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dge failure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5초

지질특성에 따른 암반사면 붕괴유형연구 (Failure Types in Rock Slopes According to Geological Characteristics)

  • 정형식;유병옥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2권6호
    • /
    • pp.37-50
    • /
    • 1996
  • 본 연구는 국내 고속도로의 암반사면의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암반사면의 붕괴형상 및 특징을 암종 및 지질구조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사면의 암종에 따른 붕괴규모, 붕괴시기 등을 분류하고 불안정한 사면에 영향을 주는 주요 지질구조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붕괴 빈도가 높은 사면은 한반도의 남동측에 나타나는 중생대 백악기 퇴적암층과 경기일원 및 강원도 일원의 비교적 넓게 분포하고 있는 선캠브리아기의 편마암, 편암지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종에 따른 붕괴유형은 화성암이 낙석, 평면파괴, 토층유실, 원호파괴의 붕괴유형을 보이나 붕괴빈도가 비교적 낮고 퇴적암에서는 평면파괴가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계일층의 차별적인 풍화에 의해 붕락형의 붕괴유형을 보이기도 하였다. 그리고 변성암에서는 암질불량으로 인한 원형파괴, 단층구조 및 엽리 등으로 인한 쐐기파괴, 평면파괴양상을 보였다. 지질구조에 따른 붕괴는 퇴적암에서는 주로 층리에 의해서는 붕괴가 발생되었으며 화성암에서는 절리, 그리고 변성암에서는 단층과 암질불량에 의한 붕괴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이하선암의 술후 방사선치료시 방사선치료 방법에 따른 치료 실패 양상 분석 (Patterns of Failure According to Radiation Treatment Technique in the Parotid Gland Cancer)

  • 이상욱;이창걸;금기창;박정수;최은창;신현수;추성실;이석;조광환;서창옥;김귀언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7-171
    • /
    • 2000
  • Objectives: To compare the outcomes of treatment with a focu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two primary techniques of radiation used for treating parotid gland malignancies.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70 patients with parotid gland cancer treated between 1981-1997. Radiation was delivered through an ipsilateral field of high energy electron and photon in 37 patients(52.9%). Two wedge paired photon was used to treat in 33 patients(47.1%). The median dose was 60 Gy, typically delivered at 1.8-2.0Gy per fraction. The median follow-up times for surviving patients was 60 months. Results: The overall and disease free 5 year survival rates were 71.6% and 69.5%, respectively. Wedge paired photon and photon-electron treatment disease tree 5 year survival rates were 61.1% and 80.5%, respectively. Overall local failure rate was 18.6%. Local failure rate of wedge paired photon technique was higher than that of mixed beam technique. Late complication rate was 37.1%, but most of them were mild grade. Conclusion: Techniques of radiation were associated with local control. The technique of using an ipsilateral field encompassing the parotid bed and treated with high energy electrons often mixed photons was effective with minimal severe late toxicity. To irradiate deep sited tumors, we consider 3-D conformal treatment plan for well encompassing the target volume.

  • PDF

복합재 연소관의 쐐기형 체결부 구조 해석 (The Structural Analysis of Wedge Joint in Composite Motor Case)

  • 황태경;도영대;김유준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64-73
    • /
    • 2000
  • 본 체결부는 필라멘트 와인딩으로 제작된 연소관, 복합재 쐐기 그리고 알루미늄 내부 링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연소관은 헬리컬 층과 후프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복합재 연소관의 성능 향상을 위해 체결부의 설계 변수에 따른 유한 요소 응력 해석이 수행되었다. 이때 접착 층을 난-소성 거동 재질로, 쐐기부와 알루미늄 링간의 접촉 상태는 ABAQUS의 접촉 표면 요소로 모사 되었다. 또한 해석 결과의 정확성을 입증하기 위해 내압에 의한 체결부 밀림 변위와 연소관 몸체의 원주 방향 변형도를 수압 시험과 비교하였다. 쐐기와 알루미늄 링간의 완벽 접착은 쐐기와 연소관간의 접착 층에 높은 전단 변형을 발생시켜 체결부 조기 파괴의 원인이 된다. 쐐기와 알루미늄 링간의 미 접착은 쐐기와 연소관사이의 접착 층 전단 응력을 감소시키는 반면 내부 알루미늄 링의 미끄러짐 거동으로 체결부 복합재의 반경 방향 변형을 증가시켜 파괴를 유발하였다. 그러나 쐐기부와 알루미늄 링간의 미접착 상태에서, 원주 방향 와인딩으로 체결부 지점을 보강한 경우, 알루미늄 링의 미끌어짐이 억제되어 체결부 지점의 복합재 원주 방향 변형값이 감소했다.

  • PDF

편마암지역 자연사면.절취사면의 안정성 분석 사례 (Analysis of Rock Slope Stability for Natural Slope and Cut Slope of Gneiss Area in Andong, Korea)

  • 김만일;배두원;김종태;채병곤;정교철
    • 지질공학
    • /
    • 제17권2호
    • /
    • pp.289-297
    • /
    • 2007
  • 매년 강우로 인해 발생되는 사면파괴는 많은 재산피해와 인명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사면재해로부터의 피해저감을 위해 인간의 생활권과 인접한 사면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이들의 안정성 검토와 보강 대책이 요구된다. 연구지역은 편마암으로 이루어진 암반사면으로써 단층작용으로 인해 대규모 절리군이 형성되어 있는 풍화암 내지 연암의 풍화 특성을 보여준다. 조사사면을 자연사면과 절취사면으로 구분하여 현장자료를 검토한 결과, 자연사면에서는 주 절리군이 형성된 4개 지점에서 평면파괴와 쐐기파괴 가능성이 우세하였으며, 절취사면의 경우 8개 지점에서 쐐기파괴 발생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SLIDE 2D에 적용해 이들 사면의 최소안전율에 대한 수치해석 결과에서는 자연사면보다 절취사면의 안정성이 비교적 취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Passive earth pressure for retaining structure considering unsaturation and change of effective unit weight of backfill

  • Zheng, Li;Li, Lin;Li, Jingpei;Sun, De'an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3권3호
    • /
    • pp.207-215
    • /
    • 2020
  • This paper presents a kinematic limit analysis for passive earth pressure of rigid retaining structures considering the unsaturation of the backfill. Particular emphasis in the current work is focused on the effects of the spatial change in the degree of saturation on the passive earth pressure under different steady-infiltration/evaporation conditions. The incorporation of change of effective unit weight with degree of saturation is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study. The problem is formulated based on the log-spiral failure model rather than the linear wedge failure model, in which both the spatial variations of suction and soil effective unit weight are taken into account. Parametric studies, which cover a wide range of flow conditions, soil types and properties, wall batter, back slope angle as well as the interface friction angle, a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on the passive pressure and the corresponding shape of potential failure surfaces in the backfill. The results reveal that the flow condition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suction and unit weight of the clayey backfill, and hence greatly impact the passive earth pressure of retaining structures. It is expected that present study could provide an insight into evaluation of the passive earth pressure of retaining structures with unsaturated backfills.

파괴형태를 고려한 암반사면의 신뢰도해석 (Reliability-Based Analysis for Rock Slopes Considering Failure Modes)

  • 이인모;이명재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3-16
    • /
    • 1999
  • 본 논문은 새로 개발된 파괴형태를 고려한 암반사면의 신뢰도해석 모델의 검증을 위하여 예제를 통한 민감도해석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수록하였다. 민감도분석에 이용된 매개변수는 암반 불연속면의 공학적 특성 (불연속면의 방향 및 강도),하중조건 및 암반사면의 기하학적 형상 등이다. 확률론적 해석에서 고려할 수 있는 불연속면의 방향 및 마찰각의 통계적 특성이 파괴형태를 고려한 암반사면의 안정에 큰 영향을 보였다. 암반사면의 안정은 굴착면의 방향에 가장 민감하였다. 예제분석을 통하여 개발된 파괴형태를 고려한 암반사면의 신뢰도모델은 암반사면의 안정성 조사에 성공적으로 적용할 수 있었다.

  • PDF

절토사면의 안정해석과 보강방법 (The Reinforcement Method and Stability Analysis of Cut Slopes)

  • 지인택;이달원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12-121
    • /
    • 199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lope stability relating to the failure of cut slop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tress-strain relations obtained by limit equilibrium method, finite element method, and stereographic projection method for the reinforced cut slop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 1.To use stereographic projection method led to little possibility to take the toppling and wedge failure while to use the other methods led to the failure. It was recommended to reduce the slope inclination from 1:1 to 1: 1.5~1 :1.8 and adopt coir mesh method to protect the slope surface. position with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fter final excavation moved to the excavation base. The maximum shear strain values concentrated at the excavation base indicated the possibility to induce the local failure. 3. It was recommended that the slope inclination for blast rock with the slope height larger than l0m was 1: 0.5, 1:1, and 1: 1~1 :1.5 for hard rocks, soft and ordinary rocks, and ripping and soils, respectively. 4. Berm width criteria for blast rock with the slope height larger than l0m were recommended as follow : 2~3m per 20m slope height for hard rocks, 1 ~2m per l0m slope height for soft and ordinary rocks, 1 ~ l.5m per 5m slope height for ripping and soils.

  • PDF

2차원 모형실험 및 수치해석을 통한 현수교 터널식 앵커리지의 인발거동 특성 분석 (Analysis of Pull-out Behavior of Tunnel-type Anchorage for Suspended Bridge Using 2-D Model Tests and Numerical Analysis)

  • 서승환;박재현;이성준;정문경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10호
    • /
    • pp.61-7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케이블 인발하중이 작용하는 현수교의 앵커리지 종류 중 터널식 앵커리지의 인발거동 특성을 축소모형실험과 수치해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터널식 앵커리지는 국내외 적용사례가 적고 파괴형태 및 안전율 등 설계기법이 명확히 정립되어 있지 않아 설계기법 개선과 관련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국내 최초로 터널식 앵커리지가 적용된 울산대교를 대상으로 형상 및 구조를 단순화하여 축소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모형실험에서 앵커리지 구체와 주변 암반을 석고혼합물로 구현하였고, 평면 변형률 조건에서 인발 거동 특성을 조사하였다. 모형실험결과 터널식 앵커리지의 최종 인발 파괴모드는 울산대교의 설계시 가정한 바와 달리 쐐기(wedge)형태로 나타났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BAQUS를 사용하여 수치해석을 시행하였고, 모형실험결과와 동일한 인발 파괴 거동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치해석에서는 추가적으로 모형재료의 포아송비 및 주변암반의 강도 변화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극한 인발상태까지는 포아송비에 따른 영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주변암반의 강도가 앵커리지 구체의 강도보다 10배 이상 큰 특수한 경우에 한하여 앵커리지가 주변 암반의 경계면을 따라 빠져나오는 소위 플러그(plug)형태의 파괴모드가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Slip-line법을 이용한 V형 암석 노치의 파괴하중 계산 (Calculation of Failure Load of V-shaped Rock Notch Using Slip-line Method)

  • 이연규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0권4호
    • /
    • pp.404-416
    • /
    • 2020
  • 2차원 응력조건에서 V형 암석노치의 파괴하중을 계산하는 해석적 절차를 slip-line 소성해석법 기반으로 개발하였다. 노치 주변의 암석이 소성상태에 있을 때 slip-line 중 하나인 α선이 암석 노치 면과 노치 외부 수평면을 연결한다는 사실과 α선을 따라서 변하지 않는 불변량이 존재한다는 이론적 사실이 해석적 절차 개발과정에서 핵심 아이디어로 활용되었다. 암석 노치 외부 수평면의 응력 경계조건을 알고 있으므로 불변량 방정식을 풀면 암석 노치 면에 작용하는 수직응력과 전단응력을 계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노치 면에 작용하는 응력성분 값을 이용하여 쐐기에 의해 노치에 가해지는 파괴하중을 계산하였다. 개발된 해석적 절차를 적용하여 암석 노치파괴 해석을 수행하였다. 암석 노치의 파괴하중은 노치의 각도 및 노치 면의 마찰이 증가함에 따라 지수함수적 비선형성을 가지고 증가하는 특성이 있음을 해석결과는 보여주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해석적 절차는 쐐기형 노치 형성을 통한 암석균열 개시조건 연구, 암반 기초 지지력 계산, 암반사면 및 원형터널의 안전성 해석 등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rediction of seismic displacements in gravity retaining walls based on limit analysis approach

  • Mojallal, Mohammad;Ghanbari, Ali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42권2호
    • /
    • pp.247-267
    • /
    • 2012
  • Calculating the displacements of retaining walls under seismic loads is a crucial part in optimum design of these structures and unfortunately the techniques based on active seismic pressure are not sufficient alone for an appropriate design of the wall. Using limit analysis concepts, the seismic displacements of retaining walls are studied in present research. In this regard, applying limit analysis method and upper bound theorem, a new procedure is proposed for calculating the yield acceleration, critical angle of failure wedge, and permanent displacements of retaining walls in seismic conditions for two failure mechanisms, namely sliding and sliding-rotational modes. Also, the effect of internal friction angle of soil, the friction angle between wall and soil, maximum acceleration of the earthquake and height of the wall all in the magnitude of seismic displacements has been investigated by the suggested method. Two sets of ground acceleration records related to near-field and far-field domains are employed in analyses and eventuall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uggested method are compared with those from other techniq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