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tland ecosystem

검색결과 280건 처리시간 0.027초

사천 가화천하구습지의 식생 및 생물상 특성: 생태계 보전 대책의 제안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and Biota in the Gahwacheon Estuarine Wetland, Sacheon, South Korea: Proposals for the Ecosystem Conservation)

  • 추연수;조광진;임정철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9권4호
    • /
    • pp.237-246
    • /
    • 2022
  • 하구습지는 생물생산성이 높고 물리적 환경도 독특하여 국가 생물다양성 관리 및 그들의 서식처 확보 관점에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하구습지 보전 및 관리를 위해 열린 하구이며 다양한 서식공간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가화천하구습지의 식생 및 생물상 조사를 통해 생태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정수역 다년생 초본식생, 염습지식생, 암극지식생 등 5개 상관식생형의 12개 식물군락이 확인되었다. 남강댐 방류, 조수의 영향으로 수변부의 좁은 입지를 따라 식생이 대상분포하고 있었다. 생물종 다양성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12종 포함 총 715종이 확인되었다. 다양한 하상구조와 미소서식처가 분포하고 있는 I, III구간에서 종다양성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해수 유입에 따른 기수역의 형성으로 다양한 기능군을 가지는 멸종위기 야생생물도 분포하여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화천하구습지의 생태정보의 수집은 하구 생태계의 보전·관리 기반을 마련하고 정책 수립을 지원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대암산 작은용늪 및 애기용늪 생태현황분석 (Ecosystem Analysis for Little Yong-neup, Baby Yong-neup in Daeam-san in Korea)

  • 이란;박은경;박미옥;구본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3-56
    • /
    • 2014
  • In this study, ecological investigation was performed on Yong-neup, Daeam-san for 5 times. This area is considered DMZ zone located between Yanggu-gun and Inje-gun, Gangwon-do, where has been recognized highly valuable for ecological preservation. As a result, Sphagnum and hydrophobic vegetation were found in Little Yong-neup, revealing its characteristics of high moor, where as no Sphagnum were found in Baby Yong-neup. Thereby, the carnification has been investigated in both Little Yong-neup and Baby Yong-neup. A main cause of damage was associated with the creation of stating rink and increases of visitors. The damages of vegetation in Little Yong-neup and Baby Yong-neup have been intensified by road construction or uses of groundwater while relocating military troops to upper stream of Little Yong-neup and Baby Yong-neup, further causing the damages of water circulation system and soil erosion. These artificial factors have caused the carnification of wetland protection areas including Little Yong-neup. The terrestrial vegetations, such as Plantago asiatica, Geranium Koreanum and Artemisia feddei have increased compared to current surve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5 endangered species, such as Lychnis wilfordii and Trientalis europaea and 5 other introduced species, such as Aster pilosus and Taraxacum officinale were found. 10 different species of mammal and 2 species of amphibian were investigated; and in addition to this, a original form of Sphagnum fens, the remaining wetland was found. Therefore,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auses of damages in Little Yong-neup and Baby Yong-neup through their ecological survey and accordingly proposing a direction for ecological restoration through the improvement of water circulation system, creation of habitats for plant and animal, restoration of vegetation through eco-friendly materials and indigeneity, relocation of the current military troops, securing of structural stability.

경남 김해 화포천습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Hwapocheon Wetland, Gimhae, Gyeongnam)

  • 유주한;박경훈;이우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61-7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the basic data for conservation of wetland ecosystem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Hwapocheon wetland, Gimhae, Gyeongnam, Korea.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292 taxa including 72 families, 192 genera, 262 species, 1 subspecies, 26 varieties and 3 forms. There were 34 taxa of hydrophytes, 23 taxa of emergent plants, 4 taxa of floating-leaved plants, 5 taxa of free-floating plants and 5 taxa of submerged plants. The rare plants were 7 taxa including Aristolochia contorta, Penthorum chinense, Prunus yedoensis(planting), Ixeris tamagawaensis, Hydrocharis dubia, Iris ensata var. spontanea(planting), Acorus calamus and so forth.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2 taxa including Salix koriyanagi and Salix pseudolasiogyne.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19 taxa including 2 taxa of grade V, 1 taxa of grade IV, 5 taxa of grade III, 2 taxa of grade II and 9 taxa of grade I. The naturalized plants were 62 taxa including Chenopodium album, Astragalus sinicus, Helianthus tuberosus, Panicum dichotomiflorum and so forth. The plants that were expected to spread nationwide were 14 taxa including Cerastium glomeratum, Bidens frondosa, Tagetes minuta, Festuca arundinacea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6 taxa including Rumex acetosella, Sicyos angulatus, Ambrosia artemisiifolia, Ambrosia trifida, Aster pilosus and Lactuca scariola.

서천갯벌 습지보호지역의 염생식물상과 식생 (Halophytes and Vegetation of Seocheon Tidal Flat Wetland Conservation Area)

  • 오현경;김세천;유주한
    • 환경영향평가
    • /
    • 제22권5호
    • /
    • pp.409-42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raw data for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tidal flat by objective surveying and analysing the halophytes and vegetation distributed in Seocheon tidal flat wetland conservation area,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umbers of halophytes in this site were summarized as 27 taxa including 13 families, 21 genera, 26 species and 1 variety. In the results of ecologically important species, rare plant was 1 taxa, 10 taxa of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1 taxa of naturalized plant and 1 taxa of the plant with approval for delivering oversea. The life form spectrum consisted of therophytes(44.4%), hemicryptophytes(25.9%), geophytes(14.8%), nanophanerophytes(7.5%), chamaephytes and hydatophytes(each 3.7%). The types of vegetation of Seocheon tidal flat wetland conservation area were classified with 17 communities including Vitex rotundifolia community, Suaeda maritima community, Calystegia soldanella community and so forth. In the halophytes composition, section C and E-1 had the largest character species and companion species. In the results of vegetation amount, section C, D, E-1 and E-2 were the highest score, on the other hand, section A and B were the lowest. The final rating was calculated by adding up values of two factors, and section C and E-1 had the highest rating of II. In future, we will survey the whole flora in Seocheon tidal flat, we will offer the help to establishing the conservation plan of coastal plant ecosystem in West Sea.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해안습지 기능평가 연구 - 충남 서해안을 대상으로 - (A Study on Function Assessment of Coastal Wetlands for Ecological Network Establishment -Focused on the Westcoast of Chungnam Province -)

  • 박미옥;박미란;구본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70-80
    • /
    • 2007
  • This study was surveyed from January to september, 2007 in order to evaluate the function of coastal wetland as a ecological axis in korea peninsula. Assessment was done by RAM (Rapid Assessment Method). RAM is consisted of total 8 contents and divided into high, moderate, low. The preservation grade of RAM is divided into 4 grades; absolute preservation, preservation, improvement and improvement or restoration. Throughout survey on total 14 wetlands of marine, estuary wetland and back marsh which are distributed in west coast in chung-nam province, their function was assessed. As result, total all the 14 wetlands were judged as preservation grade by assessment of 8 functional contents. The function of wetlands assessed as preservation grade showed high in water quality protection and improvement. Also, showed high in vegetation diversity, wildlife habitat and aesthetic recreation. Meanwhile, showed low in ground water recharge, Shoreline/Stream Bank Protection, Flood/Stormwater storage and Flood flow alteration. Of wetlands evaluated as preservation grade, Dae-ho, Sinduri, Bu-Nam lake, Sowhang dune and keum river estuary were assessed as absolute preservative area owing to habitation of international protection species and endangered species. These wetlands are essential to be managed continuously as a area having high ecological value. Farther, this wetlands will be done as a axis of ecological network related to land ecosystem.

인공습지에서 오염물질 제거기작 및 국내외 연구동향 (Removal Mechanisms for Water Pollutant in Constructed Wetlands: Review Paper)

  • 고대현;정윤철;서성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79-392
    • /
    • 2010
  • 최근 국내에서 인공습지는 하 폐수처리장 방류수의 후처리, 비점오염원 관리, 생태하천 복원 등 다양한 용도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인공습지가 설치되는 지역의 기후, 유입수의 특성, 지역적 특성 등에 따라 매우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인공습지 내에서의 오염물질의 제거기작은 확실하게 이해되고 있지는 않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인공습지 내에서 질소, 인을 중심으로 한 오염물질의 제거기작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질소 제거의 주된 기작은 인공습지 내의 근권(rhizosphere)에서의 질산화/탈질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인 제거의 주된 기 작은 인공습지내 여재 등의 기층(substrate)에서의 흡착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인공습지내의 인의 거동은 산화/환원 전위(ORP), 흡착/탈착, 미생물의 작용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온대지역에 서식하는 잠자리의 적정 조사 시기 제안 (Proposition of Dragonfly's Appropriate Survey Period Inhabited in Temperate Zone)

  • 이수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6-27
    • /
    • 2019
  • 습지의존종이면서 습지생태계의 질적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종인 잠자리목의 조사 시기를 제안하고자 산청군내 7개소의 인공습지를 대상으로 2015년 5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2주 간격으로 총 29회에 걸쳐 잠자리 종과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1~3월과 11월, 12월에는 잠자리목이 관찰되지 않아 조사 시기에서 제외하였다. 군집을 분류한 결과, 4~6월, 6~8월, 9~10월이 각각 다른 군으로 분류되었으나 4월, 6월, 10월의 경우 강우, 기온 등의 영향으로 연도별 변화가 예상되어 조사 시기를 대표할 수 없었다. 따라서 온대 지역의 잠자리 조사 시기에는 5월, 7~8월, 9월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종의 변화는 봄철에는 참실잠자리, 등검은실잠자리가, 여름철에는 고추잠자리, 등검은실잠자리, 먹줄왕잠자리, 배치레잠자리, 큰밀잠자리 등이, 가을에는 큰청실잠자리, 흰얼굴좀잠자리 등의 출현빈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국내 생태계 유형별 탄소 저장 및 거동 산정 연구 현황 분석 (Estimation of Carbon Storages and Fluxes by Ecosystem Type in Korea)

  • 장인영;정헌모;한상학;안나현;김덕엽;강성룡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17-425
    • /
    • 2023
  • 생태계는 탄소순환에 있어 매우 중요한 탄소 저장고이다. 기후변화가 점점 심화됨에 따라, 생태계의 이러한 기능을 활용하여 기후변화를 완화하려는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생태계를 대상으로 생태계 유형(산림, 농경지, 습지, 초지, 정주지) 및 탄소저장고별(지상부·지하부 생체량, 고사목, 낙엽, 토양유기탄소 및 생태계 전체) 탄소 저장 및 거동과 관련된 연구를 목록화 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선행연구 결과를 모아 각 생태계 유형과 탄소저장고를 대상으로 탄소 저장 및 거동량의 평균값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66%) 국내 탄소 저장·거동 관련 연구가 산림에서 수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림에서 수행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탄소저장고별 저장량을 분석한 결과, 식생의 지상부(4,166.66gC m-2)와 지하부(3,880.95gC m-2)와 토양(4,203.16gC m-2)에 많은 양의 탄소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산림 지하부에 많은 탄소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른 생태계 유형의 경우, 데이터의 제한으로 탄소저장고별 저장·거동량은 확인이 불가능하였다. 다만, 토양유기탄소 저장의 경우 산림과 초지의 데이터가 비교 가능하였는데, 두 생태계가 상대적으로 비슷한 탄소의 양을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각각 4,203.16 gC m-2, 4,023.23 gC m-2). 본 연구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다양한 생태계 유형에서의 탄소 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기농 벼-담수어 복합영농의 습지기능평가 및 전문가 조사 (Wetland Function Evaluation and Expert Assessment of Organic Rice-Fish Mixed Farming System)

  • 남홍식;박광래;안난희;이상민;조정래;김봉래;임종악;이창원;최선우;김창현;공민재;손진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61-172
    • /
    • 2018
  • 우리나라 농업 농촌은 경영 개선을 위해 유기농 쌀 생산과 더불어 담수어를 생산하는 복합영농이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복합영농이 환경, 생태적 기능에 얼마나 가치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전문가 평가와 습지평가체계(RAM)를 분석하였다. 전문가 조사 결과 양서파충류 서식처(2.39), 수서곤충 서식처(2.36), 어류 서식처(2.34), 식생다양성(2.13), 조류 서식처(2.05) 등 생물다양성 분야와 체험/생태교육(2.29) 기능이 1순위로 구분되었다. Modified RAM를 통해 관행논과 복합논의 습지기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복합논이 대부분의 평가기능 항목에서 기능이 향상 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보전가치 판단기준은 관행논 향상에서 복합논 보전으로 가치가 향상 되었다. 연구결과 복합영농은 관행논에 비해 습지 기능이 탁월하게 개선되는 것을 평가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논은 국가 생물다양성 유지에 지대한 역할을 수행하며, 기후조절, 탄소저감 등 다양한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으로 평가받는다. 복합영농 실현은 논의 다양한 생태계서비스 기능을 증진시켜 줄 뿐 아니라 물고기 생산이라는 부가가치를 통한 농가의 소득증대와 그로 인한 체험, 전통계승 등의 사회적 기능 증진에도 유용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습지기능평가가 높게 개선된 항목과 전문가들로부터 높은 개선이 예상된 항목을 실재 운영 시 정량 평가 및 조사하여 생산되는 물고기과 쌀의 친환경 이미지를 제고시키고 브랜드, 음식, 체험, 논농업 직불제 등 다양한 분야로 활용하도록 연구를 추가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식생우세도 지수에 의한 하천습지의 자연도 평가 (Naturalness Assessment of Riverine Wetland by Vegetational Prevalence Index)

  • 전승훈;고신혜;안홍규;채수권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535-545
    • /
    • 2011
  • 본 연구는 하도 내 홍수터 중심의 하천습지를 대상으로 현존 식생군집의 분석결과를 기준으로 식생 우세도지수를 산정하여 하천습지의 자연도를 평가함으로써 식생학적 복원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지는 금강수계의 논산천과 한강수계의 홍천강으로 일정한 하천구간을 선정하여 자연구간과 도시구간으로 구분 한 후 상관식생의 군집 및 토지이용 유형을 조사분석하고, 습지식생의 우세도 지수를 적용하여 하천습지의 자연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논산천과 홍천강은 유역의 규모와 특성, 하천환경의 교란과정 및 훼손의 상태 등에 있어서의 상당한 차이를 반영하듯 조사분석된 식생군집 및 토지이용의 양상도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특히 상관 식생군집의 공통성도 갯버들 1종을 제외하고는 매우 상이하였고, 또한 토지이용 양상도 많은 차이를 보였다. 습지식생의 우세도 지수를 적용하여 하천습지의 자연도를 평가한 결과 논산천과 홍천강 모두 자연구간이 도시구간에 비해 습지로서의 적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논산천과 홍천강의 자연구간만의 비교평가시 논산천의 자연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이는 홍천강의 경우 제방사면이나 천이고지에 정착한 육상형 식생군집이 포함된데 기인하는 것이라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습지식생 우세도 지수에 의한 하천습지의 자연도 평가결과는 양하천수계 및 구간의 하천환경 특성을 상당하게 반영하고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