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tland ecosystem

검색결과 280건 처리시간 0.026초

Feasibility Study of Constructed Wetland System for Sewage Treatment in Rural Area

  • Ham, Jong-Hwa;Yoon, Chun-Gyeong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26-432
    • /
    • 2000
  • Field experiment was performed from August 1996 to December 1999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constructed wetland system for sewage treatment in rural areas. A pilot system was installed in Konkuk University and the effluent of septic tank for school building was used as an influent to the wetland treatment basin. The system was composed of sand and reed, and operated continuously including winter time. Average removal rate of about 70% was observed for BOD, COD, and SS, about 50% for T-P, and about 25% for T-N. The reason for poor T-N removal might be due to high loading rate and short retention time. The system demonstrated satisfactory effluent concentration and stable performance in growing season. And it also worked adequately in wintertime even below $10^{\circ}C$ without freezing, and removal was still significant. The amount removed in BOD, COD, and SS was almost the same as in the growing season, and the amount removed in nutrients was about half of the one in growing season. Overall performance of the experimental system was compared with existing data base (NADB, 1994), and it was within the range of general system performance. As study period increased, removal rates for BOD, COD, SS, and T-P were consistently maintained and even enhanced, but removal rate for T-N decreased slightly. Wetland system was thought to be a feasible alternative for sewage treatment in rural area considering its low cost and low maintenance requirement. However, the effluent of the experimental wetland system often exceeded current effluent water quality standards, therefore, further treatment could be required if the effluent should be discharged to public waters. Wetland system of interest locates in rural area and is a part of rural ecosystem, therefore, ultimate disposal of reclaimed sewage for agricultural purpose or subsequent land treatment might be available and further research in this matter is recommended.

  • PDF

습지교육의 정규교과 채택: 연구동향과 연구주제 (Adoption of Wetland Education as a Part of the Formal School Curriculum: Their Research Trends and Topics)

  • 박준규;서승오;도윤호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57-263
    • /
    • 2020
  • 본 연구는 습지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채택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습지교육에 대한 전 세계 연구 동향과 주요 연구내용을 분석하고 습지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는 국가들의 사례를 파악하였다. 습지연구동향 분석을 통해 과거 습지교육은 습지에 대한 태도와 우리가 가져야할 인식에 대해 연구하다가 최근에는 습지의 생태계 기능과 서비스를 강조하는 주제로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2002년까지 람사르협약에 가입한 국가 중 습지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는 국가는 18개국이었는데 2020년 8월 기준 42 개국으로 확대되었다. 습지에 대한 국가 간 또는 지역 간 과학정보와 지식의 격차가 습지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채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습지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는 국제적 사례를 살펴본 결과 지역단위 또는 학교 단위로 습지교육을 운영하고 있어 이들 사례를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가습지 DB를 활용한 남한 내륙습지의 토지피복 유형 특성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in the Land Cover Types of Inland Wetlands Using the National Wetland DB at South Korea)

  • 이예슬;윤혜연;이성호;장동호;윤광성;이창수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71-88
    • /
    • 2020
  • This study modified the properties and boundaries of the inland wetland types through the structural edit of the National Wetland DB,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fferent land cover by area and the entire inland wetlands of South Korea. The inland wetlands of the Gangwon Basin had a small area of waters. In addition, the ratio of natural barren was high,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upper reaches of the large river in the east and west part of Gangwon Province. The Geum River Basin had a high percentage of aggregate land due to the development of large alluvial land, and the ratio of artistic barren was low, so various ecosystem service of wetland elements were distributed evenly. The Nakdong River Basin had a high proportion of waters as water level in the channel rose due to the installation of 4 Major Rivers Beam, and the ratio of Natural barren was low. Moreover, the water level of the main attributes flowing into the Nakdong River drainage system was not high, so the ratio of vegetation concentration was high. The Yeongsan River Basin showed that Waters had the high proportion. And the distribution of Natural barrens represen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Yeongsan River Basin and the Seomjin River Basin. Finally, Sand and Gravels supplied to rivers during precipitation were deposited in the main stream of the Han River Basin,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ide and high side was large in the area,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uth of a river, so the Natural barren of Clay was distributed.

낙동강하구의 생태계 현황과 관리방안 (Current Status of the Ecosystem at the Nakdong River Estuary and Management Plan)

  • 한상욱;조광진;김평범;신해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943-953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wetland protection area at tthe Nakdong River through vegetation and biota surveys, which showed that brackish water meets fresh water, a unique ecological environment has been created, biodiversity is high, and diverse habitats are distributed. Eleven plant communities, including four woody communities and seven grass communities, are distributed along the coast, and a total of 514 species, including 11 endangered wildlife species, were identified in terms of species diversity. Among them, the species diversity of the Eulsuk-do area was found to be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other Barreir Islands areas. The presence of a population of Sterna albifrons on Sinja-do and a population of Eremias argus on Jinwo-do, an area outside the boundaries of the wetland protection area, confirmed the conservation value of the wetlands and the need to expand the boundaries of the wetland protection area. It is judged that this information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for a systematic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for the wetland protection area at the Nakdong River Estuary and as basic data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 policy.

황새서식처 복원지역에서의 소택지 조성 적지선정 연구 (The Study on the Selection of Suitable site for Palustrine Wetland Creation at Habitat Restoration Areas for Oriental stork(Ciconia boyciana))

  • 손진관;성현찬;강방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5-104
    • /
    • 2011
  • 본 연구는 최상위 포식자로 멸종위기종인 황새의 서식처 복원지역에 필요한 소택지 조성을 위해 선행연구의 적지선정모형과 습지평가기준을 근거해 소택지 적지선정 평가항목을 설정하고 이를 적용하여 적지선정을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지는 황새공원이 포함되는 예산군 대리의 입구로부터 수치표고모델(DEM)을 이용한 유역분석을 실시하여 $5,884,800m^2$의 범위를 설정하였다. 수체, 토양, 경사, 토지이용, 인간간섭, 야생동물통로, 수자원종류 등 평가항목별로 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제도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7항목의 주제도를 중첩하여 평가결과가 높게 나타난 지점을 중심으로 복원적지를 선정하였다. 도면중첩을 실시한 결과 21점 만점에 19~20점 지역은 면적이 작아 조성적지를 18점 이상의 지점으로 확대하여 총 8개 조성적지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대상지는 대부분 점토질로 이루어져 표토를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지표수와 연결성 또한 높게 평가되어 용수 공급의 문제는 없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양호한 토지이용과 완만한 경사를 보여 조성이 용이할 것으로 판단되며, 주위 생태계와의 연결성 또한 양호하여 야생동물의 이동이 용이 할 것으로 사료된다. 습지의 이용 가능한 수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수질분석을 실시한 결과 살목지 및 보강지로 유입되어 흘러가는 수체의 수질환경이 대체로 양호하지만, 지하수 용출 후 체류된 수체의 수질이 좋지 않아 향후 습지의 수문이 정체되지 않도록 인근 지표수의 연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한계로는 연구대상지의 물리환경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를 가지고 소택지의 조성 적지를 선정한 것으로, 향후 생물환경의 조사를 추가하여 생물다양성의 증진효과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습지 기능 평가의 동향 분석 및 제언 (An analysis of trends in wetland function assessments and further suggestions)

  • 홍문기;김재근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5
    • /
    • 2017
  • 습지를 대상으로 한 기능 평가는 습지의 현 상태를 면밀히 파악하기 위한 기본 단계일 뿐만 아니라 습지를 '우리에게 수많은 편익을 제공하는 하나의 자원이자 재화'로 인식하는 '생태계 서비스' 개념의 토대가 되는 중요한 과정이다. 20세기말 미국에서부터 시작된 습지 기능 평가는 WET, EMAP-wetlands 그리고 HGM의 순서로 발달하였다. 21세기에 접어들며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 가능한 RAM이 기능 평가 개발의 주류를 이루기 시작하였다. 그 이후에는 세 가지 수준의 위계를 갖는 기능 평가의 체계가 갖추어졌으며 기능 평가의 대상과 목적 등에 따라 전략적으로 활용되는 형태로 발전하였다. 우리나라 또한 미국의 HGM과 RAM을 토대로 하여 일부 항목과 내용들을 개선하는 형태로 한 기능 평가가 2001년부터 수행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HGM과 RAM의 약점과 단점을 보완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환경 특성 및 실정에 맞게 개선된 형태의 기능 평가 도구들이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국내외 습지 기능 평가 연구 동향파악 및 선진국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국내 기능 평가에 있어 우선적으로 보완이 필요한 것들로 다음의 사항들을 제안하는 바이다: 1) 조류와 같이 우리나라의 현실을 고려한 지시자를 활용한 기능 평가 도구가 필요하다. 2) 우리나라 습지의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연안습지를 대상으로 하는 최적화된 기능 평가 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3) 연구자 및 정책담당자들 간의 소통과 협력 공조를 유도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축과 확장이 필요하다.

영월한반도습지의 어류군집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sh Community in Yeongwol Hanbando Wetland)

  • 한상진;이광열;윤영진;최재윤;김준철;최재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24-431
    • /
    • 2014
  • 2012년 4월부터 10월까지 영월 한반도습지의 어류군집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어류는 총 10과 33종 7,107개체였으며, 이 중 한국고유종은 묵납자루를 포함하여 총 18종(52.94%)이었다. 또한 각 지점별 우점종은 St. 1, 2, 3, 5에서는 각각 참갈겨니(Zacco koreanus)였으며 St. 6에서 돌고기(Pungtungia herzi), 그리고 St. 7에서 묵납자루(Acheilognathus signifer)로서 하천 중상류역에 서식하는 어종이 우점하였으나, St. 4에서는 붕어(Carausius auratus)가 우점하여 하천의 중 하류역 또는 정수역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각 조사지점을 대상으로 유사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크게 3그룹(A, B, C)으로 나뉘어졌으며, 이중 그룹 C(St. 4)는 하천 지점(그룹 A)과 인위적인 교란을 받은 하천지점(그룹 B)과는 다르게 정수역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영월 한반도습지는 하천과 정수역의 특징을 지닌 매우 독특한 습지생태계로 판단되며, 생태학적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확신된다.

신안군 임자도의 관속수생식물의 식생에 관한 연구 (Study of vascular hydrophyte vegetation in Imjado, Shinangun, Korea)

  • 양효식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1-37
    • /
    • 2008
  • 신안군 임자도의 습지에 서식하고 있는 수생식물군락과 생산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6년 3월부터 11월까지 25개지소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정수식물은 갈대군락, 애기부들군락, 털물참새피군락, 나도겨풀군락, 흑삼릉군락, 미나리군락, 물피군락, 골풀군락, 사마귀풀군락 및 고마리군락, 부엽식물은 마름군락, 부유식물은 좀개구리밥군락과 개구리밥군락, 침수식물은 물수세미군락 및 가래군락으로 총 15개 군락이 식별되었다. 임자도의 수생관속식물군락 중 흑삼릉군락의 출현이 특이하다.

  • PDF

대도심 하구역 개발과 보전의 융합이용모형 개발 연구 -낙동강 하구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Utilization Considering Multi Functions of Urban Estuarine Area)

  • 임정현;최진휴;김준호;윤한삼;류청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2권4호
    • /
    • pp.589-60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integrated(fusion) utilization model aimed at maximizing the development/management functions of urban estuarine area and to present an integrated concept by analyzing the existing document and data. The main poi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integrated utilization model suggested in this paper goes beyond the existing idea of sustainable utilization and conservation, putting an emphasis on rational decision-making in estuary management and peaceful coexistence between human and nature. 2) Policies for utilization/development/conservation/regeneration of urban estuarine area include the establishment of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human and nature and a safety net considering both human and nature, the support for environment-friendly community development and the importance of preserving valuable ecosystem and wetland habitat. 3) Lastl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major tasks for the fusion utilization model development are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estuary areas, the conservation and preservation of wetland ecosystem, proper utilization of estuary's productivity, and the introduction and action plans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model including the best way to address contamination and disaster management.

CLM-FATES 모델을 이용한 습지 모의 (Wetlands Simulation using CLM-FATES)

  • 오현영;김연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191-191
    • /
    • 2023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 중립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요즘, 생태계의 가장 큰 메탄 저장소로서 지구의 탄소 순환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습지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전지구 지면 모델인 Community Land Model(CLM)에 Functionally Assembled Terrestial Ecosystem Simulator(FATES) 외부 모듈을 함께 구동한 지면 생태계 모델 CLM-FATES는 지면 heterogeneity와 다양한 식생 종류를 고려하여 에너지 플럭스, 토양 수문, 생화학적 과정 등을 모의함으로써 탄소 동태 변화를 포함한 장기적 생태계 동태 변화 모의를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CLM-FATES 모델을 미국 캘리포니아주 Mayberry Wetland (US-Myb)와 Twitchell East End Wetland (US-Tw4)에 적용하였다. 모델의 대기 입력 자료로는 FLUXNET-CH4에서 제공하는 에디 공분산 기반 플럭스 관측 자료를 사용하였다. 기존 CLM-FATES 모델은 토양이 장기간 포화 혹은 침수되어 지표 위 혹은 지표면 가까이 발달한 지하수면을 가지고 있는 습지의 수문학적 특성을 잘 반영하지 못해 정밀한 습지 생태계 동태 변화 모의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LM-FATES를 통한 보다 정확한 습지 생태계 모의를 위해 모델 내 토양 수문 관련 모듈을 수정하여 모델이 습지의 수문학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모델 구동 결과 도출한 잠열, 총일차생산량(Gross Primary Production: GPP)과 순생태계생산량(Net Ecosystem Production, NEP) 플럭스, 메탄 플럭스, 엽면적지수(Leaf Area Index; LAI)와 지표수 높이에 대해 관측값 대비 RMSE 및 R2 값을 계산하여 모의 결과의 적절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모델 개선 경험을 바탕으로 추후 우리나라 습지 사이트에 모델을 적용하여 습지 탄소 동태 예측에 활용할 계획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