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ather normalization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9초

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한 실시간 도로기상 검지 방법 (A Realtime Road Weather Recognition Method Using Support Vector Machine)

  • 서민호;육동빈;박새롬;전진호;박정훈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3권6_2호
    • /
    • pp.1025-1032
    • /
    • 2020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classify road weather conditions into rain, fog, and sun using a SVM (Support Vector Machine) classifier after extracting weather features from images acquired in real time using an optical sensor installed on a roadside post. A multi-dimensional weather feature vector consisting of factors such as image sharpeness, image entropy, Michelson contrast, MSCN (Mean Subtraction and Contrast Normalization), dark channel prior, image colorfulness, and local binary pattern as global features of weather-related images was extracted from road images, and then a road weather classifier was created by performing machine learning on 700 sun images, 2,000 rain images, and 1,000 fog images. Finally,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was tested for 140 sun images, 510 rain images, and 240 fog images. Overall classification performance is assessed to be applicable in real road services and can be enhanced further with optimization along with year-round data collection and training.

도로기상차량으로 관측한 노면온도자료를 이용한 도로살얼음 취약 구간 산정 (Estimation of Road Sections Vulnerable to Black Ice Using Road Surface Temperatures Obtained by a Mobile Road Weather Observation Vehicle)

  • 박문수;강민수;김상헌;정현채;장성빈;유동길;류성현
    • 대기
    • /
    • 제31권5호
    • /
    • pp.525-537
    • /
    • 2021
  • Black ices on road surfaces in winter tend to cause severe and terrible accidents. It is very difficult to detect black ice events in advance due to their localities as well as sensitivities to surface and upper meteorological variables. This study develops a methodology to detect the road sections vulnerable to black ice with the use of road surface temperature data obtained from a mobile road weather observation vehicle. The 7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the route from Nam-Wonju IC to Nam-Andong IC (132.5 km) on the Jungang Expressway during the period from December 2020 to February 2021. Firstly, temporal road surface temperature data were converted to the spatial data with a 50 m resolution. Then, the spatial road surface temperature was normalized with zero mean and one standard deviation using a simple normalization, a linear de-trend and normalization, and a low-pass filter and normalization. The resulting road thermal map was calculated in terms of road surface temperature differences. A road ice index was suggested using the normalized road temperatures and their horizontal differences. Road sections vulnerable to black ice were derived from road ice indices and verified with respect to road geometry and sky view, etc. It was found that black ice could occur not only over bridges, but also roads with a low sky view factor.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the alarm service for black ice to drivers.

계층분석법을 이용한 도로관리장비 운영의 효율성 평가 (Evaluation for Operational Efficiency of Road Management Equipment using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 양충헌;김인수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57-164
    • /
    • 2012
  • PURPOSES: Regional offices of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use a computerized system called KAMIS so as to manage road equipment systematically. Road agencies can record number of operating days by equipment, actual working hours, accumulated operating hours (or distance) by equipment, and operating cost. However, KAMIS does not provide critical information, although it is strongly related to efficient road management equipment operation. In other words, road agencies do not know whether they have sufficient equipment to handle their actual work. METHOD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methodology to evaluate for operational efficiency of road management equipment using analytical hierarchy process(AHP). First of all, estimated weights related criteria can be produced by AHP, and then use operational history by pieces of equipment. RESULTS: Results show that importance of management work can differ from weather conditions through five areas. CONCLUSIONS: Commonly, this results can imply to help save money for the purchase and maintenance of road management equipment, and they would improve the functional performance of KAMIS.

날씨에 따른 교통사고 발생을 예측하는 Web Site 개발 (System Development of the Traffic Accident Prediction using Weather)

  • 조규철;김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1호
    • /
    • pp.163-164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날씨와 상관관계를 갖는 교통사고에 대한 예측을 진행하는 Web Site 개발을 제안한다. 날씨에 영향을 받는 교통사고에 대한 일일 사망자 수, 교통사고 발생률의 각각의 예측값을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다. 위의 모델을 작성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Anaconda 기반의 Jupyter Notebook에서 Python Tensorflow 모델을 작성하여 테스트하고, 만들어진 모델을 웹 사이트에서 불러오기 위해 Python 기반 Flask Web Framework를 통하여 웹 사이트를 개발한다. 개발된 웹 사이트는 사용자들은 Web Site에 날씨 정보를 입력하여 교통사고 발생률을 예측하고 볼 수 있다.

  • PDF

미분진화 기반의 초단기 호우예측을 위한 특징 선택 (Feature Selection to Predict Very Short-term Heavy Rainfall Based on Differential Evolution)

  • 서재현;이용희;김용혁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706-71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대한민국의 국립기상연구소에서 제공한 최근 4년간의 데이터를 훈련 데이터, 검증 데이터 및 테스트 데이터로 나누어 초단기 호우 예측을 하고자 한다. 우리는 데이터 셋을 훈련 데이터, 검증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 세 부분으로 나눴다. 데이터의 차원이 커짐에 따라 해 공간의 크기가 지수적으로 증가하여 실험의 속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를 피하기 위하여 72개의 특징들 중에서 주요한 특징들만을 선택하게 되었다.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미분진화 알고리즘을 사용하였고, 진화연산의 적합도 함수로 두 개의 분류기를 선택하였는데, 일반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서포트 벡터 머신(SVM)과 분류 속도가 빠른 최근린법(k-NN)을 사용하였다. 또한, 실험에 사용할 데이터 가공을 위해 언더샘플링과 정규화를 하였다. 진화연산의 적합도 함수로 SVM 분류기를 사용하였을 때 실험 결과가 대체로 우수하였는데, 미분진화 알고리즘 실험은 모든 특징을 선택한 실험보다 약 5 배 정도 우수한 성능을 보였고, 유전 알고리즘을 사용한 실험보다 약 1.36 배 정도 더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실험 속도 면에서는 미분진화 알고리즘을 사용한 실험이 유전 알고리즘을 사용한 실험보다 약 20배 이상 실험 시간이 단축되었다.

자율차량 안정성을 위한 도로 거칠기 기반 제동압력 계산 시스템 (The road roughness based Braking Pressure Calculation System(BPCS) for an Autonomous Vehicle Stability)

  • 손수락;이병관;심손권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323-330
    • /
    • 2020
  • 본 논문은 자율차량 안정성을 위한 도로 거칠기 기반 제동압력 계산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동압력 계산 시스템는 차량의 전방 이미지를 랜덤 포레스트의 입력에 맞게 가공하는 이미지 정규화 모듈, 기상정보와 이미지 정규화 모듈에서 정규화된 차량 전방 이미지를 입력으로 사용하여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의 거칠기를 구별하는 랜덤 포레스트 기반 도로 거칠기 분류 모듈과 도로 거칠기에 따라 차량에 적용되는 마찰 계수를 수정하고, 전방 차량에 따라 최적 주행을 유지하는 브레이킹 강도를 결정하는 차량 브레이크 압력 제어 모듈로 구성된다. 본 논문은 제동압력 계산 시스템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제동압력 계산 시스템에 사용되는 랜덤 포레스트 모델을 중심으로 실험이 진행되었다. 실험 결과, 랜덤 포레스트 모델의 정확도는 SVM보다 약 2% 높았고, 정확한 랜덤 포레스트 모델 구성을 위해 7개의 특징이 중복 허용 임의 추출되어야 한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제동압력 계산 시스템은 차량이 제동해야 하는 상황에서 정확성 모두를 만족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