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lfare for the disabled

검색결과 544건 처리시간 0.024초

장애유형, 장애정도 및 경제활동상태와 결혼생활만족도의 관계: 고용패널데이터를 활용한 장애인의 일상생활 차별경험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Type, Severeness, Economic Active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 Using the Employment Panel Data in Everyday Discrimination)

  • 이성규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4호
    • /
    • pp.281-30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들의 장애유형과 장애정도, 그리고 경제활동상태가 결혼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 이들 관계에 장애인에 대한 일상생활 차별경험이 매개역할 하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장애인의 결혼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조사는 본 연구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실시한 장애인 고용패널조사 6차년도 자료 가운데 장애를 가지고 있고 직장을 비롯한 일상생활에서 차별을 경험할 수 있는 결혼을 한 장애인 3,46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유형(신체외부장애, 감각장애, 정신장애, 신체내부장애)과 장애정도(중증, 경증), 경제활동상태(임금근로자, 자영업주, 무급가족종사자, 실업자, 비경제활동인구)는 실업자와 중증을 제외하고 결혼생활만족도와 일상생활 차별경험에 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유형과 장애정도, 그리고 경제활동상태가 결혼생활만족도에 미치는 관계는 일상생활 차별경험을 부분매개로 하여 이루어지고 있었다. 따라서 장애인의 결혼생활만족도를 높이는데 있어 일상생활 차별경험을 줄이는 방안을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다.

  • PDF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및 웹 시스템 기반의 편의시설 안내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Facilities Information System Based on the Mobile Application and Web)

  • 전강태;민홍기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53-58
    • /
    • 2011
  • 최근 우리나라 사회에서는 노약자 및 장애인에 대한 복지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관공서 및 여러 사회기관에서는 노약자 및 장애인들을 위한 편의시설의 설치가 법적으로 의무화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편의시설이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편의시설의 설치만 이루어질 뿐 시설에 대한 정보 부재로 인해 실제 활용도는 매우 낮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노약자 및 장애인들의 이동성을 위해 웹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편의시설 정보제공 시스템을 구현한다. 본 시스템은 노약자 및 장애인들이 이용하는 편의시설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시스템 내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들의 효율적인 관리와 시스템 종속성을 낮추기 위해 웹 서비스를 활용한다.

장애인 실업자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Affecting Employment of the Unemployed Disabled)

  • 강봉석;염동문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15-120
    • /
    • 2015
  • 본 연구는 장애인고용패널조사 1차년부터 5차년도까지 자료를 사용하여 콕스비례위험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은 실업기간에 따른 장애인 실업자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을 분석하여 장애인의 취업지원에 필요한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인구사회학적요인과 장애요인, 사회환경요인을 모두 고려한 모델이 검증되었으며, 장애인의 주관적 SES가 높을수록 장애인 실업자의 취업률이 높아지며, 중증장애인에 비해 경증장애인이 취업에 유리하였으며, 상대적으로 근로외 소득이 낮을수록 취업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제한점과 함의를 제안하였다.

  • PDF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대체자료 연구 - 정책 및 법령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aterials at Libraries for the Disabled: Focused on the Analysis of Related Policies and Legislations)

  • 백록담;김유승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35-155
    • /
    • 2016
  • 본 연구는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대체자료 제작 및 활용의 근거가 되는 정책 및 법령의 분석과 이해당사자와의 면담을 통해 관련 문제점을 논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체자료의 정의와 유형을 논하고, 장애인 정보접근권을 위한 제도적 노력의 연혁을 살펴본다. 정책 영역에서 제1차 및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중장애인 서비스 관련 부문을 분석하고, 법률 영역에서 도서관 대체자료와 관련하여 장애인, 도서관, 출판사 등 관련 집단의 권리와 의무를 규정하고 있는 "도서관법", "장애인복지법", "저작권법"을 논한다. 정책 및 법률 분석을 기반으로 대체자료 관련 이해당사자들의 인식과 입장을 분석하고자 심층 면담을 실시한다. 결론에 갈음하여,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대체자료에 관한 5가지 문제를 논한다.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에 대한 현황 및 사회복지사의 인식에 대한 연구: 경기도 장애인 거주시설을 중심으로 (Current status of their behavioral behavior and perceptions of social workers: Focusing on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Gyeonggi-Do)

  • 신준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505-511
    • /
    • 2021
  • 본 연구는 경기도 장애인 거주시설에서 생활하는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에 대한 현황 파악과 거주시설 사회복지사가 도전적 행동에 대해서 얼마나 인식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경기도 장애인 거주시설 사회복지사 1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으로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과 관련된 현황은 신체적 상해 경험이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도전적 행동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식으로는 심리적 트라우마로 인하여 업무에 지장을 받고, 이직을 고려한 적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에 대한 정보공유, 교육, 대처능력, 상해를 예방하며 발달장애인과 사회복지사가 심리적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공간 마련을 위한 실천적 제언점을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보호자가 인식하는 도전적 행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포커스 집단면접 활용을 중심으로 -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Social Exclusion against the Disabled - Focused on Focus Group Interview -)

  • 신유리;김경미;유동철;김동기
    • 사회복지연구
    • /
    • 제44권2호
    • /
    • pp.141-16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장애인들이 경험하는 사회적 배제 현상을 실제적으로 이해하고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장애유형, 성별, 연령, 학력, 직업유무 등을 고려하여 선정된 31명 장애인들에 대한 포커스 집단면접 8회 차가 실시되었다. 그 결과, 우선 참여자들은 경제적 분배의 불평등함으로 인해 물질적 결핍, 장애차별주의 사회구조에 의해 삶의 다차원적인 영역에서 권리박탈 경험이 발견된다. 또한 사회적 차원의 배제로 인해 사회적 활동참여에서의 배제와 관계로부터 단절과 소외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이들 참여자들의 경험분석으로부터 장애인들의 생물학적 손상에 가해지는 편협하고 이중적인 문화적 규범과 가치 등 비가시적인 배제형태가 발견된다. 이렇게 도출된 연구결과는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개념화를 위한 이론적 토대구축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장애인의 사회적 포함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됨에 그 함의가 있다.

한국 장애인 노동시장의 단층구조분석 : 학력과 성(性)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Segmented labor Market Structur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and sex)

  • 강동욱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0권
    • /
    • pp.157-172
    • /
    • 2002
  • 장애인고용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장애인의 학력수준이나 성(性)의 차이에 따라 노동시장에서 각각 다른 특성을 갖는 장애인 집단을 하나의 동일체로 간주하여 논의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방식은 장애인 노동시장구조에 관한 연구에서 빠트려서는 안될 또 다른 중요한 측면을 간과해 장애인 노동시장내의 집단간 단절과 같은 노동시장내의 구조적 문제해결에는 큰 도움을 주지 못할 우려가 있다. 현실적으로는 한국의 장애인 노동시장은 학력, 성(性), 장애유형 및 장애정도 등과 같은 여러 변수의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구조적 모습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실태에 근거하여 장애인의 고용이나 임금에 관한 접근을 기존 연구들에서와는 달리 노동시장의 단층구조적(斷層構造的) 측면에서 시도하고자 한다. 한국 장애인 노동시장의 단층성에 관한 실증분석을 위해 원 자료(raw data)는 노동부 공단의 "2000년 장애인근로자 실태조사" 결과를 이용하고, 분석기법으로는 MDFA(Multiple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기법을 사용한다.

  • PDF

장애인 생활시설 급식관리 및 위생관리 실태조사 (Foodservice Management and Food Sanitation Management in the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in Korea)

  • 이혜상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20-53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the equipment ratio of sanitary facility/equipment, and dietitians' perceptions of (i) the barriers to sanitary management and (ii) the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level in the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in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during the period from September 7 to October 15, 2006. A total of 91 institutions(response rate 74.6%) were analyzed by using SPSS(windows ver. 14.0). The average number of meals served per day per an institution was 379. The majority(93.4%) of dietitians made decisions in procurement. The major part of the purchase was made through private contract. The factors affecting menu planning were nutrition, food preference, and cost, in the order of importance. Among the food items, fruits were infrequently served, while protein source foods and green leaf vegetables were almost daily served. The equipment ratio of sanitary facilities/equipment was 45%, which was relatively low. Most dietitians perceived 'limited availability of facilities and equipment' and 'the lack of support from financing department' as the major barriers in implementing a desirable sanitary system.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in 'the food ingredient' was perceived as the lowest, while that in 'the uniform' showed the high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proper supporting program on securing the facility/equipment and adequately trained employees are needed for successful sanitary management. Also, a more frequent supply of fruits for the disabled is recommended.

장애인 건강관리를 위한 지역사회 재활보건의료서비스 전달체계 구축 방안 (A Policy Alternatives on Developing Health Care Delivery System for Disable Person in the Community)

  • 유호신;이주열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16
    • /
    • 2003
  • This policy alternatives for establishment of rehabilitation health care delivery system for the disabled in the community were developed based on the data of current health status and situations of health care management for disabled persons in Korea.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secondary data analysis for identifying health status and current situations of managing health of disabled persons, and discussed current issues for establishing rehabilitation health care delivery systems in the community. Observing the health status and current situations of managing health of disabled persons, scope and target population of disabled person extended. so prevalence rates increased. and the severity of disability intensified and specified. The summary of issues of health management for disabled persons included; 1) absence of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policy in rehabilitation health care systems. 2) absence of consumer based rehabilitation health care facilities and delivery systems that are considered as the characteristics of disabled persons 3) fixed form of projects based on the provider and lack of variety in the programs. Hereaft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policy alternatives should 1) establish a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health care policy for disabled persons. 2) establish comprehensive and specific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health care delivery systems that can promote preventing disability. providing medical care for disabled persons, establishing rehabilitation management for disabled persons and health care when returning to society. 3) provide training and secure manpower for rehabilitation, but the training case managers who will take the roles as an expert rehabilitation nurse mediators for multidisciplinary team work are needed immediately. and 4) include efficient connection and provision of independent services for welfare rehabilitation service and health care. Conclusively. a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health care delivery system should be comprehensive policy vision of the government on rehabilitation health care delivery System rehabilitation service has to be constructed systematically under suitable facilities con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rehabilitation health care policy. By doing this, consumer comprehensive community rehabilitation health care delivery system could be constructed disabled person.

  • PDF

전자점자악보의 현황에 입각한 DB구축의 필요성 연구 (The Necessity of DB Classification for Digital Braille Music)

  • 정지영;이미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343-350
    • /
    • 2017
  • 점자악보는 시각장애인들이 음악을 배우고 즐길 수 있게 하는 필수적인 교육적 자료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전자점자악보의 제작은 국립장애인도서관에서 신청제작 할 수 있으며 점자악보제작 및 교육에 특성화 된 시각장애인음악 재활센터에서 가장 많이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전국의 지역별 점자도서관은 점자악보의 분류조차 되어 있지 않고 소장하는 점자악보의 수도 다른 점자도서에 비해 비중이 낮다. 본 연구는 국립장애인도서관의 점자악보 제작과 그 현황을 파악하여 점자악보의 제작의 정확성과 시각장애인들이 점자악보를 사용함에 있어 효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각 지역별 점자도서관의 점자도서의 수와 그 안에서의 점자악보의 비중을 알아보고 전자점자악보의 필요성과 DB구축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시각장애인들의 음악교육 및 예술활동을 위한 전자점자악보의 활성화와 체계화를 통해 우리나라의 시각장애인들이 장애인 당사자주의를 바탕으로 더 좋은 문화적, 예술적 환경을 조성하는데 일익을 담당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