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tting agent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7초

친환경 준용매계 세정제의 제조와 그 세정 특성 (Preparation and Cleaning Properties of Environmental Friendly Semi-Solvent Cleaning Agents)

  • 강두환;하순효;한종필;이병철;여학규;배장순;염규설
    • 공업화학
    • /
    • 제18권2호
    • /
    • pp.188-193
    • /
    • 2007
  • 나프텐계 탄화수소, terpene계 천연 용제, 계면활성제 및 물을 이용하여 친환경적 준용매계 세정제를 제조하고 이들의 물리적 특성과 flux 및 grease 오염물에 대한 세정효율을 측정하였다. 준용매계 세정제의 물성은 pH가 6.0~6.7의 약산성으로 중성에 가까운 값을 나타내었으며 표면장력은 27.4~28.4 dyne/cm의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wetting index는 물이 소량 들어간 경우 8.65~12.46, 물이 들어가지 않은 경우 11.99~17.43의 값을 가졌으며 나프텐계 탄화수소 30 wt%, terpene계 천연 용제 45 wt%, 계면활성제 13 wt%, 보조계면활성제 12 wt%, 물 0 wt%의 조성으로 제조한 세정제가 17.43으로 가장 큰 값을 가졌으며 세정 효율 역시 flux에 대하여 98.64%, grease에 대하여 93.44%로 우수하였다. 전기 전도도는 소량의 물을 첨가한 경우 $0.5{\sim}0.9{\mu}s/cm$의 값을 나타내어 물이 용제 중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W/O형의 준용매계 세정제임을 확인하였다

Bioactive characteristics of an implant surface coated with a pH buffering agent: an in vitro study

  • Pae, Hyung-Chul;Kim, Su-Kyoung;Park, Jin-Young;Song, Young Woo;Cha, Jae-Kook;Paik, Jeong-Won;Choi, Seong-H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9권6호
    • /
    • pp.366-381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onventional sandblasted, large-grit, acid-etched (SLA) surface coated with a pH buffering solution based on surface wettability, blood protein adhesion, osteoblast affinity, and platelet adhesion and activation. Methods: Titanium discs and implants with conventional SLA surface (SA), SLA surface in an aqueous calcium chloride solution (CA), and SLA surface with a pH buffering agent (SOI) were prepared. The wetting velocity was measured by the number of threads wetted by blood over an interval of time. Serum albumin adsorption was tested using the bicinchoninic acid assay and by measuring fluorescence intensity. Osteoblast activity assays (osteoblast adhesion,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mineralization, and migration) were also performed, and platelet adhesion and activation assays were conducted. Results: In both the wetting velocity test and the serum albumin adsorption assay, the SOI surface displayed a significantly higher wetting velocity than the SA surface (P=0.000 and P=0.000, respectively). In the osteoblast adhesion,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mineralization tests, the mean values for SOI were all higher than those for SA and CA. On the osteoblast migration, platelet adhesion, and activation tests, SOI also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than SA (P=0.040, P=0.000, and P=0.000, respectively). Conclusions: SOI exhibited higher hydrophilicity and affinity for proteins, cells, and platelets than SA. Within the limits of this study, it may be concluded that coating an implant with a pH buffering agent can induce the attachment of platelets, proteins, and cells to the implant surface.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directly compare SOI with other conventional surfaces with regard to its safety and effectiveness in clinical settings.

평판 인쇄에서 축임물에 넣는 알콜류 용액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옥영건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7-42
    • /
    • 1986
  • This study was made to determine the furctions of I.P.A(iso-Prophyl alchohl)an it is used in lithographic fountais solution. Alcohol acts as a wetting agent, an evaporant, a dilutent, a lubricant and reduces Surface tension and emulsification of link/water mixture/ From many studies, the function of the I.P.A appeurs to be that of a surfactant Cowbined with evaporative and diluent ProPerties.

  • PDF

Membrane fouling reduction by low temperature plasma treatment

  • 강민수;김성수;전배혁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7년도 춘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56-58
    • /
    • 1997
  • 최근 polyolefin계열의 고분자 분리막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그 중 polypropylene막은 특성상 내약품성 및 내열성이 뛰어나 막 손상이나 성능 저하가 비교적 적은 고분자 막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재질의 소수성 특성 때문에 심각한 fouling을 유발하게 되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막 표면을 hydrophilic agent로 개질 시켜 fouling을 제어하는 기술이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막 재질을 개질 시키기 위하여 sulfonating agents, ozone, 그리고 hydrophilic monomer등을 grafting하는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공정상의 어려움이 있고 완벽한 친수성의 부여를 기대하기가 어렵다. 또한 막 기공 구조의 변화와 붕괴를 초래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밖에 hydrophilizing agent 등을 이용하여 wetting시킴으로써 일시적인 친수화 처리를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membrane matrix로 부터 hydrophilizing agent가 새어 나가므로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특히 의료용 분리막으로 이용될 경우 유출된 hydrophilizing agent가 cell membrane을 공격하여 cell 분해와 같은 인체에 해로운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부적당하다. 최근 들어 저온 plasma를 이용한 표면 개질의 방법이 연구되고 있는데, 이는 plasma가 고분자 물질의 구조나 화학적 반응성과는 상관없이 모든 고분자 물질의 표면을 일정하게 개질 시킬 수 있으며 여타의 다른 방법들과는 달리 막 제조시 residual solvent의 문제점과 swelling의 문제점들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 때문에 최근 각광받고 있는 기술 중의 하나이다. 또한 다른 방법에 비해 막과 plasma와의 강한 흡착력 때문에 영구적 친수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온 plasma를 이용한 표면 개질이 막의 친수성 향상 및 fouling 방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 PDF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처리농도가 상토의 수분 보유 및 고추 플러그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Application Rate of Non-ionic Surfactant Mixture on Initial Wetting and Water Movement in Root Media and Growth of Hot Pepper Plug Seedlings)

  • 최종명;문병우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1호
    • /
    • pp.16-22
    • /
    • 2011
  • Polyoxyethylene nonylphenyl ether와 polyoxyethylene castor oil을 1:1(v/v)로 혼합하여 조제한 액상 토양습윤제(LWA)가 피트모스 + 펄라이트(7:3) 상토내 잔류성, 혼합상토의 초기 습윤화 및 고추(Capsicum annuum L. 'Knockwang') 플러그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토양습윤제의 처리량이 증가할수록 상토의 보수량이 뚜렷하게 증가하였고 본 연구에서 제조한 토양습윤제를 $2.5mL{\cdot}L^{-1}$의 비율로 처리한 구의 보수량이 AquaGroL을 $3.0mL{\cdot}L^{-1}$을 처리한 +대조구와 유사하였다. 처리된 토양습윤제는 처리 후 1 및 2번째 관수에서 대부분 용탈되었고, 10회 관수할 때까지 서서히 낮아지다가 10회 관수 이후에는 매우 낮은 농도로 분석되었다. 개발된 토양습윤제를 처리한 상토에서 관수한 수분의 수직방향으로 하강 속도를 측정한 결과 0.5, 1.0, 및 $1.5mL{\cdot}L^{-1}$의 비율로 처리한 구에서 -대조구보다 월등히 빨랐으나, 토양습윤제의 처리비율이 $2.0mL{\cdot}L^{-1}$ 이상으로 높아지면 점차 느려지는 경향을 보였다. 습윤제를 처리한 상토를 충분히 관수하고 온실에서 상토의 건조속도를 조사한 결과 무처리구의 건조속도가 가장 빨랐고, 개발된 토양습윤제의 처리비율이 높아질수록 상토의 건조속도가 느렸다. 파종 8주 후에 조사한 고추 플러그 묘의 생육에서 초장은 $0.5mL{\cdot}L^{-1}$ 처리에서 22.2cm로 가장 컸고, 줄기직경은 $1.0mL{\cdot}L^{-1}$ 처리에서 3.46mm로 가장 굵었으며, 생체중과 건물중은 $1.0mL{\cdot}L^{-1}$ 처리구에서 각각 식물체당 3.08g과 0.861g으로 조사되어 다른 시험구에 비해 유의하게 우수하였다. 그러나 $1.5mL{\cdot}L^{-1}$ 이상으로 토양습윤제의 처리량이 높아지면 점차 생육이 저조하였으며, 적정 처리량은 $1.0mL{\cdot}L^{-1}$라고 판단하였다.

목섬유(木纖維)와 열가소성(熱可塑性) 플라스틱 복합재료(複合材料)의 기계적(機械的) 성질(性質) (Mechanical Properties of Wood-Fiber Thermoplastic Composites)

  • 박병대;임기표;김윤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2권2호
    • /
    • pp.46-53
    • /
    • 1994
  • 본 연구(硏究)는 목섬유(木纖維)와 열가소성(熱可塑性) 플라스틱의 복합재료(複合材料)를 제조하고 그 기계적(機械的) 성질(性質)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행되었다. 강도가 높고 밀도가 낮아 플라스틱의 보강재료로써 잠재성을 갖는 목섬유를 2종의 열가소송 플라스틱(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과 혼합(混合)하여 복합재료(複合材料)를 만들었다. 흡습성(吸濕性)인 목섬유와 비흡습성(非吸濕性)인 플라스틱과 친화성을 위해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를 사용하였다. 또한 낮은 밀도의 목섬유를 플라스틱내에서 혼합하기 위해 고속 플라스틱믹서를 사용하였다. 사출성형(射出成形)한 샘플을 사용하여 기계적(機械的) 성질(性質)을 시험(試驗)한 결과 인장및 휨강도는 목섬유 혼합량에 따라 크게 향상되었다. 휨 강도(强度)는 인장강도(引張强度)보다 훨씬 크게 나타났으며 인장(引張)및 휨탄성(彈性) 계수(係數)는 플라스틱내 목섬유 혼합량과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목섬유는 복합재료의 강도(强度)와 탄성계수(彈性係數)를 향상시킴으로서 플라스틱을 보강할 수 있었다. 이와는 반대로 인장시험에서 시편 파괴점까지의 신장율과 파괴에너지는 목섬유 혼합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충격강도(衝擊强度) 역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 PDF

액상교반법에 의한 AI/TiCp 복합재료의 제조에 관한 연구(I) (A Study on the Fabrication of Al/TiCp Composites by Liquid Mixing method(I))

  • 임종국;김명한;최재하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권5호
    • /
    • pp.529-537
    • /
    • 1993
  • TiC 입자를 강화재로 한 AI금속기지 복합재료를 액상교반법으로 제조하는데 따른 제조조건과 물성특성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TiC 입자는 중량비 10%를 첨가하였으며, 젖음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1.5wt%의 Mg을 첨가하였다. TiC입자 첨가에 의하여 내마모 특성, 인장강도, 경도 등이 증가 되었으나 과도한 교반은 기계적 특성을 저하시켰다. 본 실험조건에서 교반 속도의 최적조건은 500rpm이었다. Wetting agent로서 첨가한 Mg은 기지에 고루 분산하였다.

  • PDF

폐석분과 폐타이어 칩을 충진제로 한 혼성복합재(Hycom)의 제조 및 계면현상 연구 (Preparations and Interfacial Phenomena of Hybrid Composites (Hycom) Containing Wasted Stone Powders and Tire Chips)

  • 황택성;차기식
    • 접착 및 계면
    • /
    • 제2권1호
    • /
    • pp.1-8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슬러지 및 폐타이어 칩(WTC)으로부터 얻은 폐석분을 충전제로 하고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UPE)를 결합재로 하여 고분자 혼성복합재를 제조하였다. 또한 무기 충전제와 매트릭스 사이의 계면 결합뿐만 아니라 매트릭스 내의 충전제의 분산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란[${\gamma}$-methacryloxy propyl trimethoxy silane(${\gamma}$-MPS)]을 이용하여 표면처리를 하였다. 혼성복합재의 구조적 특성과 기계적 물성에 대한 이 무기 재활용 충전제의 함량과 농도의 영향은 Mercury Porosimeter 및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 PDF

자외선 경화에 의한 PET 니트직물의 편면 발수발유 가공 (Preferential face coating of knitted PET fabrics via UV curing for water- and oil-repellent finish)

  • 정용균;정영진;장진호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27-35
    • /
    • 2005
  • Conventional pad- dry-cure(thermo-fixation) process usually produces functional performance on both sides of a fabric. UV curing technique was applied to impart water- and oil-repellent finish effective only on the face of a PET knitted fabric. The preferential one-side coating, by virtue of the limited penetration of UV light, was achieved by W curing after padding of a fluorocarbon agent without special coating or printing equipments. The difference in the functional property of face and back sides was examined by measuring water and oil repellency at each side of the treated fabric. The influence of pre/post-irradiation dose and agent concentration on the performance of the finished fabrics were investigated. While increase in both resin concentration and post-irradiation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finish, UV pre-irradiation of PET fabrics caused remarkable influence presumably due to appropriate surface modification of PET fabrics required for facile wetting of the resin. The dimensional stability and color change of the UV cured fabrics measured by FAST and reflectance spectrophotometry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color difference and increased percent extension compared with the samples pre-irradiated without agent application.

섬유의 표면개질이 수지이동 성형공정에서의 유동특성 및 젖음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iber Surface Modification on the Flow Characteristics and Wettability in the Resin Transfer Molding Process)

  • 김세현;이건웅;이종훈;김성우;이기준
    • 유변학
    • /
    • 제11권1호
    • /
    • pp.34-43
    • /
    • 1999
  • 수지 이동 성형공정에서 섬유직조가 수지에 의해 함침될 때 발생하는 기공 또는 나쁜 젖음성은 최종 성형품의 물성 저하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지이동 성형공정에서의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한 섬유의 표면 개질이 수지의 유동특성과 수지와 섬유 사이의 젖음성 및 기공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빔 형태의 금형을 대상으로 에폭시 수지와 평직형태의 유리섬유를 사용하여 미시적인 유동가시화 실험 및 경화실험을 수행하였다. 섬유의 표면을 개질함으로써 수지와 섬유 사이의 동적 접촉각이 감소하고 위킹속도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사용한 화학적 표면개질이 섬유직조의 젖음성 및 미시적 흐름 거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지의 높은 온도와 낮은 침투 속도는 동적 접촉각을 감소시키기 위한 중요한 가공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섬유직조의 투과성은 표면을 개질하였을 경우 오히려 감소하였는데, 이는 젖음성의 향상으로 인하여 수지와 섬유 사이의 접촉시간의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경화공정을 통해 제조된 시편의 기공 함량을 측정 비교한 결과, 표면개질은 수지이동 성형공정에서의 기공형성에도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여, 수지와 섬유 사이의 젖음성을 향상시키고, 최종 성형품의 기공함량을 감소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