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xy

검색결과 515건 처리시간 0.021초

원적외선 건조처리에 의한 진공포장 찰옥수수의 품질확보 (Quality Enhancement of Vaccum Packaged Waxy Corns by Far Infrared Ray Drying)

  • 최재호;임지순;오덕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635-640
    • /
    • 2006
  • 각 처리구별 찰옥수수를 원적외선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한 후 진공포장하여 저장하는 동안 찰옥수수의 미생물변화, 호화도, 수분함량, 색도 및 물성 변화 등 건조 찰옥수수의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총균수는 6시간 원적외선 건조 시 생옥수수인 대조구의 경우 2.32 log CFU/g을 나타내었으나 모든 처리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4^{\circ}C$에서 저장시 저장 3개월까지는 대조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총균수가 검출되지 않았으나 7개월 저장 후에는 대조구에 비하여 증자 찰옥수수 처리구가 약 2 log, 당처리구는 약 2.7 log 정도 감소하였다. 곰팡이 및 효모는 총균수보다 원적외선 건조에 약간 더 저항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25^{\circ}C$에서 저장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옥수수의 호화도는 저장 전에 98%, 저장 7개월 후 96.2%로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원적외선 건조한 증자 찰옥수수는 저장 전에 81.14%, $4^{\circ}C$에서 7개월 저장 후 58.73%로 많이 노화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당처리구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수분함량은 당처리구 찰옥수수가 증자 찰옥수수에 비하여 건조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수분함량이 더욱 낮아졌으며 색도변화는 생옥수수는 건조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색의 밝기(L값)가 증가하였으나 증자 또는 당처리구 찰옥수수는 9시간 건조까지는 건조시간에 따라 L값이 증가하였으며 12시간 이후부터는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경도는 건조전에 생옥수수가 증자 또는 당처리 찰옥수수에 비하여 경도가 높았으며 9시간 건조이후에는 생옥수수와 당처리 찰옥수수의 경도가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증자 찰옥수수는 현저하게 경도가 저하되었다. 본 연구결과, 찰옥수수를 원적외선 건조하여 수분함량을 낮춤으로 미생물의 생육 저하, 저장성 향상은 물론 안전성 및 고품질 확보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찰흑미분 첨가 식빵의 저장기간별 이화학적 특성 변화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oaf Bread Added with Waxy Black Rice Flour by Storage Period)

  • 김원모;이윤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48-258
    • /
    • 2011
  • 찰흑미분을 첨가한 식빵의 저장기간별 품질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찰흑미분을 밀가루에 10%, 20%, 30%, 40%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을 4일간 저장하며 수분활성도, pH, 색도, 텍스쳐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찰흑미분 첨가 식빵의 저장기간에 의한 수분활성도 측정결과를 기초로 했을 때, 대조군과 찰흑미분을 10%, 20% 첨가한 군은 저장 3일째부터, 찰흑미분 30%와 40%를 첨가한 군은 저장 2일째부터 유의적으로 낮은 수분 활성도를 보였다. 저장기간 동안의 pH의 변화에 대해서는 찰혹미분 40% 첨가군만이 저장 3일째부터 유의적인 pH 감소를 보인 반면 대조군, 10%, 30% 첨가군은 저장 2일째부터 유의적인 pH 감소를 보였다. 저장일에 의한 각 식빵군의 pH에 대해서는 찰흑미분 40% 첨가 식빵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pH를 보였다. 저장일에 따른 색도변화를 살펴보면 명도는 저장 2일째부터, 황색도는 저장 3일째부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찰흑미분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L값과 b값은 감소한 반면 적색도 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저장기간 동안 경도, 검성, 씹힘성은 증가하였고, 찰흑미분 첨가군은 대조군에 비해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특히 찰흑미분 30%와 40% 첨가군이 낮은 경도변화를 보였고, 탄력성에 대해서는 찰흑미분 첨가율이 증가함에 따라 탄력성이 감소되어 40% 첨가군이 가장 낮은 탄력성을 보였다. 찰흑미분 40% 첨가군은 저장 3일 까지는 제조당일에 비해 더 낮은 응집성을 보였다. 따라서 찰흑미분 30%를 첨가한 식빵은 다른 실험군 보다 저장 3일까지 더 좋은 품질특성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 PDF

Yield Comparisons of Different Methods of Waxy Fraction Extraction from Grain Sorghum

  • Weller, Curtis L.;Hwang, Keum-Taek;Schmidt, Bradley J.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5호
    • /
    • pp.786-791
    • /
    • 2006
  • Three solvent extraction techniques were used to recover waxy tractions from grain sorghum kernels.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waxy tractions obtained by reflux, bench scale (recirculated solvent), and countercurrent extraction methods were compared. Waxy traction yield from countercurrent extraction (0.200%) was significantly greater (p<0.05) than the yields of wax from both reflux (0.184%) and bench-scale (0.179%) methods. The waxy traction extracted using the bench-scale method showed the greatest relative amount of long-chained (primarily C:28 and C:30) alcohols while the countercurrent-extracted wax showed the greatest relative amount of long-chained fatty acids and fatty aldehydes. Countercurrent extraction removed a higher additive percentage of fatty aldehydes, acids, and alcohols than reflux or bench-scale extraction method.

찰벼품종을 달리하여 제조한 유과의 품질 특성 비교 (Comparison of Some Characteristics Relevent to Yukwa (Fried Rice Cookie) made from Different Waxy Rice Cultivars)

  • 최영희;강미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1-76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d the degree of expansion, textur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Yukwa made from various cultivars of waxy rice, With 5 varieties of waxy rice and a nonwaxy rice, Yukwa were prepared by the standardized method that had been established optimum preparation conditions. Yukwa made from Shinsunchalbyeo and Whasunchal showed lower degree of expansion than Hangangchalbyeo and IR 29, but showed higher crispness and softer texture among tested waxy rice cultivars.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se cultivars showed high score in flavor, crispness and preference. Whasunchalbyeo and Shinsunchalbyeo were appropriate varieties for Yukwa preparation and they were both short grain in length/width. Whasunchalbyeo has the highest score of water uptake and reducing sugar content in Key word.

  • PDF

부산.경남 지역에서 수집된 재래종 찰옥수수의 과피 두께에 대한 고찰 (Pericarp Thickness of Korean Local Waxy Corn Lines Collected from Busan and Gyungnam)

  • 이인섭;김순임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6-119
    • /
    • 2007
  • To get abundant germplasm for developing new waxy corn varieties, pericarp thickness was measured and other factors were evaluated with a total of 142 Korean local waxy corn lines collected from various parts of Busan City and Gyungnam Province. The average pericarp thickness of Korean local waxy corn lines collected was $40.61{\mu}m$ and the rate of thin pericarp under $50{\mu}m$ was 70.4%. The pericarp thickness compared by the regions collected showed non significant difference, but which compared by the ear row number per ea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MS=597.52^*)$. Correlation between pericarp thickness and row numbers per ear was low (-0.93).

가열-냉각 처리한 찹쌀전분을 첨가한 인절미의 텍스처 특성 (Effects of Autoclaving-Cooling Cycled Waxy Rice Starch on the Texture of Injulmi)

  • 김정옥;신말식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3-31
    • /
    • 2002
  • Effects of autoclaving-cooling cycled waxy rice(Hwasunchalbyeo) starch(ACW) on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of Injulmi were investigated. The protein, ash and lipid contents of waxy rice flour were higher than those of waxy rice starch and ACW. The RS level of ACW was 8.21%. By increasing ACW content added to Injulmi, hardness and adhesiveness of Injulmi decreased, Hunter color L and a values increased and b values decreased. The sensory test showed that the hardness of Injulmi decreased, but springiness and adhesiveness increased by increasing ACW content to Injulmi. Overall Qualities of injulmi added with ACW up to 20% were similar to the non-added Injulmi.

  • PDF

찰흑미를 첨가한 식빵의 항산화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tioxidant Activity of Bread with Waxy Black Rice Flour Added)

  • 김원모;이윤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78-185
    • /
    • 2007
  •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bread made from waxy black rice flour(WBRF) and wheat flour were investigated. The waxy black rice bread was manufactured with 10, 20, 30, or 40% waxy black rice flour(w/w). As the additive amount of WBRF were increased,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EAC(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were also increased. WBRF group showed the higher activity than the control group i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EAC. The group with 10% WBRF adde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in metal chelating activity, but over 20% of addition, it had the higher metal chelating activity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 PDF

Waxy Oil 탈납에 있어서 용제희석의 영향 (The effect of dilution solvent ratio on dewaxing of waxy oils)

  • 김주항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권2호
    • /
    • pp.34-43
    • /
    • 1987
  • 탈납공정에 있어서 중요인자인 용제혼합비, 용제희석비 및 냉각온도에 대해 연구하였다. 용제로서 MEK와 toluene을 사용한 결과 혼합용제비로서는 저점도유 48:52, 고점도유 45:55가 이상적이었고, 용제희석비는 저점도유의 경우 1:2.8배로서 5회분할, 고점도유의 경우 1:3.5로 2회분할 첨가함이 가장 좋았으며 냉각온도는 영하 26$\circ$C로 탈납에 요구되는 시간은 오일의 종류비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았다.

옥수수 전분과 찰옥수수 전분 첨가 비율에 따른 Gluten-free 제빵 특성 (Baking Properties of Gluten-free Rice Bread with Different Percentages of Corn Starch and Waxy Corn Starch)

  • 김상숙;정혜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86-593
    • /
    • 2015
  • The baking properties of gluten-free rice bread with different percentages of corn starch and waxy corn starch were investigated. The specific gravity and color (L, a, b) of the dough as well as the appearance, color (L, a, b) and texture of the rice bread were analyzed. Replacement of rice flour with 1, 2.5, 5, 7.5 and 10% corn starch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pecific gravity and color of the dough. The volume and specific volume of the rice bread showed an increasing trend as the amount of added corn starch increased. The chewiness, gumminess and hardness of the rice bread showed a decreasing trend as the amount of added corn starch increased. Replacement of rice flour with 1, 5 and 10% waxy corn starch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pecific gravity and color of the dough. The color of the rice bread showed an increasing trend as the amount of added waxy corn starch in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placement of rice flour with 7.5% corn starch or 1% waxy corn starch is effective for gluten-free rice bread.

메조 및 차조 첨가가 White Layer Cake의 품질특성과 저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Millet and Waxy Millet on Properties of White Layer Cake)

  • 이명호;장학길;유양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95-402
    • /
    • 2005
  • 국내산 메조, 차조 10-50%를 첨가한 white layer cake을 제조하여 메조 차조 첨가가 제품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부피의 경우 차조 10% 첨가구가 가장 높은 부피를 보였으며 메조 및 차조 첨 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무게는 메조, 차조 40%까지 대조구에 비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비체적은 메조 및 차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Crumb color의 경우 메조 및 차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어두워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a 값은 메 조 첨 가구에서 모두 '-'값을 보여 청색 계열을 나타냈으나 차조의 경우 10, 20%첨가구를 제외한 30% 이상 첨가구에서는 '+'값으로 적색계열의 색을 나타냈다. b 값은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게 나타나 황색 계열의 색이 우세하였다. Curst color는 crumb color에 비해 L값은 낮게 나타냈고, a 값은 9.4-6.3의 범위로 높게 나타났으며, b 값 또한 높게 나타났다. Texture는 메조 10%, 차조 10-20%에서 hardness값이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이는 메조, 차조 첨가가 조직감 향상에 기여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판단된다. 노화 특성은 메조, 차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노화 속도가 빠른 경 향을 좌였고, 메조보다 차조의 hardness가 높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5℃와 25℃에서 12일 동안 저장 중 노화 특성을 살펴보면 25℃에서 메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10 -40% 첨가구는 완만히 증가한 반면 50%, 첨가구는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조의 경우는 0 day에서 경도는 메조보다 낮은 값을 보였으나 차조 20-50% 첨가구의 경우 경도 증가폭이 높아 메조보다 노화 진행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5℃ 저장 중 경도의 증가폭은 25℃보다 증가폭이 크고 저장 3일까지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6일 이후 크게 증가하였다. 위 의 결과로 5℃, 25℃ 저 장 중 노화도는 5℃ 저장 중 노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관능평가에서 외부 특성은 대조구보다 메조가, 메조보다 차조가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어두워지고 딱딱해졌으며, 내부적인 특성의 경우 메조, 차조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기공이 작고 고르지 못한 조직과 향미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메조, 차조를 첨가한 white layer cake 제조 시 10-20% 첨가구가 케이크의 부피, 색, 기공, 경도 등을 고려하여 적용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