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aring assessment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7초

심전도 측정을 위한 밀착 의복 연구 -패턴 축소 및 주관적 평가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Tight-fitting Upper Clothing for Measuring ECG -A Focus on Weft Reduction Rate and Subjective Assessment-)

  • 정연희;양영모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6권11호
    • /
    • pp.1174-1185
    • /
    • 2012
  • This study develops tight-fitting upper clothing to measure electrocardiography (ECG) data.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elasticity of the clothing, we made 4 experimental clothes by applying to each a weft reduction rate of 40%, 50%, 60%, and 70%. The 4 experimental clothes were used to measure resting ECG, exercise ECG, and post-exercise ECG for 4 men in their 20s. We compared clothing pressures using sensors on the human body and on a dressform. Subjective wear sensations of the 4 experimental clothes were evaluated using a subjective 7-point scale (with 7 being most excellent). We measured clothing pressures by using the air type pressure (AMI 3037-2) for upper and lower chest sensors in the developed tight-fitting upper clothing. The lower chest sensor showed that the clothing pressure on a human body and dressform changed consistently as the weft reduction rate decreased. The upper chest sensor showed inconsistent changes in clothing pressure as the weft reduction rate decreased. The wearing-test result for preliminary subjects showed that the lower chest sensor was more stable than the upper chest sensor; therefore, we inserted the sensor at the lower chest position before performing ECG. Except for Subject 4, the resting ECGs were stably measured for 3 subjects (Subject 1, Subject 2, and Subject 3) in all the developed clothes (A clothing, B clothing, C clothing, and D clothing). However, D clothing showed stable ECG values after exercis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we could measure ECG without difficulty using clothes with a weft reduction rate of 40% when the movement was not intense; however, tight-fitting upper clothing with a weft reduction rate of 70% was necessary to measure exercise ECG and post-exercise ECG values.

방청유 취급 근로자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노출 평가 (Exposure Assessmen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for Workers Handling Rust-preventive Oils)

  • 정윤경;최상준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3-37
    • /
    • 2017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level of exposure to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mong workers handling rust preventive oils. Methods : A total of 30 bulk samples and 54 personal air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diffusive samplers at 22 workplaces handling rust preventive oils in Daegu and Gyongsangbuk-do Province from March to October 2013. We also investigated detailed information on the related work conditions, such as kinds of products, handling methods, local exhaustive ventilation systems, and the status of the wear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ll bulk samples and air samples were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GC-MS) to identify components to which workers potentially were exposed. Quantitative airborne concentrations of VOCs were confirmed using gas chromatography with flame ionized detectors. Results : In terms of qualitative analyses for the 30 bulk samples, we found carcinogenic, mutagenic and reproductive toxic(CMR) substances such as butane(carcinogenic Group 1A, mutagenic Group 1B), butoxy ethanol(carcinogenic Group 2), cumene (carcinogenic Group 2), ethyl benzene(carcinogenic Group 2), methyl isobutyl ketone(carcinogenic Group 2) and toluene (reproductive toxic, Group 2). As a result of full-shift based personal air samples, eight substances such as n-hexane, n-heptane, octane, nonane, decane, toluene, ethyl benzene and xylene were detected. Among them, n-hexane and n-heptane were detected in all of 54 air samples with $13.13mg/m^3$ and $8.61mg/m^3$ of maximum concentration, respectively. The level of airborne concentration from all of samples were bellow the occupational exposure limit in Korea. Conclusions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orkers handling rust preventive oils could be exposed to CMR substances contained in rust preventive oils and n-hexane and n-heptane were found as the most frequent sources of VOC exposure.

사용자의 요구조건을 반영 할 수 있는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이용한 손가락 보조기 디자인 제안 - FDM 방식의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 (Proposal of finger splint design using design guidelines to reflect user requirements - Using FDM 3D printing technology -)

  • 신이열;오광명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1-14
    • /
    • 2019
  • 국내에서 제작되고 판매되는 일반적인 손가락 보조기는 신체 기관의 손상으로 장애를 가지는 환자에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하지만 보조기의 착용은 감추고 싶은 착용자의 장애를 환기시키는 계기가 된다. 그리고 착용자의 심리적 측면에서 자괴감, 우울함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착용자가 착용을 꺼리거나 거부하게 된다면, 보조기는 재활의 역할을 상실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조건을 잘 반영할 수 있는 3D프린터를 이용한 제작방식을 채택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들을 조사하여 각각의 연구들이 가지는 특징과 기준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재, 보조기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의료용 손가락 보조기를 조사하고 각각의 보조기의 사용자 조사를 종합 및 해석하여 평가 기준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평가 기준을 토대로 FDM 방식의 3D프린터를 이용하여 손가락 보조기 제작을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시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맞추어 손가락보조기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폴리우레탄 코팅장갑내의 DMF 함량 및 피부노출에 대한 평가 (Concentrations of N,N-dimethylformamide in Polyurethane Gloves and Risk Assessment for Dermal Exposures)

  • 박해동;노지원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02-110
    • /
    • 202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of N,N-dimethylformamide(DMF) in polyurethane coated gloves(PU-gloves) and to assess the dermal exposure generated by wearing them. Methods: We analyzed the concentrations of DMF in 12 gloves by EN16778 standard. The samples cut into pieces of about 10 by 10 mm and extracted with methanol in flask in an ultrasonic bath at 70℃. An aliquot of the extract is analyzed with GC-MS. The dose of dermal exposure was calculated by ECETOC TRA consumer 3.1 and compared with derived no effect level(DNEL) for systemic effects due to long term exposure by workers. The extracted amount of DMF by saline solution was compared with that by EN16778 standard. Results: The mean concentration of DMF in PU-gloves was 1,377 mg/kg(range 13~3,948 mg/kg). The concentration of DMF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s by packing type, manufacturer, and price(p<0.05). The dose of dermal exposure was 0.0007~0.572 mg/kg body weight/day when the DMF content was 10~4,000 mg/kg. The DMF extracted by saline solution was around 11% for 8 hours. Conclusions: The risk of dermal exposure due to the residual DMF in the PU-gloves was not signifiant. But, the limit of 1,000 mg/kg in PU-gloves can be recommended for international standard and trading systems.

가상착의를 활용한 거북목 증후군 체형의 여성을 위한 재킷패턴 제도법 개발 (Development of Jacket Pattern Drafting Methods for Women with Turtle Neck Syndrome Body Shapes through Virtual Fit Assessment)

  • 서유라;김효숙
    • 패션비즈니스
    • /
    • 제26권3호
    • /
    • pp.116-137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jacket patterns that could fit well for women in their 20s with turtle neck syndrome body shape and to present a pattern drafting method. As a research method, an educational pattern was chosen through a preliminary experiment. Fit problems of the educational pattern were derived by wearing it on a virtual model with a turtle neck syndrome body type for each neck angle. Based on the three types of experimental patterns developed by supplementing these problems, a development pattern drafting method was developed for each neck angle. Three development patterns were compared and evaluated with the educational pattern using 3D virtual fitting. Fit problems of the educational pattern included: 1) insufficient ease amounts for hip, hem, bicep, elbow, and sleeve hem circumference; 2) horizontal items could not be leveled due to insufficient back length; 3) the shoulder line went backwards; and 4) the front center line did not form a vertical line. To solve these problems, an experimental pattern was developed by increasing the insufficient ease amount, increasing the insufficient back length, and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shoulder line. Measurements that differed in the pattern drafting method of the three types of development patterns by neck angle were positions of back center line and back neck point, front length, and front neck width. Through appearance evaluation of the development pattern and educational pattern by neck angle, the development pattern was highly evaluated, indicating that problems of the educational pattern were improved.

A Pilot Study on the Heart Rates of Jeju Horses during Race Trials

  • Seung-Ho Ryu;HeeEun Song;Eliot Forbes;Byung-Sun Kim;Joon-Gyu Kim;Ki-Jeong Na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464-467
    • /
    • 2023
  • The autonomic regulation of heart rate (HR) is an indicator of the body's ability to adapt to an exercise stimulus. However, there are no reports on this topic in relation to Jeju horses used for rac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HR responses of Jeju horses during race trials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HR and performance in these horses. HR data were collected from 17 healthy 2- to 7-year-old Jeju horses wearing HR monitors during race trial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as used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the association between the race trial time and HR. A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race trial time (performance) and both the maximal HR (HRmax, r = -0.69, p < 0.01) and HR reserve (HRR) (HRmax - average HR during the warm-up period, r = -0.63, p < 0.01) and between the HRR and HRmax (r = 0.73, p < 0.01). Horses with a lower average HR during the warm-up period and higher heart rates during the trial achieved faster race trial times. This study reports the first HR measurements in Jeju horses during race trials, providing new insights into the HR response of this breed to exercise. The use of a noninvasive remote HR monitor system allowed assessment of exercise responses in the field, and the results suggest that both the HRR during warm-up period and HRmax may be useful performance indicators in Jeju horses.

유발 부등상시에서 영향인자에 따른 입체시의 비교 (Comparison of Stereopsis by Influence Factors in Induced Aniseikonia)

  • 정수아;김현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65-471
    • /
    • 2013
  • 목적: 정시안에 유발된 부등상시에서 영향인자들이 입체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 및 전신질환이 없고, 원용 완전교정 굴절력이 등가구면 굴절력 ${\pm}0.50$ D 이내이며, 교정시력이 1.0 이상, AWAYA 부등상시도 1% 이하의 대학생 20명(평균연령 $22.50{\pm}2.72$세, 남자 14명, 여자 6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대상자의 우위안을 원형구멍카드법(Hole in card method)으로 확인한 후, 우위안 또는 비우위안에 각각 -7.00 D ~ +7.00 D의 콘택트렌즈를 착용시켜 굴절부등시를 유발하고 이를 교정하는 안경을 착용하여 부등상시를 유발한 후 Random Dot Stereo Acuity Test with LEA symbols$^{(R)}$(Vision Assessment Corporation$^{TM}$, USA)를 이용하여 입체시를 측정하였다. 결과: 우위안에 부등상시를 유발한 경우, 굴절부등시 유발을 위한 착용 콘택트렌즈 굴절력이 큰 경우, (+) 콘택트렌즈 착용 후 (-) 안경렌즈로 교정한 경우, 남자인 경우에서 부등상시 유발에 따른 입체시의 저하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결론: 부등상시는 입체시의 저하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굴절부등시 교정 시에는 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작업장에서 사용하는 포름아미드(Formamide)의 근로자 건강 유해성과 위험성 평가 (Worker Health Hazard and Risk Assessment of Formamide using in Workplaces in South Korea)

  • 김현영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5-42
    • /
    • 2016
  • 포름아미드(formamide)는 암모니아 냄새의 무색 액체로 흡입 시 자극성이 강하며, 급성독성 $LD_{50}$ 5,577 mg/kg(랫드), 표적장기(간장) 전신독성의 무유해영향농도(NOAEL)는 113 mg/kg/day) 및 생식독성물질(1B)로 작업환경 노출기준은 10 ppm이었다. 포름아마이드 취급사업장에 대한 작업환경 측정결과는 25개 시료 모두가 노출기준보다 매우 낮은 농도를 보였다. 그러나 작업강도, 국소배기장치의 가동 및 보호구(방독마스크)의 착용 여부 등 작업환경에 따라 노출농도가 변할 수 있어 가상 노출 시나리오별 노출량을 산출한 결과 노출량은 $5.16mg/m^3$, $1.72mg/m^3$, $0.43mg/m^3$으로 산출되었다. 이를 전신독성 및 생식독성의 유해성을 고려한 위험성을 평가한 결과 평균값은 0.02-0.58, 누적 90% 값은 0.02-0.66, 95% 값은 0.02-0.69로 모두 1보다 낮은 대체로 안전한 값으로 산출되었다. 단, 작업 상황에 따라 순간적 고농도에 노출될 위험도 있으며, 간독성 및 생식독성 물질이기에 건강장해 예방을 위해 노출되지 않도록 취급 시 주의가 요망된다.

도수 수경 착용시 실내와 수중에서의 시각적 만족도 및 시력 평가 (Assessment of Visual satisfaction & Visual Function with Prescription Swimming goggles In-air and Underwater)

  • 추병선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57-363
    • /
    • 2013
  • 목적: 실내수영장에서 도수 수경 착용에 따른 주관적 만족도 평가와 실내 검사실 및 수중에서의 시력을 비교하고자 한다. 방법: 실험에 참여한 대상자는 평균나이가 $22{\pm}1.54$세인 15명의 대학생이었으며, 오른쪽 눈과 왼쪽 눈의 평균 굴절이상은 각각 RE: S-1.67 D/C-0.40 D, LE: S-1.70D/C-0.37 D이었다. 모든 참여자는 기초적인 안과검사를 마쳤으며, 굴절이상을 교정하기 위한 콘택트렌즈 착용이 가능하고 수영이 가능한 자로 한정하였다. 모든 피실험자의 굴절이상은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여, 정시상태로 교정을 하였다. 난시가 인위적으로 유발된 원주도수 수경(C+1.50 D, Ax $90^{\circ}$)을 착용하였을 때와 도수가 없는 수경을 착용하였을 때 시력, 안정피로, 그리고 수영장 주위를 걸을 때의 균형감각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도 평가를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시력 평가는 처방 S+3.00 D ~ S-3.00 D까지 0.50 D단위로 준비된 서로 다른 도수의 수경을 무작위의 순서로 착용한 상태에서 수영장내의 수중과 실내의 검사실에서 ETDRS 시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난시가 인위적으로 유발된 상태에서는 시력, 안정피로, 균형감각에 대한 3가지 만족도가 모두 유의하게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로 다른 도수의 수경을 착용하였을 때 시력은 유의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실내 검사실과 수중에서 측정된 시력의 차이는 없었다(p=0.173). 일부 도수 수경(+3.00, +1.00, +0.50, 0, -1.00, -2.00 D)에서는 실내 검사실에서 측정된 시력이 수중에서 측정된 시력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수중에서 수경을 착용하는 것은 시력을 저하시킬 수 있지만 저하되는 시력의 정도는 스넬렌 시력기준 1라인 이내 차이로써 실제 임상에서는 거의 영향이 없을 정도로 적은 수준이었다. 하지만 난시의 미교정은 시각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수영장의 미끄러운 환경을 고려하였을 때 안전사고의 위험이 내재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수 수경의 도수의 정확성과 더불어 난시의 교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배드민턴 동호회의 스포츠 상해 예방을 지원하는 스마트의류 디자인 제안 (Designing Smart Sportswear to Support the Prevention of Sports Injuries in Badminton Club Activities)

  • 김신혜;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23권3호
    • /
    • pp.37-4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배드민턴 동호회 활동을 조사하고 배드민턴 활동에서 발생하는 스포츠 상해를 예방하는 스마트 의류를 디자인 개발하는 것이다. 고령화 사회에서, 스포츠는 생활체육으로 친숙하게 접하고 있으며, 점차 동호회 형식으로 발달되고 있다. 배드민턴 동호회 활동은 많은 스포츠 상해가 있으며, 특히 높은 발생률을 보이는 발목 부상은 스포츠 참여를 방해하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발목 부상을 포함한 스포츠 상해를 예방하는 스마트의류의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첫째,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특성 및 고려사항, 그리고 스포츠 부상을 예방하기 위한 스마트 의류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배드민턴 동호인들과 엘리트 배드민턴 선수, 전문가의 대상으로 스마트의류 사용에 따른 문제 및 사용자 평가들을 고찰하였다. 셋째, 선행연구와 사용자 평가 항목들을 통하여 스마트의류의 사용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넷째, 발목 상해를 포함한 스포츠 상해를 방지하는 스마트의류 프로토타입을 사용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스마트의류를 통하여, 스포츠 상해 예방에 도움이 필요한 배드민턴 동호인들은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서 그들의 상해와 건강 상태를 가상 게임의 아바타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이러한 가상 게임 시스템은 스포츠의 상해 및 건강에 관련한 정보에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스포츠용 스마트의류는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부상을 예방하고 스스로 재검토를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스포츠 상해를 예방하거나 스포츠 활동 또는 생체 신호 모니터링 하는 스마트의류 디자인 시에도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