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arable computer

검색결과 386건 처리시간 0.028초

A Mobile Stress Management System utilizing Variable Voi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Wearing Area

  • Kang, Byeongsoo;Vannroath, Ky;Kang, Hyun-syu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95-100
    • /
    • 2017
  • Recently, as stress has become a major threat to people's health,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wearable stress management services for stress relief.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wearable device(Care-on) capable of extracting changeable human voice information at each site and a Healthcare App(S-Manager) that enables stress management in real time using the wearable device. It collects and analyzes variable real-time voice information for each part of the person's body. And It also provides the ability to monitor stress conditions in a mobile environment and provide feedback on the analysis results in step by step in the mobile environment. We tested the developed wearable devices and app in a mobile environment and analyzed the results to confirm their usefulness.

Deterministic Multi-dimensional Task Scheduling Algorithms for Wearable Sensor Devices

  • Won, Jong-Jin;Kang, Cheol-Oh;Kim, Moon-Hyun;Cho, Moon-Hae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8권10호
    • /
    • pp.3423-3438
    • /
    • 2014
  • In recent years, wearable sensor devices are reshaping the way people live, work, and play. A wearable sensor device is a computer that is subsumed into the personal space of the user, and is always on, and always accessible. Therefore, among the most salient aspects of a wearable sensor device should be a small form factor, long battery lifetime, and real-time characteristics. Thereby, sophisticated applications of a wearable sensor device use real-time operating systems to guarantee real-time deadlines. The deterministic multi-dimensional task scheduling algorithms are implemented on ARC (Actual Remote Control) with relatively limited hardware resources. ARC is a wearable wristwatch-type remote controller; it can also serve as a universal remote control, for various wearable sensor devices. In the proposed algorithms, there is no limit on the maximum number of task priorities, and the memory requirement can be dramatically reduced. Furthermore, regardless of the number of tasks, the complexity of the time and space of the proposed algorithms is O(1). A valuable contribution of this work is to guarantee real-time deadlines for wearable sensor device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arable LED Display Device

  • Shin, Seung-Hye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7-13
    • /
    • 2015
  • Wearable device, next generation smart device, is consistently growing. The flexible display will be a kind of display in the wearable device. The flexible display technology is now evolving with end-user requirement such as portability and easy installation. Previous wearable display products still have some difficulties in manufacturing and in flexibility whole device. But it can be a flexible display with LED device and utilized in commercial area. In this paper, we propose a driver to control the LED display and implement a flexible LED display system.

Continuous Human Activity Detection Using Multiple Smart Wearable Devices in IoT Environments

  • Alshamrani, Adel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2호
    • /
    • pp.221-228
    • /
    • 2021
  • Recent improvements on the quality, fidelity and availability of biometric data have led to effective human physical activity detection (HPAD) in real time which adds significant value to applications such as human behavior identification, healthcare monitoring, and user authentication. Current approaches usually use machine-learning techniques for human physical activity recognition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wearable accelerometer sensor from a single wearable smart device on the user. However, collecting data from a single wearable smart device may not provide the complete user activity data as it is usually attached to only single part of the user's body. In addition, in case of the absence of the single sensor, then no data can be collected. Hence, in this paper, a continuous HPAD will be presented to effectively perform user activity detection with mobile service infrastructure using multiple wearable smart devices, namely smartphone and smartwatch placed in various locations on user's body for more accurate HPAD. A case study on a comprehensive dataset of classified human physical activities with our HAPD approach shows substantial improvement in HPAD accuracy.

실용적 웨어러블 컴퓨터 품질평가모델 (Quality Assessment Model for Practical Wearable Computers)

  • 오천석;최재현;김종배;박제원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B권12호
    • /
    • pp.842-855
    • /
    • 2014
  • 스마트폰 시장이 성숙기에 들어서면서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웨어러블 컴퓨터가 주목받고 있다. 웨어러블 컴퓨팅 시스템은 무선 네트워크 기술, 임베디드 기술, 센서 기술, 신소재 기술 등 다양한 기술의 복합적인 융합체이다. 이러한 특징들은 기존의 소프트웨어가 가지고 있는 품질특성 이외에 활용성, 이동성 등의 특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국제표준인 ISO/IEC 9126의 표준만으로 정확한 품질 평가를 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기존의 ISO/IEC 9126과 웨어러블 컴퓨팅의 특징에 의해 도출된 품질특성을 추가해 웨어러블 컴퓨터 품질평가모델을 제안하였다. 웨어러블 컴퓨터 품질평가모델의 개발을 위해 웨어러블 컴퓨터의 기능적 요구사항과 품질특성을 도출하여 메트릭과 품질 기준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나리오에 제안된 모델을 적용하고 S사, L사, G사의 웨어러블 기기의 품질을 비교하여 품질평가모델의 실용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평가모델은 웨어러블 컴퓨터의 품질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웨어러블 테크놀로지와 미래 소재 (Wearable Technology with Future Fabrics)

  • 박혜숙;이재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1800-1809
    • /
    • 2006
  • 첨단소재와 테크놀로지를 수용 접목하기 위한 연구는 컴퓨터 공학 분야와 패션에서 나날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웨어러블 컴퓨터는 통합 소프트웨어 개념, 커뮤니케이션 장치들과 착용자를 위해 '감지' 할 수 있는 옷으로 전환되는 센서가 갖고 있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들을 잠재하고 있어 앞으로 이 분야에서 많은 개발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웨어러블 컴퓨터의 기능은 이제 더 이상 하나의 옷이기 보다 옷과 입을 수 있는 컴퓨터의 상호 작용이 되기도 한다. 이 착용할 수 있는 컴퓨터통신망은 자료를 전달하고 파워와 제어신호를 착용자 개개인의 공간 안에서 조절 가능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현실적으로 웨어러블 컴퓨터가 상업적으로 정착하기에는 여러 가지 어려운 문제점들을 갖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논문은 일반인들이 갖고 있는 웨어러블 컴퓨터에 대한 인지도와 관심도를 조사 및 분석하고 앞으로의 상업적 전망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고, 패션의 주요 도시 중 하나인 런던에 거주하는 20-30대의 젊은 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들은 웨어러블 테크놀로지에 친근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정보가 유출될지도 모른다는 우려와 기계조작에 대한 거부감, 비싼 비용 등으로 부정적인 견해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들이 더욱 흥미를 갖는 웨어러블 컴퓨터 아이템들은 건강문제와 개인의 안전에 관한 것이며 이는 앞으로 이 분야의 잠재성과 시장성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웨어러블 테크놀로지의 상업적 시장성을 위해서는 상호작용 장치의 단순화, 편리한 작동법 등도 소비자들에게 중요한 관건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의 웨어러블 테크놀로지는 단순한 기술 개발에 앞서 소비자의 확실한 안전을 바탕으로한 상품의 제공을 위해서 다양한 연구조사가 보다 더 적극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융합환경에서 웨어러블 컴퓨터 기술 중심의 시장 및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On Issue and Outlook of wearable Computer based on Technology in Convergence)

  • 이성훈;이동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73-78
    • /
    • 2015
  • 현재 우리 사회는 다양한 기술요소들이 혼합되어 하나의 또 다른 산업 및 기술을 창출하는 융, 복합 사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융, 복합현상들은 이미 경제, 사회, 문화등 사회의 전 부문에서 가시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컨버전스의 대표적 사례이면서도 차세대 모바일 대표 시장의 가능성이 매우 큰 웨어러블 컴퓨터와 관련된 내용을 기술하였다. 웨어러블 컴퓨터는 착용 가능한 컴퓨터로서 미국의 MIT가 최근 기술 동향을 통해 2013년 10대 기술로 스마트 워치를 선정할 만큼 스마트 폰을 대체할 대표적인 차세대 모바일 기술로 꼽히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웨어러블 컴퓨터에 필요한 필수적인 기술들에 대해 기술하고 관련 시장 및 미래, 이슈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

복수 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의 융합지향 그룹 디스플레이를 위한 그룹결정 알고리즘 (Group Decision Algorithm for Convergence Oriented Group Display of Several Wearable Devices)

  • 김용길;김용기;김미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27-32
    • /
    • 2017
  • 복수 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휴대성 때문에 유선으로 통신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다. 복수 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서로 통신 할 때 우수한 통신 품질과 그룹 활동 특징 때문에 무선통신 방법을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 복수 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의 그룹형 디스플레이를 위한 그룹결정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것은 무선통신 환경에서 여러 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이 단체동작 디스플레이를 할 때 거리측정을 통하여 그룹멤버로 인지하는 그룹결정 알고리즘을 의미한다. 실험결과 복수 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의 그룹 디스플레이가 단일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의 한계를 극복하였음을 보여주었다.

일상생활 중 건강모니터링을 위한 착용형 심전도계측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wearable ECG measurement system for health monitoring during daily life)

  • 노윤홍;정도운
    • 센서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3-51
    • /
    • 2010
  • In this study, wearable ECG measurement system was implemented for health monitoring during daily life. A wearable belt-type ECG electrode worn around the chest by measuring the real-time ECG is produced in order to minimize the inconvenience in wearing. The measured ECG signal is transmitted via an ultra low power consumption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unit to personal computer using Zigbee-compatible wireless sensor node. The ECG monitoring program is developed at end user which is personal computer. The measured ECG contains many noises mainly due to motion artifacts. For ECG signal processing, adaptive filtering process is proposed which can reduce motion artifacts efficiently and accurately than digital filter.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a reliable performance with high quality ECG signal can be achieved using this wearable ECG monitor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