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y Kimchi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5초

Ethanol과 유기산의 첨가가 물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 of Ethanol and Organic Acids on the Quality of Mul-kimchi)

  • 김도희;한영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05-312
    • /
    • 2003
  • 물김치에 ethanol. 또는 유기산 중 adipic acid, citric acid, acetic acid을 첨가하였을 때 김치의 발효 지연효과를 pH, 산도, 미생물수의 변화를 측정하여 조사하였으며 동시에 ethanol과 유기산을 첨가한 이 김치의 기호성을 살펴보아 다음과 같음 결과를 얻었다. 물김치에 ethanol을 0~5% 첨가하여 pH 변화를 조사한 결과 ethanol 함량이 높을수록 pH의 저하가 지연되었다. ethanol은 특히 발효 초기에 pH 저하 지연효과를 보여 2$0^{\circ}C$의 경우 발효 초기에 ethanol를 첨가하지 않은 김치는 pH 5.7에서 4.13까지 감소하는 반면 ethanol 5%를 첨가한 김치에서는 pH 5.8에서 5.14로 약간 감소하는데 그쳤다. 산도의 경우도 ethanol 함량이 높을수록 산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ethanol를 첨가하지 않은 김치에서는 산도 0.7~0.8%까지 증가하였으나 ethanol 5%를 첨가한 김치에서는 산도가 0.5~0.6%로 산도 증가가 억제되었다. 물김치에서 유기산 종류와 농도를 달리하여 첨가하였을 경우 사용된 유기산 중 adipic acid 첨가시 가장 발효 지연 효과가 컸으며 adipic acid 농도가 높아질수록 pH와 산도 변화가 적었다. Ethanol 2%와 adipic acid 0.1%를 병용 첨가한 결과에서는 유기산만을 첨가한 효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Ethanol를 2% 첨가한 물김치의 미생물 변화는 발효 중반이후 미생물 수가 낮게 나타났다. 물김치에 위에 사용된 유기산들을 0.025~0.2% 첨가하였을 때 대체적으로 유기산의 함량이 높을수록 균수가 감소하였으며 유기산 중 adipic acid에서 총균수와 젖산균수의 억제 효과가 가장 컸다. 물김치에 ethanol과 adipic acid을 첨가한 경우가 미생물 균수가 억제에 가장 효과가 있었다. Ethanol과 유기산 농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김치의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맛과 향에서 control과 ethanol 2%를 첨가한 김치는 알콜 내, 알콜 맛에서만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낸 반면 ethanol 2%와 adipic acid 0.1%를 병용 첨가한 김치는 전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control이 3.4점으로 ethanol을 첨가한 김치와 같은 기호성을 나타내었고 ethanol 2%와 adipic acid 0.1%를 첨가한 김치도 3.2점으로 유사한 기호성을 보였다.

  • PDF

Microbiological Analysis of Dongchimi, Korean Watery Radish Kimchi, at the Early and Mid-phase Fermentation

  • Park, Sun-Jung;Chang, Jin-Hee;Cha, Seong-Kwan;Moon, Gi-Se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4호
    • /
    • pp.892-894
    • /
    • 2008
  • During dongchimi fermentation at 5 and $25^{\circ}C$, the pH lowered slowly and reached 4.03 at $5^{\circ}C$ after 30 days, whereas it lowered dramatically and reached 3.59 at $25^{\circ}C$ after 2 days. The predominant bacteria were Leuconostoc (Leu.) mesenteroides at $25^{\circ}C$ until day 2 which changed into Lactobacillus (Lb.) plantarum at day 3, analyzed by a culture dependent method with partial 16S rRNA gene sequencing, whereas Leu. mesenteroides occupied predominantly at $5^{\circ}C$ until day 7. In a culture-independent method using a polymerase chain reaction-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PCR-DGGE) with partial 16S rRNA gene sequencing, Lb. algidus was predominant at $5^{\circ}C$ until day 7 and Lb. plantarum occupied predominantly at $25^{\circ}C$ until day 3, which is different from the results of the culture based method, indicating the both methods need to be combined for accuracy. Based on the culture-dependent method, Leu. mesenteroides might be responsible for the early and mid-phase of dongchimi fermentation.

서울시내 일부 가정식, 외식과 학교급식의 국물음식 나트륨 함량 비교 (Comparison of the sodium content of Korean soup-based dishes prepared at home, restaurants, and schools in Seoul)

  • 박양희;윤지현;정상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6호
    • /
    • pp.663-67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내 일부 가정식, 외식, 학교급식에서 국물음식을 수집하여 건더기와 국물 각각의 나트륨 함량을 분석하고 제공 환경에 따른 나트륨 함량을 비교하였다. 가정식, 외식, 학교급식에서 건더기와 국물이 1인 분량에서 차지하는 나트륨 함량은 국 및 탕류와 물김치류에서는 국물이 더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찌개류와 면 및 만두류에서는 국물과 건더기가 비교적 유사한 비율을 보이고 있었다. 특히 1인 분량 내에서 국물이 차지하는 나트륨 함량은 최소 43.7%에서 최대 73.2%까지 높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물을 적게 섭취하는 것만으로도 상당량의 나트륨 섭취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100 g 당 나트륨 함량은 전식품에서 가정식과 외식이 학교급식보다 각각 유의하게 높았으며, 건더기에서는 외식이 가정식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국물에서는 가정식과 외식이 학교급식보다 각각 유의하게 높고 외식이 가정식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동일한 종류의 음식이라 할지라도 가정식, 학교급식, 외식에 따라 나트륨 함량의 차이를 보이며 가정식과 학교급식, 가정식과 외식, 학교급식과 외식 간의 동일한 종류의 음식에서 나트륨 함량의 차이가 있어, 건더기 및 국물의 섭취 정도에 따라 실제 섭취하는 나트륨 양이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보다 정확한 나트륨 섭취량 추정을 위하여 음식이 제공되는 환경 및 섭취 방식에 따라 구분된 데이터베이스를 적용해야 할 것이며, 향후 관련 대규모 연구를 통해 대표성을 가진 데이터베이스의 확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백김치의 특성에 미치는 온도 및 소금농도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and NaCl Concentr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Baik Kimchi)

  • 강근옥;김우정;임현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569-577
    • /
    • 1997
  • 백김치 주스제조를 위한 실험의 일환으로 백김치 담금시 소금 농도와 발효 온도를 달리하였을 때의 발효중 pH, 총산도, 염도, 색도 및 관능적 성질 변화를 측정하여 최적 발효 조건을 알고자 하였다. 백김치는 파, 마늘, 생강 등의 부재료만을 첨가하고 최종 백김치액의 소금농도가 0.5, 1.0, 1.5, 3.0%가 되게 제조하여 10, 20, 3$0^{\circ}C$의 온도에서 발효시켰다. 대체적으로 백김치의 pH는 염도가 높아질수록 감소속도가 느린반면 발효온도가 높을수록 빠른 감소를 보였다. 또 총산도는 pH와 반대로 발효시간이 경과하고 발효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나 염도의 증가에 따라 산의 생성량은 적어 염도에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염도별 백김치의 관능적 평가에서 새콤한 맛과 신맛은 1$0^{\circ}C$에서는 소금농도 0.5%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고 2$0^{\circ}C$에서는 0.5%와 1.0%가 유사하였으며 3$0^{\circ}C$에서는 0.5%가 가장 높은 반면 1.5%가 가장 낮은 강도를 나타내었고 기호도에서 가장 좋게 평가된 백김치의 소금농도는 1.0%였다. 또한 백김치의 발효온도에 따른 관능적 평가는 전체적으로 3$0^{\circ}C$가 다른 두 온도에서 보다 좋게 평가 되었으며 p>0.05의 범위에서 유의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백김치 주스를 제조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백김치의 담금 조건은 소금농도 1.0%의 백김치를 제조하여 3$0^{\circ}C$에서 발효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발효 온도의 변화에 따른 열무 물김치 중 비타민 C의 함량 변화 (The Changes of Vitamin C Content in Yulmoo Mulkimchi According to the Shift of Fermentation Temperature)

  • 최성유;한영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64-368
    • /
    • 1997
  • 김치의 비타민 C 함량은 초기값에 비해 증가되었다가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에 물김치를 담가 발효, 숙성온도를 달리하여 그 국물에 대하여 pH, 산도, 비타민 C 함량, 총균수, 젖산균수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3$0^{\circ}C$에서 1일간 숙성시킨 후 비타민 C 함량은 최고에 달해 20 mg% 정도를 나타냈으며, 이때의 pH는 4.5 내외, 산도는 0.2 lactic acid %였고, 미생물균수는 최고 $10^{8}$ CFU/$m\ell$를 나타냈으며 대부분을 젖산균이 차지했다. 이 결과는 그후 온도를 낮춰 15$^{\circ}C$, 4$^{\circ}C$에서 9일간 숙성을 시켜도 차이가 나지않았다. 15$^{\circ}C$에서 발효, 숙성시킨 김치는 최고의 비타민 C 함량인 15 mg%의 비타민 C 함량을 나타낼 때까지 4~5일이 소요되었으며, 이때의 pH는 4.0, 산도는 0.15 lactic acid %였다. 한편 15$^{\circ}C$에서 1일간 발효 후 4$^{\circ}C$에서 숙성시킨 경우에도 이 수준까지 떨어지지 않았다. 4$^{\circ}C$ 발효, 숙성의 경우에는 pH와 산도가 저장 10일 동안 초기값과 크게 달라지지 않았으며, 비타민 C가 증가하지 않아 약 10 mg%에 머물렀다.

  • PD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ongchimi Added with Gatt (Brassica juncea)

  • Park, Jung-Eun;Moon, Sung-Won;Jang, Myung-Soo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21-27
    • /
    • 2005
  • To improve Dongchimi (watery radish kimchi) quality and preservation, 0, 3, 5, 10, and 15% of gatt (Brassica juncea; leaf mustard) per radish was added. 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determined during fermentation at $10^{\circ}C$ for 45 days. Total acidity increased slowly by addition of gatt during initial fermentation period, and 15% treatment showed lowest total acidity. Total vitamin C content increased initially in all treatments depending on gatt content, and decreased thereafter. Period for reaching maximum value was delayed by addition of gatt. Highest total vitamin C was found in 15% treatments. In the case of reducing sugar, 5% treatment showed highest contents. Lactic, succinic, and tartaric acid contents consistently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while those of malic and citric decreased. Turbidity and total solid contents of Dongchimi liquid increased in all treatments as fermentation proceeded, although the extent was rather suppressed by addition of gatt. Colorimetric lightness values decreased, while the initial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in redness and yellowness. Addition of gatt at above 15% weight level per radish accelerated fermentation at the later fermentation stage thus it should be avoided. Most changes in typical characteristics of fermentation were similar depending on treatments. More acceptable Dongchimi could be prepared by fermenting at 5% gatt concentration under given conditions.

전남 구례와 곡성 장수지역의 80세 이상 고령인의 음식문화 특성 연구 (Study on Food Culture of Koreans over 80-Years-Old Living in Goorye and Gokseong)

  • 정혜경;김미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2-156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the food culture of Koreans aged over 80-years-old living in the areas of Goorye and Gokseong. The research method was based on examination of individual cas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total number of survey subjects was 38; males constituted 34 percent of the subjects while females constituted 66 percent of the subjects. Average age of male subjects was 85.3 years while average age of females was 84.8 year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properties of the typical and traditional Korean table, which was the most common food life's property in the longevity area of was centered around rice, watery soup, vegetables, and fish. The first, as the supply step's property of food ingredients, various spices and ingredients such as piperitum, tumeric, ginger, garlic, chili pepper, and salted fish were used. Senior persons also supplied fresh vegetables at the kitchen garden, and they led a nature-friendly food life. The second, as the production of food and cooking of food step's property, there were multigrain rice and fermented foods such as soybean paste, kimchi, red pepper paste, salted fish, vegetables picked in soy sauce, etc. The recipe was cookery intermediated with water, soup, steamed vegetables, seasonings, etc., and it was characterized by a deep and rich taste due to the various spices and rich ingredients. The third, as the consumption of food step's property, senior persons regularly ate a balanced diet three times a day. They also had active personal relationships with their neighbors by sharing food, which increased their sense of belonging and improved their life satisfaction.

동치미의 발효중 $CO_2$ 발생특성 ($CO_2$ Production in Fermentation of Dongchimi (Pickled Radish Roots, Watery Radish Kimchi))

  • 이동선;이영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021-1027
    • /
    • 1997
  • $CO_2$production in fermentation of dongchimi was measured and interrelated with changes in pH and titratable acidity. The effects of salt content and temperature on $CO_2$production rate were analysed. Fermentation of dongchimi showed drastic pH decrease in early stage and subsequent levelling off around 3.9, with linearly increased acidity up to 0.3~0.4% optimum quality. $CO_2$production of dongchimi could be analysed to consist of two consecutive stages of constant rate. The first stage $CO_2$production of higher rate moved to the second stage of lower rate when acidity rose beyond 0.3%. When compared to those of 1 and 2% salt content, dongchimi of 3% salt showed lower $CO_2$production rate in the 1st stage and slower acidity change through the whole fermentation period. However, it resulted in the product of highest $CO_2$accumulation at optimal ripeness because of consistent $CO_2$production of longer 1st stage period and relatively high $CO_2$production rate in 2nd stage. $CO_2$production depended on temperature less compared to acidity change(activation energy: 57.3 and 44.3kJ/mol for $CO_2$production of 1st and 2nd stages, respectively; 79.3kJ/mol for acidity change), which means higher ratio of $CO_2$production rate relative to acidity increase at lower temperature. Slower increase in acidity at low temperature also was shown to extend the period of 1st stage $CO_2$production. Therefore, low temperature fermentation was effective in producing the high $CO_2$content dongchimi at adequate acidity, which is desirable organoleptically.

  • PDF

충무공 이순신장군 사당의 불천위제례음식문화 비교 - 아산현충사고택·통영착량묘·남해충렬사 - (Comparison of Bulcheonwijerye Food Cultures in Shrines of Admiral Yi Sun-sin)

  • 박미연;강민경;조명희;최서율;박필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598-606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differences in Jinseol (ritual table-setting) and Jesu (ritual food) from the cultural perspective of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regarding Bulcheonwijerye of Admiral Yi Sun-Sin, which is being held in Asan-hyeonchungsa shrine, Tongyeong-changnyangmyo and Namhae-chungyeols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 total of 32 types of Jemul (ritual food) in 6 rows in Asan-hyeonchungsa shrine, a total of 30 types of jemul in 6 rows in Tongyeong-changnyangmyo, and a total of 12 types of jemul in 2 rows in Namhae-chungyeolsa were prepared for the ritual table. In the Asan-hyeonchungsa shrine and Tongyeong-changnyangmyo, cooked foods have been used for jesu, whereas raw, uncooked foods have been used for jesu in Namhae-chungyeolsa. In the Asan-hyeonchungsa shrine, Gaeng (Kook) for liquid soup of Tang (stew) and Tang (5-tang) for the solid ingredient of stew have been prepared for a ritual table. In Tongyeong-changnyangmyo, fish Kook for Gaeng and So-tang (tofu stew) for Tang have been prepared for the ritual table. In Asan-hyeonchungsa shrine, Yukjeok (beef slices broiled on a skewer), Gyejeok (chicken jeok) and Eojeok (fish jeok) have been stacked together as Dojeok on a ritual table whereas in Tongyeong-changnyangmyo, Yukjeok, Sojeok and Eojeok have been placed on the ritual table as Pyunjeok (one by one). In Namhae- chungyeolsa, raw pork meat has been placed on the ritual table. As Po (a dried meat or fish), dried fish and dried seafood have been used in Tongyeong-changnyangmyo, whereas raw beef meat has been used in Namhae-chungyeolsa. Although Namul (cooked vegetables) and Mulkimchi (watery plain kimchi) are placed on ritual table for Asan-hyeonchungsa shrine, only Namul and Saengchae (raw vegetables) is used in Tongyeong-changnyangmyo and Namhae-chungyeolsa, respectively. Bulcheonwijerye for the same person, Admiral Yi Sun-Sin,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hrines.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preserve and succeed bulcheonwijerye of Admiral Yi because it is a traditional culture in ancestral rituals.

숙성온도와 염농도에 따른 동치미 국물의 성분변화 및 관능적 특징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ngchimi juice)

  • 김지향;손경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38-343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재료를 이용하여 동치미를 제조하여 그 국물의 식품학적인 특성과 관능적인 특성을 살펴보았다. 담금변수는 첨가되는 염농도와 숙성온도로, 염농도 2%, 2.5%, 3%의 동치미를 제조하여 담금 초기부터 4$^{\circ}C$의 저온과 12$^{\circ}C$의 비교적 고온, 그리고 12$^{\circ}C$에서 12시간 숙성시킨 후 4$^{\circ}C$로 옮겨 각각 숙성시켰다. 색도와 총 비타민 C 함량, 유리당과 같은 이화학적인 특성을 조사하였고 총 12명에게 6가지 항목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동치미 국물의 색도는 숙성이 진행될수록 탁하고, 적색과 갈색을 띄는 양상으로 변화하였는데 숙성중기 이후에 더 급격히 변하였다. 총비타민 C는 염농도보다는 숙성온도에 더 영향을 받는 경향을 보였는데 역시 12$^{\circ}C$에서 4$^{\circ}C$로 숙성온도를 옮긴 동치미 국물에서 가장 많은 비타민 C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최고치를 유지하는 기간도 길었다. 유리당은 glucose, fructose, sucrose 가 분석되었는데 이들 유리당의 총 함량은 염농도에 따라서는 차이를 알 수 없었으나 숙성온도에 따라서는 숙성온도를 바꾸어 가며 숙성시킨 동치미 국물에서 가장 많은 양이 발견되었다. 관능검사는 숙성도, 짠맛, 탄산미, 불쾌취, 투명도, 전체적인 수응도를 평가하였는데 탄산미는 각각의 변수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9가지 시료중에서 가장 수응도가 좋은 동치미 국물은 12$^{\circ}C$에서 4$^{\circ}C$로 숙성온도를 바꾸어 숙성시킨 염농도 2.5%, 3% 동치미이고 이 중 2.5% 염농도의 동치미액은 불쾌취도 적게 나는 것으로 평가되어 관능적인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