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athering products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3초

야외사용을 목적으로 공장라인에서 생산한 방부합판의 성능평가 (The Evaluation of the Preservative Treated Plywood Produced by Factory Processing)

  • 손동원;이상민;이동흡;강은창;박병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3호
    • /
    • pp.47-54
    • /
    • 2008
  • 데크제가 지니고 있는 결점들을 보완하여 보다 효율적인 야외사용 목질재료를 공급하고자, 방부처리합판을 제작하였다. 방부합판은 라디에타소나무 단판을 방부처리하여 사용하였으며, 방부처리는 기존의 방부시설을 사용하고 그 밖의 공정은 (주)선창산업의 합판생산 공정에 따라 제작되었다. 두께 26.8 mm, 90 mm ${\times}$ 180 mm의 방부합판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합판은 합판성능 시험 외에 외장용 데크재로서 사용할 목적에 부합되도록, 방부효력, 치수안정성, 촉진열화시험, 옥외폭로시험을 실시하였다. 방부합판은 방부처리로 인하여 접착력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CUAZ-1호로 처리한 방부합판의 방부효력은 중량감소율이 낮았으며, 치수안정성은 교차 배열한 합판의 특성대로 판재보다 우수하게 나타났다. 촉진열화시험 결과, 표면의 탈색은 진행되었지만 치수의 변화나 표면의 갈라짐 혹은 접착면의 박리와 같은 물리적인 열화는 발생하지 않았다. 옥외에서 17개월 폭로한 시험결과, 휨강도는 다소 감소하였으나 내부접착력은 감소하지 않았다.

Field Application of an Ultrasonic Testing for Reconstructing CT Images of Wooden Columns

  • Lee, Sang-Joon;Park, Chun-Young;Kim, Kwang-Mo;Lee, Jun-Jae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2호
    • /
    • pp.148-154
    • /
    • 2009
  • This research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using an ultrasonic test to reconstruct CT images of an ancient wooden building. Most of the columns in the building are severely deteriorated due to termite attacks or the effect of weathering. Ultrasonic CT images of the columns were used to create highly accurate digital reconstructions, despite a lack of the data caused by parts of the building walls being buried. Another semi-NDE technique, a drilling test based on resistography, was applied in order to verify the ultrasonic test results. The discrepancy in detection between two methods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two methods. The performance of the ultrasonic test was hindered by poor surface conditions and this technique tended to over-estimate the size of cavities produced by termites or other insects. Nevertheless, the deterioration detected was in many ways congruent with the drilling test results

ESPI를 이용한 자외선조사량에 따른 폴리머애자의 탄성계수 변화 연구 (Elasticity Modulus Change Research of Polymer Ultraviolet Dosage by using ESPI)

  • 김경석;김동수;장호섭;박찬주;장완식;정현철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85-490
    • /
    • 2010
  • Recently, environment problems have effects on the electronic equipments. Security problems are presented. For security reasons, it is necessary to study electronic equipments. In this paper, we handle the Elasticity modulus on the polymer insulator by UV irradiation. The types of material are used in this experiment, is the EPDM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real material specimens are used. For this study, we used ESPI (Electronic speckle pattern interferometry), UTM (Universal thesting machine) device, Accelerated weathering tester. Through this measurement, we evaluated how much UV irradiation has effect on polymer insulator and how long does it take to change the polymer insulator. Also this paper will give a help in electronic industry and the method of measuring the insulator elasticity modulus of polymer could be utilized in life estimation and replacement time of the products of electronic equipment that is used in real industrial fields.

단기간 풍화가 단청도채된 소나무재의 방염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ort-Term Weathering on Flame Retardant Performance of Korean Red Pine Wood Coated with Dancheong)

  • 손동원;홍종욱;박진호;이화수;정용재;한규성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785-808
    • /
    • 2016
  • 단기간의 인공열화와 옥외폭로의 두 시험조건에 따라 나타나는 목조문화재용 방염제 성능 차이를 비교하여 인공열화시험에 대한 신뢰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 분석결과, 목재 표면에 방염제의 용융으로 인해 생성된 탄화물이 층을 형성함으로써 연소를 지연시키는 작용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2주간의 인공열화 및 6개월간의 옥외폭로 시험처리를 마친 방염처리 된 단청시편에 대해 열방출률(HRR) 및 총열방출량(THR)을 측정한 결과, 열화 전 후의 방염 성능의 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결과 6개월간의 옥외폭로 시편과 2주간의 인공열화(6개월의 옥외폭로에 해당한다고 추정한 조건) 시편에서 근사한 연소실험 결과 값을 얻을 수 있었다.

麗州 싸리산 鑛山에서 産出하는 粘土鑛物에 對한 鑛物學的 硏究 (Mineralogy of Clay Minerals from the Sarisan Mine, Korea)

  • 김건영;김수진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79-92
    • /
    • 1992
  • 열수기원의 싸리산점토광상이 여주지역의 매우 심하게 풍화된 복운모화강암내에서 발견된다. 싸리산광산에서 산출하는 점토광석은 주로 일라이트와 몬모릴로나이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외에 구조적으로 무질서한 카올리나이트, 버미클라이트, 드물게 혼합층상광물 등이 소량으로 산출된다. 이들 점토광석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X선회절분석, 적외선흡수분광분석, 전자현미경관찰, 열분석 및 화학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일라이트는 순수한 일라이트, 혹은 대부분 일라이트층으로 이루어진 혼합층상광물로서 산출한다. 1M과 $2M_1$의 두가지 다형이 있으며 이들은 백운모에 비하여 낮은 격자내 전하(단위 화학식당 0.768-0.926), 낮은 $K^+$함량 (단위 화학식당 0.741-0.902), 높은 Si/Al 비 (1.154-1.293) 로 특징지워진다. 몬모릴로나이트는 높은 전하를 가지며, 경우에 따라서는 80-98% 스멕타이트층으로 이루어진, 불규칙한 혼합층상광물로 산출하기도 한다. 일라이트와 몬모릴로나이트와 같은 점토광물은 주로 열수변질작용에 의하여 생성되었을 것이다. 이 열수변질작용은 두 시기에 걸쳐서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초기에는 일라이트를 생성시켰고, 후기에는 몬모릴로나이트를 생성시켰다. 구조적으로 무질서한 카올리나이트와 버미큘라이트는 각각 사장석과 흑운모의 풍화산물이다.

  • PDF

국내 화강암류를 이용한 일부 인공쇄석사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의 광물.물리화학적 특성 (Mineralogic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ludge Produced During Artificial Sand Processing)

  • 유장한;김용욱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03-311
    • /
    • 2007
  • 국내 모래수요에서 인공쇄석사의 점유율은 30% 이상이며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있다. 인공쇄석사는 주로 화강암 및 편마암류를 원암으로 이용하며, 공정 중에 생기는 슬러지(63마이크론 이하입자)는 침전제를 이용하여 분리되며, 중량대비 15% 내외가 포함된다. 슬러지 구성광물은 석영, 장석, 운모류와 함께 고령토, 녹니석, 질석, 스멕타이트 및 방해석도 간혹 포함된다. 쥬라기 화강암류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는 대체적으로 백악기 화강암류에 비해서 더 많은 고령토 및 스멕타이트를 포함한다. 반면, 선캠브리아기 시료는 고령토 및 스멕타이트가 확인되지 않는다. 화학조성에 있어서도 화강암류와 슬러지의 사이에 명확한 차이를 나타낸다. 주요 10성분 중에서 $SiO_2,\;Na_2O$$K_2O$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들은 슬러지에서 훨씬 높은 함량을 나타낸다. 슬러지에서 $SiO_2$의 감소는 점토입도에서의 석영함량감소에 기인하며, $Na_2O 감소는 알바이트에 비해서 Ca사장석이 풍화에 약하기 때문이며, $K_2O$는 대체적으로 변화가 미약하다. 슬러지에 대한 입도분석에 의하면, 토양조직 분류상 사질양토에 해당한다. 투수율 측정에 의하면 투수계수가 높으며, 그 원인은 실트 및 점토입자가 다소 풍부하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폐기되는 슬러지는 불투수성이 높아 산업폐기물 중의 환경오염물로 분류되며, 쇄석사의 회수율을 저하시키므로 원암선택시 풍화를 덜 받은 화강암류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대구시 지하수의 수질에 대한 지화학적 연구 (Geochemical Study on the Quality of Groundwater in Daegu City, Korea)

  • 이인호;이재영;김통권
    • 자원환경지질
    • /
    • 제30권4호
    • /
    • pp.327-340
    • /
    • 1997
  •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based on chemical analyses of 54 water samples, differ among main rocks of Haman formation, Panyawoel formation, andesite and granite in Daegu area in relation to mineralogical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rocks. Concentrations of most solutes are higher in groundwaters of Haman and Panyawoel formations than in those of andesite and granite. High concentrations of $Ca^{2+}$ and $Mg^{2+}$ in groundwaters of the sedimentary rocks result mainly from reaction of $CO_2$-charged water with calcite and weathered feldspars. Average groundwaters in the sedimentary rocks are oversaturated with respect to calcite. Major types of groundwaters are hard $Ca(HCO_3)_2$ and $CaSO_2-CaCl_2$ with hardness of 442 mg/l for Haman formation and 275 mg/l for Panyawoel formation whereas they are soft $Ca(HCO_3)_2$ with hardness 35 mg/I for andesite and 39 mg/I for granite. $Ca(HCO_3)_2$ type results mainly from calcite-dissolution and $CaSO_4-CaCl_2$ from pyrite and partly from domestic pollutants. $CaSO_4-CaCl_2$ type may indicate that groundwaters in the sedimentary rocks are more evolved geochemically than those in the igneous rocks, but it is not obvious because the type might be affected by pyrie dissolution and domestic pollutions. Acid rain is buffered by active calcite in the sedimentary rocks. In the igneous rocks acid rain might react with gibbsite and other forms of $Al(OH)_3$ that might have accumulated as weathering products of primary silicates, and is buffered.

  • PDF

천매암 터널 단층물질의 암석.광물학적 및 역학적 특성 (Petro-mineralogical and Mechanical Property of Fault Material in Phyllitic Rock Tunnel)

  • 이경미;이성호;서용석;김창용;김광염
    • 지질공학
    • /
    • 제17권3호
    • /
    • pp.339-350
    • /
    • 2007
  • 암반에 발달하고 있는 단층이나 절리와 같은 불연속면뿐만 아니라 점토의 함량비, 팽창성 점토물질의 협재, 배수특성(drainage) 등은 암반의 붕괴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들이다. 특히 점토광물의 성분은 강우에 의한 암반붕괴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최근 사면이나 터널의 설계에서도 그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니질천매암과 사질천매암이 호층을 이루고 있는 OO 터널의 선진시추코어(horizontal boring core)를 이용하여 단층발달에 따른 광물성분의 변화 및 이들이 불연속면의 역학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암석 구성물질과 파생된 점토광물을 비교하여 암반의 불안정성을 추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시추코어 중에서 단층의 영향을 받은 구간과 비교적 신선한 구간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박편을 제작하여 관찰하였고, 점토광물의 성분 및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야외조사와 실내 시험으로 단층물질의 강도정수를 구하였다.

Performance indicator of the atmospheric corrosion monitor and concrete corrosion sensors in Kuwait field research station

  • Husain, A.;Al-Bahar, Suad Kh.;Salam, Safaa A. Abdul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17권6호
    • /
    • pp.981-994
    • /
    • 2016
  • Two field research stations based upon atmospheric corrosivity monitoring combined with reinforced concrete corrosion rate sensors have been established in Kuwait. This was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remote monitoring of building materials performance for concrete under Kuwait atmospheric environment. The two field research sites for concrete have been based upon an outcome from a research investigation intended for monitoring the atmospheric corrosivity from weathering station distributed in eight areas, and in different regions in Kuwait. Data on corrosivity measurements are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specification of an optimized corrosion resistance system for reinforced concrete manufactured products. This study aims to optimize, characterize, and utilize long-term concrete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through on line corrosion measurement and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and viability of the integrated anode ladder corrosion sensors embedded in concrete. The atmospheric corrosivity categories supported with GSM remote data acquisition system from eight corrosion monitoring stations at different regions in Kuwait are being classified according to standard ISO 9223. The two nominated field sites where based upon time of wetness and bimetallic corrosion rate from atmospheric data where metals and rebar's concrete are likely to be used. Eight concrete blocks with embeddable anodic ladder corrosion sensors were placed in the atmospheric zone adjacent to the sea shore at KISR site. The anodic ladder corrosion rate sensors for concrete were installed to provide an early warning system on prediction of the corrosion propagation and on developing new insights on the long-term durability performance and repair of concrete structures to lower labor cost. The results show the atmospheric corrosivity data of the environment and the feasibility of data retrieval of the corrosion potential of concrete from the embeddable sets of anodic ladder corrosion sensors.

Peracetic Acid Treatment as an Effective Method to Protect Wood Discoloration by UV Light

  • PARK, Kyoung-Chan;KIM, Byeongho;PARK, Hanna;PARK, Se-Yeo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4호
    • /
    • pp.283-298
    • /
    • 2022
  • Wood has always been used for various day-to-day applications such as interior or exterior construction materials, and household products. However, it can undergo photodegradation and discoloration by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ultraviolet (UV) light, and thus has shortened its service life. Bleaching or delignification of wood surfaces is a suitable solution to stabilize wood against weathering by UV because these techniques can alter or remove the chromophores in lignin, which is a main factor of wood discoloration. To improve the color stability of wood surface according to the lifespan, surface delignification was conducted using peracetic acid (PAA) and hydrogen peroxide (HP) on the woods of Larix kaempferi and Quercus mongolica. After the PAA treatment, L* increased considerably from 60-70 to 90-95. Furthermore, wood surface color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fter UV exposure. The color differences (𝜟E*) between before and after PPA treatment of wood showed the 4.8-12.2 of L. kaempferi, and 1.7-3.7 of Q. mongolica, respectively. The lignin-related peaks in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spectra disappeared with increased duration of PAA treatment.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 lignin component was partially or completely removed after the PAA treatment; the color differences (𝜟E*) clearly showed that there was a reduction in redness (a*) and yellowness (b*), and an increase in lightness (L*) owing to the removal of ligni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partial removal of lignin from wood surfaces is a fundamental method for resolving photo-degra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