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soluble sulfur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9초

아황산(亞黃酸)가스 및 ABA 전처리(前處理)가 침엽수(針葉樹) 유묘(幼苗)의 생장피해(生長被害)와 생리적(生理的) 감수성(感受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ulfur Dioxide Gas and Abscisic Acid Pretreatment on Physiological Susceptibility and Growth Damages of Coniferous Seedlings)

  • 이임균;김영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3호
    • /
    • pp.331-343
    • /
    • 1994
  • 본(本) 연구(硏究)는 아황산(亞黃酸)가스가 수목(樹木)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과 아황산(亞黃酸)가스 노출시(露出時) ABA전처리(前處理)가 각(各) 수종(樹種)의 감수성(感受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수행(遂行)되었으며, 몇 개(個) 침엽수(針葉樹) 유묘(幼苗)를 대상(對象)으로 7개(個) 수준(水準): 0ppm, 0.5ppm, 1ppm, 2ppm, 4ppm과 2ppm+ABA(26.4ppm), 2ppm+ABA(56.8ppm)의 아황산(亞黃酸)가스 처리(處理)를 통(通)하여 공시목(供試木)의 엽중수분함량(葉中水分含量), 생체수분함량(生體水分含量), 수피산도(樹皮酸度), 엽중산도(葉中酸度), 엽중(葉中) 수용성(水溶性) 황함량(黃含量),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 및 증산율변화(蒸散率變化)를 측정(測定)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알 수 있었다. 1. 엽중수분함량(葉中水分含量)과 생체수분함량(生體水分含量)은 아황산(亞黃酸)가스의 농도(濃度)가 높아질수록 점차 감소(減少)하였으며, 전나무가 주목이나 잣나무에 비해 아황산(亞黃酸)가스 농도별(濃度別) 처리(處理)에 따른 엽중수분감소율(葉中水分減少率)과 생체수분감소율(生體水分減少率)이 컸으므로 공시수종간(供試樹種間)의 상대적(相對的) 감수성(感受性)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수피산도(樹皮酸度)와 엽중산도(葉中酸度)에 있어서는 아황산(亞黃酸)가스 농도(濃度)가 높아질수록 점차 증가(增加)하였으며, 아황산(亞黃酸)가스 농도별(濃度別) 처리(處理)에 따른 수피산도(樹皮酸度) 증가율(增加率)은 잣나무가, 엽중산도(葉中酸度) 증가율(增加率)은 전나무가 컸으므로 각각(各各) 상대적(相對的) 감수성(感受性)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엽중(葉中) 수용성(水溶性) 유황함량(硫黃含量)은 아황산(亞黃酸)가스 농도(濃度)가 높아질수록 점차 증가(增加)하였으며, 주목이 전나무나 잣나무에 비해 아황산(亞黃酸)가스 농도별(濃度別) 처리(處理)에 따른 엽중(葉中) 수용성(水溶性) 유황함량(硫黃含量) 증가율(增加率)이 컸으므로 상대적(相對的) 감수성(感受性)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은 아황산(亞黃酸)가스의 농도(濃度)가 높아질수록 점차 감소(減少)하였으며, 주목이 다른 공시수종(供試樹種) 보다 아황산(亞黃酸)가스 농도별(濃度別) 처리(處理)에 따른 총엽록소함량(總葉綠素含量) 감소율(減少率)이 컸으므로 상대적(相對的) 감수성(感受性)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5. 아황산(亞黃酸)가스의 농도별(濃度別) 처리(處理)에 따른 각(各) 측정항목별간(測定項目別間)에는 모든 수종(樹種)에서 처리간(處理間)에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을 인정(認定)할 수 있었다. 6. 공시목(供試木)의 ABA 처리(處理)에 대한 증산율변화(蒸散率變化)는 주목과 전나무가 아황산(亞黃酸)가스에 노출(露出)된 직후(直後)부터 증산율(蒸散率)의 변화(變化)가 없었으므로 아황산(亞黃酸)가스에 민감(敏感)하게 반응(反應)함을 알 수 있었으나, 잣나무는 가스노출(露出) 이후(以後)에도 약간씩 증산(蒸散)을 계속(繼續)하여 상대적(相對的)으로 그 감수성(感受性) 반응(反應)이 늦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7. ABA를 농도별(濃度別)로 전처리(前處理)한 후(後) $SO_2$가스 2ppm에 노출(露出)시킨 결과(結果) 6가지 측정항목(測定項目) 모두에서 그 결과(結果)를 확인(確因)할 수 있었으며, ABA가 기공(氣孔)의 폐도(閉度)에 작용(作用)하여 아황산(亞黃酸)가스에 대한 수목(樹木)의 감수성(感受性)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8. 공시수종별(供試樹種別) 및 측정항목별(測定項目別)에 있어서 아황산(亞黃酸)가스에 대한 상대적(相對的) 저항성(抵抗性)은 잣나무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나무는 상대적(相對的)으로 감수성(感受性)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수처리제 은이온이 E. Coli RB 797과 Bacillus sp. 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lver lon Exchanged Water Treatment Agent upon E. Coli RB 797 and Bacillus sp.)

  • 신혜자;신춘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16-321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은이온이 이온 교환되어 있는 수처리제(Ag-Os)의 영향을 Bacillus sp. 와 E. Coli RB 797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Bacillus sp.의 성장이 E. Coli RB 797의 성장에서보다 더 은이온에 민감하게 억제됨을 보였다. 성장억제에 필요되어지는 Ag-Os양은 0.2 mg/ml 이상에서 E. Coli RB 797를 0.02 mg/ml 이상에서 Bacillus sp. 의 성장을 저해하며 Ag-Os 수처리제의 존재하에서 생존 할 수 있는 세포 수도 E. Coli RB 797이 더 많음을 보여 윗 결과와 일치함을 보였다. 세포에 bind되는 것은 몇 분안에 일어 나는 과정이며 starved cells에서도 일어나는 에너지를 필요치 않는 과정임을 Binding연구는 나타내고 있다. 또한 Bacillus sp.의 은이온 binding이 더 많이 일어남을 보여준다. 수처리제의 존재하에서 reducing substances가 생성됨을 methylene blue를 indicatr로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이 수처리제는 E. Coli RB 797과 Bacillus sp. 에 대해 효과적이며 은이온은 빠르고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 과정에 의해 세포에 bind한후 세포내로 들어가 sulfur group과 반응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미역의 부위별 무기성분 및 알긴산 함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neral and Alginic acid Contents by Different Parts of Sea Mustards(Undaria pinnatifida))

  • 이연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691-700
    • /
    • 2004
  • 미역을 엽상부, 줄기, 포자엽의 3부위로 구분하여 부위별 일반성분, 알긴산 함량 및 무기질 함량(다량 무기질. 미량무기질)을 분석한 결과, 수분은 엽상부(10.5%)에. 탄수화물과 조지방은 포자엽(탄수화물 45.3%. 조지방 4.2%)에. 조회분은 줄기(39.0%)에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알긴산 함량은 25.9-32.2%이었고 불용성 알긴산이 수용성 알긴산에 비해 악 $2{\sim}3$배 많았다. 부위별로는 총알긴산은 포자엽(32.2%)에, 수용성알긴산은 엽상부(10.1%)에, 불용성 알긴산은 포자엽(27.7%)에 가장 많았다. 다량 무기질중 칼슘과 마그네슘은 엽상부(Ca 883.6 mg, Mg 1269.8 mg/100g D.W)에, 인, 칼륨, 황은 포자엽(P 680.5 mg. K 4508.0 mg. S 1287.4 mg/100 g D.W.)에, 나트륨은 줄기(6507.2 mg/100 g D.W.)에 가장 많았다. 미량 무기질중 철분, 아연, 망간은 엽상부(Fe 10.45 mg, Zn ,1.53 mg, Mn 0.71 mg/100 g D.W.)에, 크롬은 포자엽(0.14 mg/100 g D.W.)에, 알루미늄은 줄기(16.91 mg/100 g D.W.)에 가장 많았다. 칼슘:인의 비율은 엽상부와 줄기가 $1.7{\sim}1.8:1$이었다. 칼슘과 마그네슘의 존재형태는 소금물 가용성 분획인 단백질 펙틴과 결합한 것($Ca 62.1{\sim}68.9%,\;Mg\;89.6{\sim}92.1%$)이 가장 많았고 물에 가용성인 분회(F-I)은 엽상부>줄기>포자엽의 순으로 많았으며, 칼슘섭취에 있어 가장 문제가 되는 수산과 결합한 염산 가용성 분획(F-IV)은 포자엽>줄기>엽상부의 순으로 많게 나타났다.

ZnO와 TiO2 함유 복합나노섬유의 제조와 유해물질분해 성능 평가 (Fabrication of ZnO and TiO2 Nanocomposite Fibers and Their Photocatalytic Decomposition of Harmful Gases)

  • 허윤선;이승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5권11호
    • /
    • pp.1297-1308
    • /
    • 2011
  •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application of ZnO (zinc oxide) nanoparticles and $TiO_2$ (titanium dioxide) nanoparticles to polypropylene nonwoven fabrics via an electrospinning technique for the development of textile materials that can decompose harmful gases. To fabricate uniform ZnO nanocomposite fibers, two types of ZnO nanoparticles were applied. Colloidal $TiO_2$ nanoparticles were chosen to fabricate $TiO_2$ nano- composite fibers. ZnO/poly(vinyl alcohol) (PVA) and $TiO_2$/PVA nanocomposite fibers were electrospun under a variety of conditions that include various feed rates, electric voltages, and capillary diameters. The morphology of electrospun nanocomposite fibers was examined with a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 scope and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Decomposition efficiency of gaseous materials (formaldehyde, ammonia, toluene, benzene, nitrogen dioxide, sulfur dioxide) by nanocomposite fiber webs with 3wt% nano-particles (ZnO or $TiO_2$) and 7$g/m^2$ web area density was assessed. This study shows that ZnO nanoparticles in colloid were more suitable for fabricating nanocomposite fibers in which nanoparticles are evenly dispersed than in powder. A heat treatment was applied to water-soluble PVA nanofiber webs in order to stabilize the electrospun nanocomposite fibrous structure against dissolution in water. ZnO/PVA and $TiO_2$/PVA nanofiber webs exhibited a range of degradation efficiency for different types of gases. For nitrogen dioxide, the degradation efficiency was 92.2% for ZnO nanocomposite fiber web and 87% for $TiO_2$ nanocomposite fiber web after 20 hours of UV light irradi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ZnO/PVA and $TiO_2$/PVA nano- composite fiber webs have possible uses in functional textiles that can decompose harmful gases.

한국산 소맥과 수입 소맥의 단백질 특성 비교 (A Comparison of Protein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Imported Wheat Varieties)

  • 고봉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86-592
    • /
    • 1999
  • 그루, 은파 및 탑동 등의 한국산 소맥분의 단백질 함량은 수입 소맥과 비교하여 상당히 많은 양 함유되어 있으나 탑동을 제외한 한국밀의 반죽 물성은 매우 약하여 단백질의 함량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연질맥과 같은 반죽물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그루는 가장 많은 양의 단백질을 함유하지만 전형적인 sticky dough의 문제점을 나타내었다. 수입산과 국내산의 분류에 관계없이 단백질 함량이 많은 그루, 은파, 및 탑동 등의 한국 밀들은 DNS와 같이 acid insoluble protein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많으며 water soluble과 salt soluble 단백질의 함량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특히 수입 DNS 밀은 전체 단백질의 함량에 대한 40% 이상이 acid insoluble protein이며 SDS insoluble protein 함량 또한 가장 많은 양 함유되어 있었다. 반면 한국산 소맥은 대부분 연질맥인 WW와 같이 SDS insoluble protein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또한 품종이나 제품성에 관계없이 밀가루의 단백질 함량이 높을 수록 단백질의 S-S와 SH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외국문헌에서 알려진 밀가루의 특성과 특별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탑동밀을 제외한 4종의 한국 밀에서 gluten의 특징적인 116 kD 이상의 high molecular weight protein subunit이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subunit은 high molecular weight glutenin subunit에 해당되는 것으로 외국문헌의 경우 subunit 2.2로 분류하기도 한다. 또한 116 kD영역에 나타나는 triplet band는 탑동을 제외한 4 종의 우리밀은 doublet로 나타나므로 단백질의 high molecular weight subunit region에서 경질맥인 탑동밀의 구조가 가장 수입밀과 일치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대기오염지역(大氣汚染地域)에서의 토양(土壤) 및 해송엽중(海松葉中) 오염물질간(汚染物質間)의 상관분석(相關分析) (The Relationship between Pollutants in Soil and Leaves in Air Polluted Areas)

  • 김종갑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0-145
    • /
    • 1992
  • 대기오염지역(大氣汚染地域)인 온산공단주변(溫山工團周邊) 해송엽(海松葉)의 엽에(葉) 대한 오염물질분석(汚染物質分析) 및 토양(土壤)과 엽(葉)의 오염물질간(汚染物質間)의 상관분석(相關分析)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해송엽(海松葉)에 대(對)한 수용성류황함량(水溶性硫黃含量)은 0.06-0.25%이었으나 공단주변(工團周邊)에서는 0.13-0.25%로 높게 나타나 해송엽(海松葉)의 생육(生育)에 지장(支障)을 줄것으로 판단(判斷)되었으며, 엽중(葉中) 중금속함량(重金屬含量)은 Fe은 87.2 ppm-319.8 ppm, Mn은 100.0 ppm-581.3 ppm, Zn은 39.0 ppm-134.0 ppm Cd은 1.2 ppm-4.8 ppm으로 나타나 일반적(一般的)으로 온산공단(溫山工團) 제련소주변(製鍊所周邊)의 해송엽(海松葉)에서 높게 나타났고, 공단(工團)에서 배출(排出)되는 이들 중금속(重金屬)들은 해송(海松)에 영향(影響)을 주고 있다고 볼 수 있었으나, Cu와 Pb은 전(全) 조사지(調査地)에서 미량(微量)만 나타나 아직은 식물피해(植物被害)에 큰 영향(影響)은 없었다. 토양(土壤)과 해송엽중(海松葉中) 오염물질간(汚染物質間)의 상관분석(相關分析)에서는 토양중(土壤中)의 유황함량(硫黃含量)과 엽중(葉中) 수용성유황(水溶性硫黃) 함량간(含量間)에는 5%수준(水準)에서, 토양중(土壤中)의 Fe, Zn, Cd과 엽중(葉中) Fe, Zn, Cd간(間)에도 5% 및 1%의 수준(水準)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어 토양(土壤)속의 이들 중금속(重金屬)과 엽중(葉中) 중금속간(重金屬間)에는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었다. 그러나 Mn에서는 상관(相關)이 없었다.

  • PDF

능이버섯(Sarcodon aspratus) 무름병소에서 분리한 MK1 균주의 최적 성장조건과 정제된 균체외다당류의 특성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MK1 Strain Isolated from Soft-Rotten Tissue of Neungee Mushroom (Sarcodon aspratus)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Purified Exopolysaccharide of MK1)

  • 유정은;이영남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24-331
    • /
    • 2009
  • 능이버섯(Sarcodon aspratus)의 무름병소에서 분리한 MK1 균주는 절대호기성 타가영양 세균으로 거식세포의 활성을 유도하는 균체외다당류를 다량 생산한다. MK1의 최적 성장 조건과 MK1이 생산하는 균체외다당류의 몇가지 물리적 성질을 알아보았다. MK1은 glucose, galactose, fructose, sucrose를 탄소원으로 잘 이용하나 MK1의 lactose 이용은 다소 저조하였다. 한편 potato starch와 dextrin을 이용하지 못하였다. MK1은 pH 7.0, $30^{\circ}C$, 200 rpm, 2% glucose, 0.05~0.2% $(NH_4)_2SO_4$에서 최적 성장을 보였다. 최적 성장조건에서 얻은 균체외다당류($EPS_{opt}$)는 탄소(37.1%), 질소(2.2%), 산소(49.3%), 수소(6.4%)로 구성되었으며, 황(S)은 검출되지 않았다. 그리고 아미노당과 산성 당을 함유한 이종다당류로 여겨지며, SDS-polyacrylamide gel elctrophoresis로 분석한 $EPS_{opt}$의 분자량은 14.8~47.9 kDa였다. Glucose 배지에서 생산된 균체외다당류($EPS_{glu}$)의 점도를 측정한 바, pH 6.0과 7.5에서 얻은 것들(0.1 g/ml)의 상대 점도($\acute{\eta}_{rel}$)는 각각 1.23과 1.39이었다. 또한 형태 또는 질감에도 차이가 있었는데, 배지의 pH가 낮을수록 미세결정형을, pH가 높아질수록 끈끈한 질감을 보였다. 따라서 배지 pH가 균체외다당류의 물리적 성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짙은 황사와 연무가 공존한 대기의 에어러솔 특성 - 2009년 3월 15~17일 - (The Aerosol Characteristics in Coexistence of Asian Dust and Haze during 15~17 March, 2009 in Seoul)

  • 이해영;김승범;김수민;송승주;전영신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68-180
    • /
    • 2011
  • The variation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tmospheric aerosols in coexistence of the heavy Asian Dust and Haze observed from $15^{th}$ to $17^{th}$ March 2009 in Seoul was scrutinized through the mass and ion concentration observations and synoptic weather analysis. Although the ratio of PM1.0/PM10 was constant at 0.3 (which is typical during Asian Dust period in Korea) during the measurement period, both PM10 and PM1.0 mass concentrations were 3~6 times and 2~4 times higher than that of clear days, respectively. Water-soluble ion components accounted for 30~50% of PM10 and 50~70% of PM1.0 mass concentration. One of the secondary pollutants, $NO_3^-$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Ca^{2+}$ and $Na^+$ in coarse mode indicating that the aerosol derived from natural source was affected by anthropogenic pollutants. While the acidity of the aerosols increased in fine mode when the stagnation of weather patterns was the strongest (March $16^{th}$), the alkalinity increased in coarse mode when new air masses arrived with a southwestern wind after ending a period of stagnation (March $17^{th}$). In the selected case, SOR (Sulfur Oxidation Ratio, $nSO_4^{2-}/[nSO_4^{2-}+nSO_2]$) and NOR (Nitrogen Oxidation Ratio, $nNO_3^-/[nNO_3^-+nNO_2]$) values of ion components were higher than the general values during Asian Dust period. These results imply that dust aerosols could be mixed with pollutants transported from China even in heavy Asian Dust cases in Korea.

제주지역 미세먼지의 오염원 규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urce Apportionment of the Atmospheric Fine Particles in Jeju area)

  • Hu, Chul-Goo;Yang, Su-Mi;Lee, Ki-Ho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17-225
    • /
    • 2003
  • Samples of size-fractionated PM10 (airborne particulate matter with aerodynamic diameter less than $10\mu\textrm{m}$) were collected at an urban site in Jeju city from May to September 2002. The mass concentration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samples were measured. The data sets were then applied to the CMB receptor model to estimate the source contribution of PM10 in Jeju area. The average PM10 mass concentration was 28.80$\mu\textrm{g}/m^3$ ($24.6~33.49\mu\textrm{g}/m^3$), and the FP (fine particle with aerodynamic diameter less than $2.l\mu\textrm{m}$ fraction in PM10 was approximately 8% higher than the CP (coarse particle with aerodynamic diameter greater than $2.l\mu\textrm{m}$ and less than $10\mu\textrm{m}$ fraction in PM10. The CP composition was obviously different from the FP composition, that is, the most abundant water soluble species was nitrate ion in the FP, but sulfate ion in the CP. Also sulfur was the most dominant element in the FP, however, sodium was that in the CP. From CMB receptor model results, it was found that road dust was the largest contributor to the CP mass concentration (45% of the CP) and ammonium nitrate, domestic boiler, and marine aerosol were major sources to the CP mass. However, the secondary aerosol was the most significant contributor to the FP mass concentration (45% of the FP). In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contributions of soil dust and gasoline vehicle became very low due to collinearity with road dust and diesel vehicle, respectively.

숙성마늘 extract 의 biomarker로서 생리활성 성분 (Biological Constituents of Aged Garlic Extract as Biomarker)

  • 양승택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38-146
    • /
    • 2009
  • 마늘은 역학조사에 의하면 각종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늘의 주요 성분인 알리신 성분은 매우 불안정하여 쉽게 분해되어 새로운 형태의 유황 화합물로 만들어져 이들 성분들이 상승적으로 작용하여 중요한 생리황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판되고 있는 여러 종류의 마늘제품 중에서 숙성마늘제품이 다른 제품에 비하여 생리활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숙성마늘제품은 마늘을 일정한 조건으로 숙성시킬 때 수용성 성분인 S-allylcysteine, S-allylmercaptan, steroid saponins, te-trahydro-${\beta}$-caboline derivatives 및 fructeosyl-arginine 등이 많이 증가하여 그 효능이 상승적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시판 마늘가공품의 품질을 표준화하기 위하여 이들 수용성 성분을 biomarker로서 규격기준을 정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