쉬) 조기 낙엽이 무착과 유목의 액아 발아와 착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7, 8, 9, 및 10월에 인위적인 적엽처리를 하였다. 먼저 당해연도 액아의 재발아는 7월 적엽처리에서는 무처리의 23.2%와 마찬가지로 높은 재발아율을 나타냈다. 또한 8월의 경우 무처리의 재발아율은 5.8%로 낮았지만 적엽처리구는 17.23%의 높은 재발아율을 나타냈다. 하지만, 9월 적엽처리는 무처리의4.2%와 비슷한 낮은 재발아율을 나타냈으며, 10월 적엽처리에서는 재발아가 전혀 되지 않아 액아가 완전히 휴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적엽처리에 의한 익년 착화율은 적엽시기와 적엽률에 따라 큰 영향을 받았다. 적엽 시기 중 7, 8, 9월에 75% 및 100% 적엽처리구는 무처리에 비해 유의성 있는 착화율 감소를 보인 반면, 10월 적엽처리는 적엽률에 관계없이 착화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착화 신초 한 개에 맺히는 꽃봉오리 수의 경우 75% 이상 적엽이 될 경우 무처리에 비해 절반 이하로 감소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7월과 8월의 경우 적엽에 의해 꽃눈의 원기형성이 진행되어야할 액아의 재발아율이 높아 원기 형성이 감소했기 때문이며, 9월과 10월은 액아의 꽃눈 원기 형성은 어느 정도 이루어졌으나 광합성 산물 생산을 위한 잎의 부족 또는 부재로 저장양분 축적이 부족하여 이듬해 봄 꽃눈의 형태적 분화가 감소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