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level change

검색결과 1,296건 처리시간 0.028초

수위변동에 따른 갯벌의 물리적 환경특성의 변화 (Variation of Physical Characteristic of Tidal Flat's Environment by Water Level Change)

  • 박종화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9
    • /
    • 1999
  • This paper described the result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ar-bottom flow and field analysis of the tidal flats sediment. It was the aim of this paper to grasp current flow of tidal flat's environment and influence factor for environmental change forecast of tidal flats. Field measurement of water velocity, water elevation, bed materials test,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idal flat were conducted. Thereafter, current flow, turbidity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idal flat sediment have been discussed. The field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fluctuating velocity near the seabed before and after its appearance at low tide was strongly affected by the wind wave. The resuspension of the sea-bottom sediment took place with great intensity before and after the appearance of the seabed at low tide. Both the sea water level and the weather condition were a significant influenti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and turbidity just on the surface and the shallow layer of seabed sediments were varied largely with time and weather conditions, but that its deeper layers was almost constant. Temperature on the seabed sediments was strongly influenced by irradiance and water depth. The temperature variation of the tidal flat and the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flow and turbidity depend greatly on the inhabiting environment of the tidal flat benthic organism.

  • PDF

관개지구 물관리기법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 공급량 평가 (Impact of Water Management Techniques on Agricultural Reservoir Water Supply)

  • 류정훈;송정헌;강석만;장중석;강문성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0권2호
    • /
    • pp.121-132
    • /
    • 2018
  • Along with climate change, it is reported that the extreme climate events such as severe drought could cause difficulties of agricultural water supply. To minimize such damages,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by using or saving the amount of irrigation water efficientl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paddy water management scenarios and to evaluate their effectiveness on water saving. Three water management scenarios (a) deep irrigation with ponding depth of 20~80 mm (control, CT), (b) no/intermittent irrigation until paddy cracks (water management A, WM-A), and (c) intermittent irrigation with ponding depth under 20 mm (water management B, WM-B) were developed. Water saving effects were analyzed using monitored data from experimental paddy fields, and agricultural water supply was analyzed on a reservoir-scale using MASA model. The observed irrigation amounts were reduced by 21 % and 17 % for WM-A and WM-B compared to CT, respectively, and mainly occurred by the increase of effective rainfall.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water management scenarios could reduce irrigation by 21~51 % and total inflow by 10~24 % compared to CT. The long-term simulated water level change of agricultural reservoir resulted in the decrease of dead level occurrence for WM-A and WM-B.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WT-A and WT-B have more benefit than CT in the aspect of agricultural reservoir water supply.

기후변화에 따른 제방의 홍수취약성지수 민감도 분석 (Sensitivity analysis of flood vulnerability index of levee according to climate change)

  • 이후상;이재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spc1호
    • /
    • pp.1161-116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하천 제방에 대한 홍수취약성을 평가하는 새로운 기법을 제시하고 기후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수위에 대하여 제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2차원 지하수침투 모형인 SEEP/W를 이용하여 제방의 침투거동을 분석하여 침투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침투거동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에 따른 하천환경여건을 고려하는 제방의 취약성 분석 기술이 필요함으로써 본 연구에서는 추가적으로 제방의 취약성 분석에 필요한 인자를 도출하여 제방의 홍수취약성지수(levee flood vulnerability index; LFVI)에 의한 취약성 평가기법을 새로이 개발 하였다. 대상지역을 한강 본류 서울 구간으로 선정하여 하도별 제방의 크기를 조사하였고 조사한 제방을 상류부, 중류부, 하류부로 구분하여 3개의 대표 제방을 선정하였다. 이들 대표 제방지점에서 현재의 계획홍수위와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8.5를 고려한 계획홍수위를 적용하여 제방의 활동 안전율과 제방홍수취약성지수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제방홍수취약성지수를 구성하는 각각 인자들에 대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변화 정도를 파악하였다. 이들 인자들을 종합적으로 활용한 제방홍수취약성지수 값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제방의 취약성을 추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자원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모형의 공간 및 유역규모별 적용 연구 (Application Study of Vulnerability Assessment Models for Water Resources to Climate Change by Spatial and Watershed Scales)

  • 정지웅;이우균;최계선;이상철;최성호;최현아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1-3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홍수, 가뭄, 물관리 등 수자원 분야 취약성을 규준(criteria) 및 지표(indicators)를 활용하여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법을 통해 전국 및 지역 단위의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평가 규모별 적정 유역 크기에 대한 방안도 아울러 제시하였다. 수자원 취약성 평가에 이용한 규준은 크게 평가 대상지의 민감도, 기후에의 노출,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력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 규준을 지표로 계량화 및 표준화하여 취약성 평가에 반영한다. 기후변화에 대한 수자원 분야의 취약성은 일반적으로 시간이 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평가 대상지의 유역 규모는 국가 차원의 취약성 평가는 대유역을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유의하며, 지역 차원의 평가는 소유역을 기준이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HEC-RAS 모델을 이용한 신천 시험유역의 하도 특성연구 (Channel Characteristics of Sincheon Experimental Catchment using HEC - RAS model)

  • 박병기;이명구;홍창수;이재관;이영준;최중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1-56
    • /
    • 2016
  • In recent localized heavy rainfalls have been arising from abnormal climate change. People are concerning about damages with increasing the frequency of flooding. Therefore, we need to understand river hydraulic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to reduce damage from flooding. To study hydraulic characterization of Sincheon experimental catchment HEC-RAS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 River Analysis System) model which provided by U.S Army Corps of Engineers (USACE) was applied.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water level the frequency flood for 100 years and 200 years by clark unit Hydrography. The change of the water level of Daejeon bridge, Sincheon bridge and Singi bridge showed increased for all conditions. The flow rate for the Daejeon bridge and the Sincheon bridge showed an increase, but the Sinki bridge showed a decreasing flow rate overally, except for 1hour-100 years. The verification result showed that the model was able to simulate the water level with 0.4709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and error ration ranging from 1 to 3%.

LANDSAT 영상을 이용한 해안선 자동 추출과 변화탐지 모니터링 (Automatic Coastline Extraction and Change Detection Monitoring using LANDSAT Imagery)

  • 김미경;손홍규;김상필;장효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5-53
    • /
    • 2013
  • 지구 온난화와 이로 인한 해수면의 상승은 명백히 전 지구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변화이며 해안선의 변화 또한 동반되고 있다. 해안선은 해수면의 상승뿐만 아니라 인위적인 활동에 의해서도 변화할 수 있으나 지구온난화에 의한 해안선 변화의 파악은 지구 온난화의 진행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써 활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자동으로 해안선을 추출 및 변화를 파악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으로 해안선을 추출하기 위해서 수분지수를 활용하여 물과 육지의 대조를 극대화하였으며, 해안선의 자동 추출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수분지수로 변환된 영상에서 자동으로 물과 육지를 분할하기 위하여 적정 임계값을 자동으로 찾을 수 있도록 영상처리 기법을 적용하였고, 경계선 검출 알고리즘을 통하여 해안선을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해안선으로 변화를 탐지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자동으로 물과 육지를 분할하고 경계선을 찾는 영상처리 기법은 다른 자료의 도움 없이 LANDSAT 영상만을 이용하여 적용될 수 있으며 추출된 해안선 또한 기준자료로 이용된 NLCD(National Land Cover Database)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유사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구 온난화의 지표로써의 활용 가치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 대상지역을 지층의 온도가 연중 $0^{\circ}C$ 이하로 항상 얼어 있는 영구동토로 선정하여 영구동토의 해빙으로 인한 해안선 변화를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해안선의 변화가 가속화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대에서 조위에 따른 기온과 수온 변화 : 여수 오도섬 (Variations in Air Temperature and Water Temperature with Tide at the Intertidal Zone : Odo Island, Yeosu)

  • 조원기;강동환;김병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027-1038
    • /
    • 2022
  • The intertidal zone has both land and marine characteristics and shows complex weather environments. These characteristics are suited for studying climate change, energy balance and ecosystems, and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coastal and marine weather prediction and analysis. This study was conducted at Odo Island, approximately 300m from the mainland in Yeosu. We built a weather observation system capable of real-time monitoring on the mud flat in the intertidal zone and measured actual weather and marine data. Weather observation was conducted from April to June 2022. The results showed changes in air temperature and water temperature with changes in the tide level during spring.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characteristic changes in air temperature and water temperature during the day and night, and with inundation and exposure.

안동-임하댐 연계운영을 통한 미래 기후변화 대응 (Coping with Climage Change through Coordinated Operations of the Andong & Imha Dams)

  • 박준형;김영오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12호
    • /
    • pp.1141-1155
    • /
    • 2013
  • 최근에 이르러 기후변화에 따른 급격한 지구온난화에 대비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임하-안동댐 유역을 대상으로 미래 유량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다목적댐 운영 전략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미래 유량 전망결과를 이용하여 댐군을 연계운영하고 그 영향을 단독 댐 운영방법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먼저 기후변화의 불확실성을 고려하기 위해 GCM와 통계학적 축소화 기법인 일기발생기 LARS-WG, 유출전망 모형abcd에 적용하여 미래 전망 댐 유입량을 산정하였다. 수위운영방법이 기존 댐운영방법에 대한 모의로 선정되었으며, 대안으로서 New York City rule을 적용한 선형계획법의 댐군 연계운영 모형을 적용하였다. 미래 유입량 전망결과는 과거의 연 총 유입량에 비하여 안동댐에서 평균72.81%, 임하댐에서 평균 65.65%감소하였다. 미래 유입량 전망자료를 댐 운영모형에 적용한 결과, 연계운영한 결과의 신뢰도가 평균 62.22%로 단독 운영 결과의 신뢰도 47.55%에 비해 GCM 종류에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높았다. 특히 수량부족으로 인해 신뢰도가 낮은 경우, 편차는 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안동-임하 댐군에 연계운영을 적용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수량의 변화에 더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비닐하우스 지역의 지하수 양수에 따른 지하수-하천수 상호 유동 변화 분석 (Change of Groundwater-Streamflow Interaction according to Groundwater ion in a Green House Land)

  • 김남원;이정우;정일문;김창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10호
    • /
    • pp.1051-1067
    • /
    • 2012
  • 겨울철 작물재배를 위해서 비닐하우스 보온을 위한 수막시설의 이용이 늘어나고 있어 과다한 지하수 이용에 따른 수위 강하 및 하천수 감소를 유발하고 있다. 따라서 수막시설재배 지역에서의 지하수 양수가 지하수 대수층과 연결된 하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정량적으로 평가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이천시 신둔면 수하리 일대 수막시설재배지역에 지하수위와 온도를 계측하기 위한 지하수 관측공을 제내지와 제외지에 설치하고 관측 결과를 분석하여 지하수 양수에 따른 하천-지하수 상호유동계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수위와 수온 관측 결과, 수막시설재배기간 동안 지하수 양수의 영향으로 하천수가 지하수계로 유입되는 손실하천의 양상을 나타내었다. 하천바닥층에 대해 침윤계 실험을 통해서 유도한 수두차와 침윤량간의 관계에 자동관측된 수위자료를 대입하여 하천과 지하수계 상호간 유동량의 연속적인 변화를 산정한 결과 수막시설재배가 한창인 2월말에는 지하수 이용량의 약 16% 만큼의 하천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후변화에 따른 제방의 안전성 영향 분석을 위한 제방홍수취약성지수의 적용 (Application of Flood Vulnerability Index for analyzing safety change of levee according to climate change)

  • 이후상;이재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4호
    • /
    • pp.293-29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하천 제방에 대한 홍수취약성을 평가하는 새로운 기법을 기후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하천의 수위변화를 고려하여 제방의 취약성 변화 정도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대상유역의 홍수량을 산정하여 홍수위를 구하고 제방의 2차원 지하수침투 모형인 SEEP/W를 이용하여 침투거동을 분석함으로써 침투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대상지역은 한강 본류 서울 구간으로 선정하여 대표 제방을 선정한 후, 대표 제방의 현재 계획홍수위와 기후변화를 고려한 홍수위를 고려하여 제방의 안전율을 분석하였다. 제방의 취약성 분석에 필요한 인자를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제방의 수위변화를 고려한 제방의 취약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를 본 연구자가 기 개발한 제방홍수취약성지수(Levee Flood Vulnerability Index, LFVI) 값을 이용하여 제방의 취약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