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eat flour paste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4초

회화 문화재의 보존처리에 쓰이는 풀 - 전분과 단백질의 함량에 따른 접착력과 보존성을 중심으로 (Adhesives Used in Conservation Treatment of Oriental Paintings -Comparison of Adhesiveness and Conservativeness in Relation to Starch and Protein Contents of the Adhesive Formula)

  • 전지연;박지선;김강성
    • 보존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3-91
    • /
    • 2003
  • 회화 문화재의 표장 및 보존처리에 쓰이는 풀은 그 문화재의 수명을 좌우할 정도로 중요하기 때문에 옛날부터 풀의 제조법에 관한 연구가 있어 왔고, 이에 대한 기록이 남겨져 왔다. 기록들을 종합해 보면, 대부분 풀의 제조법에 있어 소맥의 단백질을 제거하는 것에 대한 연구가 행해졌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공통적으로 보여지는 단백질 제거는 단백질이 풀에 있어서 유익하지 못한 요소를 갖고 있다는 것이었다. 실제로 단백질 함유량에 따른 굴의 접착력과 보존성의 변화에 대한 실험을 해 보았는데, 그 결과를 종합해 보면, 미생물의 영양원인 단백질의 함량이 적을수록 접착력과 보존성은 좋아지지만, 유연성은 떨어졌다. 그러나 단백질의 함량이 적으면 적을수록 룰의 보존성은 좋아지기 때문에 회화 문화재 보존처리에 쓰여야 하는 풀은 보존성이 있고, 최소한의 농도로 최대한의 접착력을 지닌 또, 가역성이 있는 소맥 전분풀이었다.

  • PDF

"음식디미방","규합총서(閨閤叢書)","조선무쌍신식요이제법(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에 수록된 시대적 흐름에 따른 부식류의 변화 (The Changes of Side Dishes in "Eumsikdimibang", "Gyuhapchongseo", "Chosunm usangsinsikyorijebub" according to the Current of the Time)

  • 김업식;한명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66-375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of side dishes in "Eumsikdimibang", "Gyuhapchongseo", "Chosunmusangsinsikyorijebub" over time. As food ingredients, seaweed, red pepper, salted fish, Korean hot pepper paste have been used in "Gyuhapchongseo". The use of cattle by parts, saltwater fish, Chinese cabbage, powdered red pepper, garlic have increased in"Chosunmusangsinsikyorijebub". Cooking techniques, such as the use of wheat flour, a double boiler by the use of steam, and boiling and then roasting cuisine were mostly used in"Eumsikdimibang", but reduced in"Gyuhapchongseo". In "Gyuhapchongseo", the cooking methods are primarily aimed at a positive visual effect, and slices of dried meat seasoned with spices have increased. In"Chosunmusangsinsikyorijebub", various Tang (Guk), the taste of food changed by controlling the gravy content (Gigimi, Chigye, Chorim), meat mixing oil, vegetable and mushroom together to cook and boiling down the main food ingredients to soak the seasoning were increased. Dog-meat steamed dish using the intestine of dog in "Eumsikdimibang" was changed to small intestine of cattle steamed dish in "Gyuhapchongseo". And seasoned dog meat with choncho in "Eumsikdimibang" influenced on beef tail soup with Korean hot pepper paste in "Gyuhapchongseo", and Yookgyejang soup using Korean hot pepper paste in"Chosunmusangsinsikyorijebub". In steamed young chicken, the stuffing such as soybean paste, choncho, welsh onion, leek and flour in "Eumsikdimibang" was changed to minced beef, welsh onion, dropwort and Shiitake mushroom in"Gyuhapchongseo". The steamed young chicken in "Chosunmusangsinsikyorijebub" with stuffing was added to chicken soup using glutinous rice, and ginseng powder. Now, the chicken soup was changed to Samgyetang with glutinous rice, and ginseng. In "Chosunmusangsinsikyorijebub", various vegetable dishes were cooked with beef.

전분질원료(澱粉質原料)를 달리한 고추장의 유기산정량(有機酸定量) (Determination of Organic acids of Kochuzang prepared from various Starch Sources)

  • 이택수;박성오;이명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2호
    • /
    • pp.120-125
    • /
    • 1981
  • 전분질원(澱粉質原料)의 종류를 달리하여 양조(釀造)한 3개월 숙성의 찹쌀, 보리쌀, 밀가루, 고구마의 각고추장을 시료로하여 gas chramatography에 의하여 유기산을 분석한 결과 고추장중의 유기산으로 lactic acid, glycolic acid, pyruvic acid, succinic and fumaric acid, malic acid, pyroglutamic acid, citric acid가 모든 시험고추장에서 분리되었고 oxalic acid는 고구마 고추장에서만 검출 되었다. 시험고추장 모두 pyroglutamic acid, pyruvic acid, citric acid가 양적으로 가장 많았으나 밀가루 고추장에서는 이들 함량이 타 고추장에 비하여 다소 적게 나타났다. succinic과 fumaric acid의 함량은 고구마 고추장에서 가장 많았고 보리쌀 고추장이 가장 적었다.

  • PDF

갈변 표고버섯(Lentinus edodes)을 첨가한 국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with Browned Oak Mushroom(Lentinus edodes))

  • 김세영;강미영;김미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65-67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상품성이 없는 갈변된 표고버섯을 paste형태로 만들어 첨가량을 달리하여 생국수를 제조하고 조리 전과 후의 국수의 품질 특성을 살펴보았다. 표고버섯 paste 첨가에 따라 조리 후 국수의 무게, 부피 및 수분 보유력이 증가하였으며 ��은 국물의 탁도는 감소하여 조리 후에도 면발이 쉽게 풀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생국수와 조리국수 모두 표고버섯 paste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와 검성은 감소하고 탄력성은 증가하여 제면 특성이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국수의 색상에 대한 기호도와 관계없이 향, 맛, 부드러운 정도, 씹힘성 및 전반적인 기호도가 표고버섯 paste 첨가에 의해 증가하였다. 따라서 밀가루에 표고버섯 paste를 첨가함으로써 국수의 품질과 기호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보이며, 특히 20%와 30% 첨가 시 가장 좋은 품질 특성을 나타내었다.

TLC법에 의한 장류 및 공류중의 Aflatoxin검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Detection of Aflatoxins in the Fermentation Products and Cereals)

  • 한양일;김광호;오영복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6-50
    • /
    • 1978
  • Aflatoxin, a mixture of the at least four toxic and carcinogenic metabolites, is known to be produced by only a few fungi. The toxins were designated aflatoxins because they were produced by the mold Aspergillus flavus(A. flavus). However, at least four other toxins and other species of the genus A. niger, A. parasiticus A. ruber and wentii have been reported to produce aflatoxins. And also the identical compounds may also be produced by molds, the Pencillium. At least four different species of Penicilliurn have been reported to produce aflatoxins (P. citrinurn, P. frequentans, P. puberulurn. and P. variable). So it is now known that the problem of Aflatoxin is not restricted to the single species A. flavus, even though that is a very common mold. Also additional aflatoxins have been discorvered. For sereral years, only four aflatoxins were known: $B_1, B_2, G_1$ and $G_2$, so designated by reason of their fluorescence and chromatographic charateristics. It is now known that there are really two new toxic materials in the milk. During the past year(1966) they were christened aflatoxin $M_1$ and $M_2$, since they were first found in milk. The two other and most recently discorvered aflatoxins were isolated late in 1966 from cultures of A. flavus, and were designated aflatoxin $B_2a$ and aflatoxin $G_2a$. In order to obtain a breaf information about extent of contamination of foodstuffs by aflatoxin which is known to produce eight different mold, aflatoxin detection of cereals and fermented foods on sale, such as polished rice, barley, wheat, wheat flour, lentil, red bean, soy bean, noodle, kochuj ang and Dwenjang (fermented soy bean paste) and chong Kuk,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hexane:$CHCl_3$ extracts of polished rice, barley wheat, wheat flour, lentil, red bean, noodle and kochujang yielded fluorescent spots on thin layer plates. However their Rfvalue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authentic aflatoxins. The fluorescent substances of the extract from soy bean, Dwenjang and chong kuk showed very similar Rf values to those of the standard aflatoxins. By two dimensional thin layer chromatography and comparison of ultra violet absorption spectra, it was found that these fluorescent substances were not aflatoxins. To conclude, aflatoxins themselves were not detected directly in those samples tested.

  • PDF

시판 된장을 이용한 식빵 제조 : 3. 된장과 대두분의 단백질분산성이 글루텐물성과 식빵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효과 (Development of Yeast Leavened Pan Bread Using Commercial Doenjang(Korean Soybean Paste): 3. The Effects of Protein Dispersibility of Doenjang Powders and Soy Flours on the Gluten Rheology and Bread Quality Characteristics)

  • 오현주;김창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043-1048
    • /
    • 2004
  • 된장의 대두단백질 분산성이 제빵적성에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전지대두분(FSF; full fat soy flour)과 탈지대두분(DSF; defatted soy flour)을 밀가루 반죽과 빵 배합에 사용하여 gluten물성과 최종 빵 품질을 된장분말 첨가구(2.5%, 5.0%)와 비교하고 측정값들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단백질 분산지수는 된장분말이 57.1%로 FSF 7.3%, DSF 10.8%, 강력분 32.8%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된장분말 첨가는 wet gluten의 현저한 신장저항도 감소와 신장성 증가를 보였으나 대두분 첨가는 단백질분산지수의 차이로 물성의 변화 정도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측정값들 간의 상관관계 조사결과 단백질분산지수는 gluten신장성 (r=0.98, p<0.01)과 오븐팽창력(r=0.88, p<0.05) 증가에 영향을 미치며, 결과적으로 이들은 빵 부피와 큰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따라서 된장분말의 일정량 사용으로 인한 된장첨가 빵의 부피와 조직감의 현저한 향상은 된장분말의 높은 protease 활성에 의한 단백질분산지수, 반죽의 신장성 증가 및 오븐 팽창력 증가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전분질첨가 김치의 숙성중 총 Vitamin C와 환원당 함량의 변화 (Changes in the Contents of Total Vitamin C and Reducing Sugars of Starchy Pastes 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 이귀주;한정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01-206
    • /
    • 1998
  • 전분풀의 첨가가 김치 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세 종류의 김치, 즉 대조군, 밀가루풀 첨가군, 찹쌀풀 첨가군을 1$0^{\circ}C$에서 2주간 저장하면서 발효 중 pH, 산도, 총 vitamin C 함량, 환원당함량 및 김치의 관능검사를 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전분풀을 첨가한군들이 대조군보다 빠른 감소를 보였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산도는 밀가루풀 첨가군, 찹쌀풀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큰 폭으로 증가하여 전분풀의 첨가가 김치 발효를 촉진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찹쌀풀 첨가군보다는 밀가루풀 첨가군에서 산도가 더 빨리 증가되었다. pH 4.0~4.5의 숙성 적기라고 여겨지는 발효 5일째에 총 비타민 C함량은 대조군이21.3~25 mg%, 밀가루풀 첨가군이 21.4~22.2 mg%, 찹쌀풀 첨가군은 19.4~20.4 mg%로 대조군>밀가루풀 첨가군>찹쌀풀 첨가군 순으로 높았으나 발효 말기에는 대조군의 잔존량이 가장 적었다. 김치액의 환원당 함량은 대조군>밀가루풀 첨가군>찹쌀풀 첨가군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최적숙기 인 발효 5일째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이취와 신맛이 가장 적게 나타난 찹쌀풀 첨가군이 전체적인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숙성이 빨리 진행된 밀가루풀 첨가군은 가장 선호도가 낮았다.

  • PDF

탈북자 면접을 통한 북한 주민의 건강과 식품섭취 실태 탐색 (A Glance at the Health Status and Food Intake of North Koreans)

  • 박영숙;이기춘;이기영;이은형;이순형;김대년;최연실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396-405
    • /
    • 1997
  • We performed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health status and food intake of North Koreans. Information was collected by individual closed in-depth interviews of 11 escapers from North Korea as well as books, newspapers and North Korean movies. Interviews were done from October, 1996 to May, 1997, covering their heights and weights, their appearance and disease, food system and intake of various main/side foods, concern about health and hygiene. North Korean's height and BMI were lower than those of South Koreans. Difference of BMI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s was profound in middle aged women than in other age groups. Childrem showed many malnutrition appearances of moon face, large abdomem, arrow-like legs, flaky skin, decolored hair, etc.. Main foods in North Korea were rice-shaped corn, corn flour, wheat flour and wet noodle, and side foods were kimchi and/or soups and steamed soy paste. Food supply system there seemed not to work normally for many years, so foods, especially in cities, has been extremely short in government-operating shops, but some in private market. Many housewives were eager to make and sell simple snack food products, We noticed that North korea schools didn't check students' health even though their medical policy was based on preventive medicine. Their living environmental hygiene was shown to be oyt of control.

  • PDF

전분질(澱粉質) 원료(原料)를 달리한 고추장의 양조(釀造) - 제1보(第1報). 제국과정(製麴過程)중의 일반성분(一般成分)과 효소력(酵素力) - (The Brewing of Kochuzang (Red Pepper Paste) from Different Starch Sources - Part I. Proximate Component and Enzyme Activity during Koji Prepartion -)

  • 이택수;조한옥;김철수;김종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3권3호
    • /
    • pp.157-165
    • /
    • 1980
  • 고추장의 품질개선(品質改善)과 원가절감을 목적(目的)으로 전분질원료(澱粉質原料)(찹쌀, 보리쌀, 밀가루, 고구마)의 종류(種類)를 달리하여 제국(製麴)및 고추장 담금을 행한후 경시적(經時的)으로 효소력(酵素力), 일반성분(一般成分)및 특수성분(特殊成分)의 측정(測定)과 관능시험(官能試驗)을 하였다. 그 일단계로 제국과정중(製麴過程中) 일반성분(一般成分)과 효소력(酵素力)에 대하여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pH는 제국초기(製麴初期)에는 큰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제국(製麴) 48시간(48時間) 이후(以後)는 고구마국(麴)에서는 pH가 다소저하(多少低下)하였으나 찹쌀국(麴), 보리쌀국(麴), 밀가루국(麴)에 있어서는 pH의 상승(上昇)을 초래했다. (2) 적정산도(滴定酸度)는 대체로 제국(製麴) 72시간경(72時間頃) 최대치(最大値)를 나타내었고 고구마국(麴)과 밀가루국(麴)이 높았다. (3) 총질소(總窒素), 수용성질소(水溶性窒素), 아미노태질소(態窒素)의 함량(含量)은 대체로 밀가루국(麴), 보리쌀국(麴), 찹쌀국(麴), 고구마국(麴)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이들의 질소성분(窒素成分) 최대생성시기(最大生成時期)는 시료(試料)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고구마국(麴)을 제외하고 대체로 제국(製麴) $72{\sim}96$시간경(時間頃)이었다. (4) 환원당(還元糖)은 제국(製麴) $48{\sim}72$시간경(時間頃)에 최대함량(最大含量)을 나타냈고 최대생성시(最大生成時)의 환원당(還元糖)은 찹쌀국(麴)이 가장 높았고 보리쌀국(麴)이 가장 낮았으나 고구마국(麴)과 밀가루국(麴)은 비슷한 함량(含量)을 나타냈다. (5) 에칠알콜은 고구마국(麴) 24시간경(24時間頃)에 최대함량(最大含量)을 나타내었고 전제국(全製麴)과정을 통하여 고구마국(麴)이 가장높은 함량(含量)을 나타내었다. (6) 전분액화력(澱粉液化力)은 찹쌀국(麴)과 보리쌀국(麴)이 제국(製麴) 96시간(96時間)에 최대활성(最大活性)을 나타 내었으나 밀가루국(麴)과 고구마국(麴)은 제국(製麴) 120시간(120時間)까지도 증가(增加)하였다. 전분당화력(澱粉糖化力)은 시험구(試驗區) 모두 제국(製麴) 96시간경(96時間頃)에 최대활성(最大活性)을 나타낸후 감소하였다. 제국(製麴) 72시간경(72時間頃)의 전분액화력(澱粉液化力)과 당화력(糖化力)은 밀가루국(麴), 보리쌀국(麴), 찹쌀국(麴), 고구마국(麴)의 순으로 강(强)하였다. (7) protease는 시험구(試驗區) 모두 산성(酸性), 중성(中性) 알칼리성(性) protease의 순으로 활성(活性)이 높았고, 이중 주체(主體)인 산성(酸性) protease의 활성(活性)은 국원료(麴原料)에 따라 최대활성시기(最大活性時期)가 상이(相異) 하였으나 제국72시간경(製麴72時間頃)의 활성(活性)은 보리쌀국(麴), 밀가루국(麴), 찹쌀국(麴), 고구마국(麴)의 순이었다.

  • PDF

Sooty Mould Infection on Mulberry-Management

  • Reddy, C.Rajagopal;Reddy, P.Lakshmi;Misra, Sunil;Reddy, K.Dharma;Sujathamma, P.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6권2호
    • /
    • pp.203-205
    • /
    • 2003
  • Black sooty mould fungus was observed on the upper side of the mulberry leaves caused by the Capnodium sp. This fungus develops with the utilization of the honeydew dropped by the whiteflies. Few selected insecticides like Monocrotophos, Chloropyriphos and Nuvan were tried to control the whitefly incidence and followed by the application of Maida (wheat flour paste) and Starch solution separately to control the incidence of the Capnodium on mulberry. It is found that a significant control of the whitefly incidence with the application of Nuvan (2 $m\ell$/L) and followed by Chloropyriphos (2 $m\ell$/L) and Monocrotophos (1.6 $m\ell$/L) and also a significant control of sooty mould infection were recorded with Starch and Maida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