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ight percent grain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6초

유채의 도복이 수량과 주요형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dging on Yield and Important Agronomic Characters in Rape)

  • 김관수;권병선;김일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9-62
    • /
    • 1980
  • 본시험은 우리나라 환경하에서 생육시기에 따른 도복정도가 유채의 수양 및 주요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현장여품종인 용당과 목포29 호를 공시하여 개화전, 개화후 성숙전에 75$\circ$, 45$\circ$, 15$\circ$ 도복처리, 하여 수행하였다. 기결과 도서시기가 빠를수록 도복정도가 클수록 수량 등 대부분의 주요형질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컸다. 인위적으로 도복이 심하게 발생한 구에서 초장, 분지수는 증가하는 반면, 천입중, 협수 입수는 감소하여 종실수량에서 평균 29%의 감수를 나타냈다. 특히 개화전의 75$\circ$도복구는 대조구보다 평균 약60%의 수량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유채에서의 도복방지연구는 함으로 생육량이 큰 다수성 F_1 품종의 육성 보급을 위해 종합적으로 연구가 뒷받침 되어야한다고 사료된다.

  • PDF

Cu-Fe-Sn-S계(系) 광물(鑛物)의 산출상태(産出狀態)와 상안정관계(相安定關係) (Occurrences and Phase Stability Relations of Minerals of the Cu-Fe-Sn-S System)

  • 이민성
    • 자원환경지질
    • /
    • 제13권4호
    • /
    • pp.205-213
    • /
    • 1980
  • Stannite is mainly found in hypothermal ore deposits, whereas mawsonite and stannoidite occur characteristically with bornite and chalcopyrite in subvolcanic (xenothermal) ore deposits. Mawsonite always shows the replacement on the rims of stannoidite grains or along the grain boundaries of stannoidite, bornite and chalcopyrite. In the Tada mine, Japan, the following mineral assemblages of the Cu-Fe-Sn-S minerals were observed. 1) bornite-stannoidite; 2) stannoidite-chalcopyrite; 3) stannite-chalcopyrite; 4) bornite-mawsonite-stannoidite; 5) bornite-stannoidite-chalcopyrite; 6) mawsonite-stannoidite-chalcopyrite; 7) stannoidite-stannite-chalcopyrite; 8) bornite-mawsonite-stannoidite-chalcopyrite The heating and D.T.A.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natural stannoidite containing 3 weight percent of zinc decomposes to bornite, stannite and chalcopyrite at above $500^{\circ}C$, whereas zinc-free synthetic stannoidite is stable up to $800^{\circ}C$. The stability temperature of zincian stannoidite depends on the zinc content. Mawsonite is stable at temperatures below $390^{\circ}C$ and decomposed to stannoidite, bornite and chalcopyrite above it. According to the sulfur fugacity determination by the electrum tarnish method the univariant assemblage of mawsonite, bornite, stannoidite and chalcopyrite requires a higher sulfur fugacity than that of bornite, stannoidite and chalcopyrite assemblage.

  • PDF

16mol% CaO-84mol% $ZrO_2$ 고용체의 소결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intering Behavior of 16 mol% CaO-84mol% $ZrO_2$ Solid Solution)

  • 박금철;최영섭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47-355
    • /
    • 1983
  • A batch mixture was prepared as 16mol% CaO-84mol% $ZrO_2$ of regeant-grade powder. The monoclinic Zirconia powder had an average particle size of $9.24 \mu\textrm{m}$ and calcium carbonate powder had a reported purity of 99.7 weight percent and mean particle size of TEX>$24, 37<\mu\textrm{m}$. The specimens were fired at 1400, 1500, 1650 and $1750^{\circ}C$ for 0. 3, 5 and 7 hours respectively. After fired the specimens were investigated using Scaning electron microscopy. Density Porosity Compressive strength Modulus of rupture and Thermal expansion were measured X-ray diffration analysis was also carried out.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As the firing temperature or soaking time was increased firing linear shrinkage apparent density compressive strength and modulus of rupture increased but apparent porosity decreased, 2) Cubic and monoclinic Zirconia was found at $1400^{\circ}C$ and cubic Ziconia found above $1500^{\circ}C$ 3) The specimens fired at 140$0^{\circ}C$ without soaking display thermal expansion curves by monoclinic〓tetragonal transformation and no tranformation was found at $1400^{\circ}C$ for 5hrs and above $1500^{\circ}C$. 4) The lattice parameter had constant value of 5.1345 $\AA$ through all the ranges of firing temperature 5) The higher the firing temperature was or the longer the soaking time was the larger the grain size was.

  • PDF

Seven Days of Consecutive Shade during the Kernel Filling Stages Caused Irreparable Yield Reduction in Corn (Zea mays L.)

  • Kim, Sang Gon;Shin, Seonghyu;Jung, Gun-Ho;Kim, Seong-Guk;Kim, Chung-Guk;Woo, Mi-Ok;Lee, Min Ju;Lee, Jin-Seok;Son, Beom-Young;Yang, Woon-Ho;Kwon, Young-up;Shim, Kang-B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3호
    • /
    • pp.196-207
    • /
    • 2016
  • In monsoon climates, persistent shade is a troublesome weather condition with an impact on the growth and yield of corn (Zea mays L.). We imposed 7, 14, 21, and 28 days of consecutive shade (CS) on Gwangpyeongok and P3394 corn hybrids at the beginning of the kernel filling stages. Shade had little impact on leaf area and dry matter accumulation in the stem and leaves. However, dry matter accumulation in the ear was severely reduced by approximately 28% and 53% after 14 and 28 days of CS, respectively. For the components of grain yield, 7 and 14 days of shade did irreparable damage to the number of filled kernels, the kernel number per ear row, and the percent of filled kernels, but did little damage or reversible damage after removal of the shade to the 100-grain weight and the row number per ear. Shade significantly reduced the relative growth rate (RGR) due to a decrease in the net assimilation rate (NAR).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urce activity limitation by shade during the kernel filling stages leads to the inhibition of sink activity and size. The yield of biomass, ear, and grain logistically declined as the length of CS increased. Probit analysi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days of CS needed to cause 25% and 50% reductions in grain yield were 3.7 and 23.1,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lant yield loss induced by shade at the beginning of the kernel filling stages is mainly achieved within the first 7 days of consecutive shade.

육성년도가 다른 벼 품종의 생육 및 수량특성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Rice Varieties Developed in Different Years)

  • 임준택;신동영;김학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43-349
    • /
    • 1993
  • 본 연구는 벼의 시대적 장려품종들 사이의 수량형질이나 생리적 형질에서의 변화를 살펴 육종에 의한 수량증대의 원인을 밝히고, 생리적 형질의 개량을 통한 수도 수량증대 방안을 찾아 보고져 행하여졌다. 1911년부터 1988년도 사이의 8기의 장려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한 후 수량형질들을 조사하고 생장해석을 통해 생리적 형질들의 값을 측정하여 품종변천에 따른 이들 형질들의 변이를 비교하였다. 최근에 올수록 장려품종들의 간장은 짧아 졌으며 '70년대 이후의 품종들의 등숙률이나 수확지수는 그 이전의 품종보다 높아 졌으나, 주당수수, 수당입수, 그리고 년입중의 변이에서는 시대적 품종변천에 따른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순동화율, 엽면적비율, 상대엽면적, 그리고 엽중비율에 있어서도 최신 품종에서 아무런 개량을 찾아 볼 수 없었으며 육종을 통한 수도의 수량증대가 있었다면 그것은 주로 도숙병 저항성 품종 육성이나 단간종의 개발에 따른 도복 감소를 통한 등숙율의 향상과 수확지수의 증대에 기인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수량증대를 위해서는 순동화율의 증대와 수확지수의 증대가 병행하여 이루워 지는 것이 필요하며 광투과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도복이 억제되는 한 장간종을 육성하는 것이 중묘할 것으로 나타났다. 순동화율은 엽면적비율과 부의 상관관계가 있어서 이들을 동시에 증대시키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나 순동화율이 상대생장율에 미치는 기여도는 엽면적비율의 그것보다 커, 순동화율이 높은 품종선발이 보다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엽중비율의 증대를 통한 엽면적비율의 증가가 상대생장율을 높이는데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경기지역 일부 대학생들의 식생활 관련 심혈관대사질환 건강위험도 평가 (Diet-Related Health Risk Appraisal for Cardiometabolic Diseases of the College Students in Gyunggi-do)

  • 김형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9-98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diet-related health appraisal for cardiometabolic diseases of the college students in Gyeonggi-do. The survey data obtained by 21 questionnaire(6 general characteristics and 15 food behaviors) given to 90 students, 41 males and 49 females.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22.2 years old for the male students and 20.9 years old for the female students(p<0.001). Among the subjects, 35 males and 47 females' height, weight and percentage of body fat were measured using bioelectrical impedance(Inbody 720). The average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and percent body fat of the subjects were 175.7cm, 69.5kg, 22.4 and 16.9% for males and 162.0cm, 53.5kg, 20.4 and 27.7% for females, respectively (p<0.001). Male students had a higher prevalence of smoking compared with female students(p<0.001). Females had higher intake frequency of fruits than males(p<0.05). Males had higher intake frequency of fishes than females(p<0.05). Male students had higher number of side dishes at mealtime compared with female students.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the sexes in intake frequency of dairy, ramyeon, rice with whole grain, 3-layered pork belly, processed meat, soft drinks, soy products and fast food. Also,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sexes in number of vegetables per day, frequency of eating out, prevalence of eating kimchi at every meal. Cardiometabolic risks were calculated by 'Diet-related health risk appraisal'. Male students had higher cardiometabolic risks(hypertension, hyperlipidemia, diabetes, obesity, abdominal obesity) than female students(p<0.001). Appropriate nutritional education for college male students may help to prevent cardiometabolic diseases in the future.

벼 주연효과의 품종간 차이와 그 생장해석 (Varietal Difference and Growth Analysis of Border Effect in Rice Plant)

  • 김광호;양충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21-327
    • /
    • 1984
  • 벼 재배시에 나타나는 주연효과의 품종간 차이와 생장해석을 통한 주연효과의 원인을 알고져 3품종을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논의 외연 1∼2 열에 심겨진 벼의 수량은 내부열에 비하여 평균 30% 정도 많았는데 주연효과는 품종에 따라서 최대 35%, 최소 21%이었다. 2. 주연효과에 의한 수량증가는 논의 외부 1∼2열에서만 나타났으나 한강찰벼는 외연으로부터 4열까지도 주연효과가 나타났다. 30 주연효과는 주당수수와 수당입수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다. 4. 수건물중과 엽면적은 이앙후 30∼60일경부터 외열과 내열간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조생종은 중만생종보다 주연효과에 의한 건물중과 엽면적의 차이가 빨리 나타났다. 5. 개체군생장속도, 상대생장율, 순동화율 및 엽면적비 등에 있어서도 주연효과를 나타내는 시기가 많았다.

  • PDF

황화물(黃化物) 및 불화물(弗化物)이 수도생육(水稻生育)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I. 오염지역(汚染地域)에서의 생육장해(生育障害) 및 수량감소(收量減少) (Influence of Sulfur and Fluorine Compounds on the Growth and Yield of Rice Plants;I. Growth Retardation and Yield Reduction under Various Stressed Conditions in the Field)

  • 박완철;신응배;김광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53-65
    • /
    • 1987
  • 본(本) 연구(硏究)는 1981년(年)부터 1984년(年)까지 4개년(個年)에 걸쳐 울산공업단지주변(蔚山工業團地周邊) 21 개지점(個地點)에서 수행(遂行)되었다. 대기중(大氣中) 황화물(黃化物) 및 불화물(弗化物)이 수도(水稻)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해 수도(水稻)의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 수량(收量), 대기중(大氣中)의 류황산화물(硫黃酸化物), 엽내류황(葉內硫黃) 및 불소함량(弗素含量), 엽피해율(葉被害率)을 조사(調査)하여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수도(水稻)의 수량(收量)에 대(對)한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의 기여율(寄與率)은 주당수수(株當穗數)의 기여율(寄與率)이 매년(每年) 제일 높았으며, 타(他)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들의 기여율(寄與率)은 주당수수(株當穗數)보다 현저히 낮았고, 이들의 기여정도(寄與程度)는 조사년도(調査年度)에 따라 차이(差異)가 있었다. 2. 수량(收量)과 주당수수(株當穗數) 및 등열율(登熱率)에 대(對)해서는 매년(每年) 엽내불소함량(葉內弗素含量)에 의한 영향도(影響度)는 엽내류황(葉內硫黃)에 의한 것보다 크고, 수당입수(穗當粒數)에 대(對)한 엽내류황(葉內硫黃)과 불소(弗素)에 의한 영향도(影響度)는 조사년도(調査年度)에 따라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이 없었으며, 이들 오염지표(汚染指標)와 천립중간(千粒重間)에는 상관(相關)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그리고 수량(收量) 및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에 대(對)한 월별(月別) 오염물(汚染物)이 영향(影響)은 조사연도(調査年度)에 따라 차이(差異)가 있었으며, 매년(每年) 주당수수(株當穗數)의 감소(減少)에 가장 큰 영향(影響)을 미친 월별(月別) 오염물(汚染物)이 최종수량(最終收量)의 감소(減少)에도 가장 영향(影響)이 컸다. 3. 수도(水稻)의 수량추정(收量推定)에 적용(適用)할 오염지표(汚染指標)를 선정(選定)할 때 월별(月別) 엽내류황(葉內硫黃) 및 불소함량(弗素含量)과 엽피해율(葉被害率)을 함께 적용(適用)하는 것이 PSS 값이 제일 낮았다. 그리고 PSS에 의해 선정(選定)된 오염지표(汚染指標)를 이용(利用)하여 만든 회귀식(回歸式)에 의한 예측수량(豫測收量)과 실측수량간(實測收量間)에는 높은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인정(認定)되었다.

  • PDF

유기질비료의 사용에 따른 토양 및 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sing Organic Fertilizer on the Growth of Rice and Soil)

  • 오태석;김창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36-42
    • /
    • 2013
  • 벼 재배시 화학비료를 대체하기 위한 유기질비료의 활용성 시험에서 유기질비료의 사용 후 토양의 화학적 특성에서는 pH와 유기물함량은 유기질비료의 시비량이 많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생육특성 면에서도 대조구와 비교하여 생육초기에는 유기질비료와 화학비료를 같이 사용한 처리구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생육후기에서는 유기질비료를 12 kg/10 a를 시비한 처리구7이 엽면적과 생체중, 건물중이 가장 높은 수준이었으며 수량구성요소 면에서는 영화수나 등숙비율은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수량 면에서도 대조구와 처리구들이 10 a당 500 kg이상의 수량을 보였고 가장 높은 수량은 처리구7이 538 kg/10 a 나타내고 있으며 미질특성 면에서도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기질비료의 시비에 따라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벼 재배시 유기질비료로 화학비료를 대체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진행한 결과 유기질비료를 시비할 시에는 토양의 물리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났으며 벼의 수량구성측면과 현미의 품질측면에도 관행적으로 시비하던 화학비료와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어 유기질비료는 화학비료를 대체할 수 있는 비료로서의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합리적인 사용량은 10 a당 267 kg을 사용하는 것이 품질과 수량확보 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벼 휴립건답직파 절수재배에 알맞은 파종량 (Reasonable Seeding Rate for Ridge Direct Seeding on Dry Paddy of Rice as an Irrigation Water-Saving Cultural System)

  • 최원영;박홍규;김상수;신현탁;최선영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143-147
    • /
    • 2000
  • 벼 휴립건답직파 절수재배시 적정 파종량을 알아보고자 1997년~1998년까지 2년간에 걸쳐 전북통(미사질양토)에서 동진벼를 공시하여 파종량을 표준인 60kg/ha부터 2kg/ha씩 증파하여 120kg/ha까지 파종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재배기간중 강수량은 평 915.8 mm였고 관개용수량은 258.75 mm로 1회 관개마다 34.5 mm를 관개하였다. 2. 입모수는 파종량이 많을수록 많았으나 입모율은 반대 경향이었다. 3. 엽면적지수는 파종량이 많을수록 높았고, 지상부건물중도 파종량이 많을수록 무거웠다. 4. 토양수분장력은 관개를 중단한 1일후에는 -2kPa 이었으나 그 후 계속 낮아져 5일후에는 -30kPa이었다. 5. 파종랑이 많을수록 간장+수장이 길어 도복지수가 높았으나 포장도복은 모두 일어나지 않았다. 6. 출수기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등숙비율과 현미천립중은 비슷하였고 m$^2$당 립수는 100kg/ha 파종에서 가장 많아 쌀수량은 파종량 100 kg/ha에서 표준(60kg/ha)대비 9% 증수하였으며, 80kg/ha과 120kg/ha에서는 4% 증수 되었다. 따라서 벼 휴립건답직파 절수재배시 적정 파종량은 100 kg/ha이라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