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ite ginseng extract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7초

고려인삼(高麗人蔘)의 노화억제작용(老化抑制作用)에 관한 연구(硏究) 제1보(第1報) 홍삼(紅蔘)과 백삼(白蔘)의 노화억제작용(老化抑制作用) 비교연구(比較硏究) (Studies on the Anti-aging Action of Korean Ginseng (I) Comparative Study of Red and White Ginsengs on Anti-aging Action)

  • 최진호;오성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23-335
    • /
    • 1983
  • 홍삼(紅蔘)과 백삼(白蔘) 항산화작용(抗酸化作用)에 의한 노화억제작용(老化抑制作用)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80% ethanol extract 및 수포화(水飽和)부탄올로 이행(移行)한 saponin을 시료(試料)로 하여 in vitro 및 in vivo 실험(實驗)을 통하여 홍삼(紅蔘)과 백삼(白蔘)의 노화억제작용(老化抑制作用)을 비교(比較)하였다.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電子供與能)(EDA), TBA value 및 peroxide value에 의한 과산화지질생성억제작용(過酸化脂質生成抑制作用), superoxide dismutase 및 peroxidase의 활성측정(活性測定)등으로 홍삼(紅蔘)과 백삼(白蔘)의 노화억제작용(老化抑制作用)을 비교(比較)한 결과(結果), 홍삼(紅蔘)은 장기간(長期間)에 걸친 연속투여(連續投與)에서 백삼(白蔘)보다 과산화지질생성억제작용(過酸化脂質生成抑制作用). superoxide dismutase 및 peroxidase의 활성(活性)을 유의성(有意性)있게 증가(增加)하였다. 생체내실험(生體內實驗)에서 홍삼(紅蔘)이 백삼(白蔘)보다 노화억제작용(老化抑制作用)이 현저한 것은 증삼(蒸參) 및 가공처리중(加工處理中) saponin pattern의 변화(變化)에 기인(起因)하며 백삼(白蔘)의 PT/PD ratio가 0.401인데 반(反)해 홍삼(紅蔘)의 PT/PD ratio가 0.561로서 triol saponin이 증가(增加)되었기 때문이다.

  • PDF

복령 및 인삼추출물이 Sarcoma -180 Mouse의 혈액상(血液象)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Poria cocos and Panax ginseng Extracts on Hemogram of Sarcoma-180 Mouse)

  • 이복임;홍인표;김동원;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18-224
    • /
    • 1990
  • Sarcoma-180 에 감염된 mouse 에 복령(Poria cocos) 및 인삼 (Panax ginseng) 추출물을 투여하여 mouse의 혈액상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육종암(肉腫癌)에 감염된 mouse에 인삼추출액과 복령추출액을 혼합하여 투여한 구(區)에서는 암컷은 40%, 수컷은 42%의 사망율을, 복령추출액만 단독으로 투여한 구(區)에서는 암컷은 45%, 수컷은 50%의 사망율을 나타내어 추출물을 투여한 구(區)에서는 모두 50% 이상의 생존율을 보인 반면 추출액을 투여하지 않은 무투여군에서는 100%의 사망율을 나타내였다. 2. 암세포를 접종하고 추출물을 무투여한 구(區)에서 는 암(癌)이 진전됨에 따라서 복수(腹水)의 형성으로 인하여 체중이 증가하였으나 추출물을 투여한 구(區)에서는 복수(腹水)의 형성이 경미하여 체중증가율이 낮았다. 3. 적혈구수와 헤모글로빈수에서는 육종암(肉腫癌)을 접종하고 추출물을 투여한 구(區)나 추출물을 무투여한 구(區)모두 변화가 없었으나, 백혈구수 특히 임파구에서는 추출물을 투여한 구(區)에서는 정상치와 비슷하였고 추출액을 투여하지 않은 구(區)에서는 감소량이 현격하였다. 4. 적혈구용적, 평균적혈구용적, 평균적혈구혈색소량 등은 추출물을 투여한 구(區)나 추출물을 무투여한 구(區) 모두 큰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5. 백혈구, 혈소판의 분포는 복령추출액을 투여한 구(區)에서는 정상치와 비슷하였으나 추출물을 투여하지 않은 무투여한 구(區)에서는 크기 및 개체수의 이상 현상이 관찰되었다.

  • PDF

백삼 및 홍삼 추출물의 사상체질별 면역세포 활성효과 (Effect of White and Red Ginseng Extracts on the Immunological Activities in Lymphocytes Isolated from Sasang Constitution Blood Cells)

  • 최재호;오덕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3권1호
    • /
    • pp.33-39
    • /
    • 2009
  • 각 체질별(태음인, 소양인, 소음인)로 5명씩 혈액을 채취하여 임파구를 분리한 후 백삼 및 홍삼 에탄을 추출물을 투여하여 면역효능(proliferation, NO생성 및 TNF-$\alpha$의 분비능)을 측정한 결과, 한방에서 음인을 보하는 약재로 알려진 백삼의 경우 소음인 군의 임파구에서 가장 높은 임파구 증식능, NO 생성 및 TNF-$\alpha$의 분비능을 나타냈으나, 소양인군에서는 가장 낮은 면역활성을 나타내었다(P<0.05). 그러나 홍삼 추출물의 경우 각 체질군에서 면역활성의 차이가 없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또한, 체질별 임파구에 LPS처리한 대조군보다 백삼 및 홍삼 추출물을 첨가한 처리군에서 NO생성 및 TNF-$\alpha$의 분비능이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백삼과 달리 홍삼 추출물에서 각 체질군에 면역활성의 차이가 없는 것은 인삼의 가공처리 과정에서 성분변화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홍삼추출물로부터 체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성분을 규명한다면 새로운 맞춤형 체질마커로 개발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한국 인삼 성분들에 관한 생화학적 연구 (1) 인삼 성분들이 아미노아실-tRNA합성 효소의 활동성에 미치는 영향 (Biochemical Studios on the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Ginseng:(I) Effects of Components of Ginseng on the Activity of Aminoacyl-tRNA Synthetase)

  • 장세희;박인원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권1호
    • /
    • pp.19-24
    • /
    • 1976
  • 인삼의 메탄을 추출물을 몇 가지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여러 분획으로 나누어서 이 분획들이 아미노아실-tRNA 합성효소의 활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백삼과 홍삼에 모두 아미노아실-합성효소의 활동성에 양성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분획을 얻었다. 백삼의 경우에는 전체 메탄을 추출물에 그 성분이 있으며, 홍삼의 경우에는 메탄 올 추출물을 에테르로 추출한 분획에 그 성분이 있었다. 그러므로 이 효소에 양성적인 효과를 미치는 성분은 다소 무극성인 물질일 것으로 추측된다.

  • PDF

항방사선 인삼분획의 butanol 추출물과 수용성 성분이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utanol Extract and Water-Soluble Constituent of Radioprotective Ginseng Fractioil on Cell Survival)

  • 김춘미;최향옥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5권3호
    • /
    • pp.167-170
    • /
    • 1991
  • Radiation protective fraction was Isolated and partially purified from Korean white ginseng. The effect of the fraction was studied on the cell survival of W-damaged CHO-Kl cell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fraction increased the survival rate of damaged cells significantly within the dose range of which cytotoxicity did not appear This fraction was separated into two parts by adding butanol, namely the precipitated protein component and the butanol extract. Damaged cells were treated with each of these components and their survival rates were measured. The protein component demonstrat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urvival rates, while the butanol extract showed no such incre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adiation protective effect of the ginseng fraction is originated from the butanol-precipitated protein component, not from the butanol-soluble compounds.

  • PDF

고지방식으로 생육한 생쥐간에서 백삼과 홍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White Ginseng and Red Ginseng on Liver of High Fat Diet-treated Mice)

  • 전보현;성금수;전승기;성종환;장재철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9권3호
    • /
    • pp.138-14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high fat diet에 대한 인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동물로 생쥐를 이용하였다. 대조군은 일반사료만을, FD군은 high fat diet만을 먹였으며, 실험군은 high fat diet와 인삼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후 간 조직에서의 SOD, catalase, GPS의 활성 및 MDA 및 $H_2O_2$ 함량 등을 측정함으로서 fat diet독성에 대한 지질과산화와의 상호 관련성, 인삼의 항산화 효소의 효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Fat diet 독성에 대한 항산화 효소인 SOD의 활성은 인삼 추출물 군에서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GPx의 활성은 FR500, FR3000군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과산화수소 함량은 FD군에서 약간 높았지만, 모든 군에서 거의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자유라디칼에 의해 생성된 지질과산화의 최종 산물인 MDA의 함량은 FD군을 기준으로 인삼추출물 군에서 모두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와 같이 fat diet에 대한 인삼 추출물은 SOD의 활성 증대보다는 자유라디칼 제거제로서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고 생각하고, GPx의 직접적인 작용과 생체 내에서 내인성 항산화 물질인 GSH의 합성 능력을 강화시킴으로서 산화적 손상에 대한 방어기전을 향상시키는 결과라고 생각한다.

인삼의 유효성분에 관한 생화학적 연구 (VIII). 빵효모의 핵산대사에 미치는 인삼성분의 영향 (Biochemical Studies on the Active Principles of Panax Ginseng (VIII). Effect of Ginseng Extracts on Nucleic acid Metabolism of Baker's Yeast)

  • 김태봉;이희성;이근배;이강석
    • 대한화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6-152
    • /
    • 1976
  • 백삼의 석유에테르추출물(WGpet)은 빵효모의 RNA생합성을 극히 미약하게 촉진시킬 뿐이지만, 백삼의 에탄올추출물(WGpet-alc) 및 홍삼정(RGE)의 성분은 다같이 RNA 생합성을 크게 촉진시킬뿐 아니라, 그 모노누클레오티드의 조성에까지 큰 변화를 일으키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즉 RGE에 의해 AMP와 CMP는 물론, 특히 UMP가 현저하게 감소된 반면, GMP는 크게 증가되었으며, 그 몰비는 총 모노누클레오티드의 78.5%에 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인삼성분의 단백질 생합성 촉진효과와도 관련이 있는 퍽 흥미로운 점이라고 하겠다.

  • PDF

호상 요구르트 제조시의 인삼제제의 이용 (Utilization of Ginseng Products in the Manufacture of Curd Yoghurt)

  • 김종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26권1호
    • /
    • pp.31-38
    • /
    • 1999
  • 한국인의 기호에 맞으며 약리적인 효능을 가지고 있는 인삼을 인삼 extract, 백삼분 및 미삼분의 형태로 요구르트 제조시에 첨가하고 제품의 산생성도, 유산균수, 점도, 관능검사 및 보존성 등을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삼 extract, 백삼분 및 미삼분을 첨가한 호상 요구르트의 시험제조 결과 산도는 무첨가구의 0.95%에 비하여 인삼첨가구 특히 미삼 첨가구가 1.13%로서 가장 높았다. 2. 유산균수에 있어서는 무첨가구의 $6.5{\times}10^8/ml$에 비하여 첨가구 특히 미삼첨가구가 $9.8{\times}10^8/ml$로서 가장 높았다. 3. 제품의 점성은 무첨가구에 비하여 첨가구 특히 백삼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4. 제품의 관능검사 결과 맛과 향취에 있어서는 인삼첨가구가 우수하였고 조직에 있어서는 무첨가구가 우수하였으며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는 미삼첨가구가 우수하였다. 5. 제품의 보존시험에 있어서는 $5^{\circ}C$, 10일간 보존에서 pH, 산도 및 유산균수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 PDF

한국 인삼 성분들에 관한 생화학적 연구(III) 인삼 성분들이 숙신산 탈수소효소의 활동성에 미치는 영향 (Biochemical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Ginseng(III) Effects of Ginseng Components on the Activity of Succinate Dehydrogenase)

  • 장세희;박인원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권1호
    • /
    • pp.29-32
    • /
    • 1976
  • 숙신산 탈수소효소의 활동성은 홍삼의 초산에틸 추출액과 초산에틸 추출모액의 수용 성 추출액 분획들에 의하여 활성화되었으며, 홍삼의 에테르 추출액 분획을 제외한 모든 분획들에 의하여 활성화되었다. 다른 사람들이 알칼로이드류는 숙신산 탈수소효소의 활동성을 증진시킨다는 암시와는 반대로 저자들의 연구결과는 오히려 인삼의 알칼로이프들은 이 효소의 활동성에 대하여 방해효과를 가졌음을 알려주었다.

  • PDF

인삼을 첨가 제조한 액상요구르트의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Liquid Yoghurt from Milk Added with Ginseng)

  • 김종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23권2호
    • /
    • pp.219-226
    • /
    • 1996
  • 한국인의 기호에 맞으며 약리적인 효능을 가지고 있는 인삼을 인삼 extract, 백삼분 및 미삼분 형태로 요구르트 제조시에 첨가하여 요구르트의 산생성도, 유산균수, 제품의 점도, 관능검사 및 보존성 등을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삼 extract, 백삼분 및 미삼분을 첨가한 액상 요구르트의 시험제조 결과 산도에 있어서는 무첨가구의 0.76%에 비하여 첨가구 특히 미삼첨가구가 1.15%로서 가장 높았다. 2. 유산균수는 무첨가구의 $1.5{\times}10^8/m{\ell}$에 비하여 첨가구가 더 증식되었고 특히 미삼첨가구가 $4.3{\times}10^8/m{\ell}$로서 가장 높았다. 3. 제품의 점도에 있어서는 무첨가구에 비하여 인삼첨가구 특히 백삼첨가구가 높았다. 4. 액상요구르트의 관능검사 결과 무첨가구에 비하여 맛, 향취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미삼이 가장 높았다. 5. 요구르트 제품의 $5^{\circ}C$, 10일간 보존시험에서 pH, 산도 및 유산균수는 큰 변화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