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retention capacity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26초

역상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 벤조산류의 머무름 (Retention of Benzoic Acids in RPLC)

  • 이재석;최범석
    • 분석과학
    • /
    • 제13권3호
    • /
    • pp.269-276
    • /
    • 2000
  • 역상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 7종의 벤조산의 머무름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벤조산의 불감시간 측정은 무기염이 적당하였다. 로그 용량인자(log k')와 Hildebrand의 용해인자(${\delta}$)는 직선관계를 가지며 머무름 메카니즘이 소용매성 효과에 영향을 받는다. 용질의 전이 엔탈피는 온도증가 그리고 이동상에서 유기변형제의 비와 반비례 관계를 가진다. 이동상에서 물의 부피분율과 log k'의 관계로부터 얻은 기울기인 S값은 양의 값을 가진다. 자유에너지 변화는 유기변형제의 부피분율의 증가와 비례한다. 소수성지표 ${\varphi}_0$은 컬럼의 온도와 반비례한다.

  • PDF

막 구조 내부의 담수와 염수의 혼합 (Mixing of Freshwater with Seawater inside Boom and Skirt System)

  • 오영민;정신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299-306
    • /
    • 2000
  • 우리 나라는 21세기에 물 부족이 예상되는 국가 중의 하나이다. 정부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단순히 댐을 건설하는 방법 이외에 여러 가지 대안을 마련하고 있는데 막 구조물을 이용한 담수저장기술은 그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우리 나라의 서남해안은 조수간만의 차가 심해 염수가 하천 상류로 깊숙이 침입하기 때문에 하류에서는 농공업용수를 위한 취수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기수역에서 담수와 염수를 분리할 수 만 있다면 용수문제 해결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실험을 통하여 염수와 담수를 분리하는 방안을 수립하였는데 담수저장효율은 막의 길이 및 바닥의 개폐 정도에 좌우되었다. 막이 길면 바닥의 유속이 빨라져 혼합이 활발하고 반면에 너무 짧으면 저장량이 너무 작아서 효용성이 없으므로 적절한 길이의 산정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바닥은 많이 닫힐수록 담수저장효율이 좋으나 막의 길이가 너무 짧거나 긴 경우에는 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토양 코아 분석을 통한 화산 골프장의 조성된 그린에 대한 평가 (The Evaluation on the exiting greens of Hwasan Country Club by undisturbed Soil Core Analysis)

  • 이상재;허근영;심경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54-61
    • /
    • 1998
  • The subsurface environment of the root zone area can set the stae for "do or die" of the turfgrass plant. The good condition of the greens is verifi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to evaluate on the existing green of Hwasan C.C. by undisturbed soil Core Anaysis. We completed the ISTRC SYSTEM BenchMarking of the undisturbed core samples taken from Green #1, Green #5, Green #9-"Best" area, and Green #9-"Stressed" area for the Hwasan C.C.. It was also our understanding that the greens were in "good" to "very good" conditioni. THe exception might be Green #9-"Stress" area, which was the stressed area. The stressed area was confined to a ridge across Green #9. The organic content test results comfirmed the development of organic layering in depth 0-2.5cm. For the amount of compaction in the upper root zones and te development of the green's respective organic layers, the infiltration rates were high in Green #1, Green #5, and Green #9 "Stressed" area. The depicted aerificaton hole might be the probable cause of the relatively high infiltraton rate. Green #9-"Best" area had a tested infiltration rate of 18.75cm/hr. Either this area had not been aerified, or the undisturbed sample did not contain a aerification cavity. The water retention capacity of the undisturbed samples was good. When the greens were first constructed, the original root zone mix had been relatively low water retention properties. And the bulk density and the porosity of the undisturbed samples were good. In the result, all the greens were similar except for the infiltration. Thus, we supposed that Green #9-"Stressed" area might be ainly influenced by the amount of irrigation water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green's surface. There had been a reduction in the amount of irrigation water as the water retention capacity in the greens was promoted. Especially, it had gradually become more of a problem as the green had matured in Green #9-"Stressed" area. Because Green #9-"Stressed" area was a ridge area. The reduction in the amount of irrigation water might be the probable cause of the stress in Green #9-"Stressed" area. Our final observation related to the soil texture and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sand. Though and sand contant of all the tested greens were good, the gravel content of them exceeded ISTRC Guidelines. In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sand, the very coarse and the coarse content of all the tested greens exceeded, but the rest was insufficient. The stability is a function of the material retained on the 0.25mm mesh screen. But, the content of all the tested greens was very insufficient. Though all the greens was serviceable, the coarse root zone sands, such as the sand in the tested greens, tended to be "unstable". Thus, we recommend using a topdressing/aerification sand which should be more in line with ISTRC/USGA Guidelines.;unstable". Thus, we recommend using a topdressing/aerification sand which should be more in line with ISTRC/USGA Guidelines.ines.

  • PDF

Tetramethylpyrazine Protects Oxidative Stability and Gelation Property of Rabbit Myofibrillar Proteins

  • Wang, Jianping;Liu, Ning;Zhang, Feike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623-631
    • /
    • 2019
  • Tetramethylpyrazine (TMP), an alkaloid rich in Ligusticum wallichii and fermented products, possesses multiple pharmacological activities in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bacterial.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MP (15 mg/L) on the physicochemical and gelation properties of rabbit myofibrillar proteins (MPs) with/without oxidative stress. Results showed that compared to the control, oxidative stress to MPs decreased free thiol content, gel yield, whiteness, water-holding capacity, bounder water, immobilized water, and endogenous tryptophan fluorescence intensity, but increased surface hydrophobicity, dityrosine content, and free water content (p<0.01). Without oxidative stress, MPs treated with TMP increased free thiol content, whiteness, and bound water, but decreased dityrosine content and free water (p<0.05). Under oxidative conditions, all parameters were conversely affected by TMP (p<0.01). The results suggest that TMP can be an antioxidant to decrease the concern on oxidative deterioration during meat processing and storage by improving the oxidative stability, water retention, and gel forming property of rabbit MPs.

PROPOSAL FOR DUAL PRESSURIZED LIGHT WATER REACTOR UNIT PRODUCING 2000 MWE

  • Kang, Kyoung-Min;Noh, Sang-Woo;Suh, Kune-Yull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1권8호
    • /
    • pp.1005-1014
    • /
    • 2009
  • The Dual Unit Optimizer 2000 MWe (DUO2000) is put forward as a new design concept for large power nuclear plants to cope with economic and safety challenges facing the $21^{st}$ century green and sustainable energy industry. DUO2000 is home to two nuclear steam supply systems (NSSSs) of the Optimized Power Reactor 1000 MWe (OPR1000)-like pressurized water reactor (PWR) in single containment so as to double the capacity of the plant. The idea behind DUO may as well be extended to combining any number of NSSSs of PWRs or pressurized heavy water reactors (PHWRs), or even boiling water reactors (BWRs). Once proven in water reactors, the technology may even be expanded to gas cooled, liquid metal cooled, and molten salt cooled reactors. With its in-vessel retention external reactor vessel cooling (IVR-ERVC) as severe accident management strategy, DUO can not only put the single most querulous PWR safety issue to an end, but also pave the way to very promising large power capacity while dispensing with the huge redesigning cost for Generation III+ nuclear systems. Five prototypes are presented for the DUO2000, and their respective advantages and drawbacks are considered. The strengths include,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reducing the cost of construction by decreasing the number of containment buildings from two to one, minimizing the cost of NSSS and control systems by sharing between the dual units, and lessening the maintenance cost by uniting the NSSS, just to name the few. The latent threats are discussed as well.

산림(山林)의 입지환경인자(立地環境因子)가 표층토양(表層土壤)의 조공극율(粗孔隙率)에 미치는 영향인자(影響因子) 분석(分析)(II) - 활엽수림(闊葉樹林)을 중심(中心)으로 -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esopore Ratio on the Soil Surface to Investigate the Site Factors in a Forest Stand(II)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Deciduous Stands -)

  • 정용호;박재현;김경하;윤호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4호
    • /
    • pp.450-457
    • /
    • 2001
  • 산림의 수원함양기능 지표인 표층토양에서의 조공극율(粗孔隙率)(pF2.7) 에 영향하는 입지환경인자를 밝히기 위해 1994년 3월부터 10월까지 전국의 활엽수림 표본조사구를 대상으로 업지, 토양, 임분환경인자 등 총 15인자에 대하여 spss/pc+를 이용하여 상관 분석하였다. 표층토양에서의 조공극률에 영향을 미치는 수고, 하층식생 피복도, 토양의 유기물함량비 3개 인자가 유의한 정(正)의 상관관계를, 표층토양의 견밀도가 1% 수준에서 유의한 부(負)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Stepwise를 이용한 다중회귀분석결과 표층토양에서의 조공극률에 영향하는 인자는 표층토양의 견밀도, 토양의 유기물함량비 2개 인자이었다. 활엽수림의 수원함양기능 증진을 위한 시업은 표층토양의 조공극 발달이 촉진되도록 하층식생 피복도가 30%에서 80%를 유지하도록 실시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산림(山林)의 입지환경인자(立地環境因子)가 표층토양(表層土壤)의 조공극률(粗孔極律)에 미치는 영향인자(影響因子) 분석(分析)(I) - 침엽수림(針葉樹林)을 중심(中心)으로 -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esopore Ratio on the Soil Surface to Investigate the Site Factors in a Forest Stand(I)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Coniferous Stands -)

  • 정용호;박재현;김경하;윤호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3호
    • /
    • pp.314-323
    • /
    • 2001
  • 산림의 수원함양기능 지표로서 표층토양에서의 조공극률(粗孔隙率)(pF2.7)에 영향하는 인자를 밝히기 위해 1993년 3월부터 10월까지 전국의 침엽수림 표본조사구를 대상으로 입지, 토양, 임분환경인자 등 총 23개 조사항목에 대하여 상관분석하였다. 표층토양에서의 조공극률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인자는 표층토양에서의 조대공극률(粗大孔隙率)(pF1.6), 경사도, 상층식생 울폐도, F층의 두께, 토양의 유기물함량비, 임목축적 등 6개 인자가 정(定)의 상관관계를, 점토함량비, 표층토양의 견밀도, A층, B층 토양견밀도 등 4개 인자가 각각 5%, 1% 수준에서 유의한 부(負)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stepwise를 이용한 다중회귀분석결과 표층토양에서의 조공극률에 영향하는 인자는 표층토양의 견밀도, 상층임분 지하고, 임목축적, B층 토양의 견밀도, 토양의 유기물함량비 등 5개 인자이었다. 침엽수림의 수원함양기능 증진을 위한 시업은 표층토양의 조공극 발달이 촉진되도록 상충식생 울폐도가 80%를 넘게 되었을 때 실시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옥수수포장의 토양 수분함량에 대한 토성과 경운의 영향 (Effects of Soil Types and Tillage Systems on Soil Water Movement in the Root Zone of Cornfields)

  • 김원일;정구복;고문환;;박노동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97-206
    • /
    • 2002
  • 토양수분 이동에 대한 토양 특성과 경운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3년 동안 일리노이 중부지방의 몇 개 토양통이 다른 옥수수 포장에서 토양 수분함량을 조사하였다. 경작 기간중의 무경운과 경운된 포장에서 30 cm 간격으로 깊이 150 cm 까지 Neutron Scattering 기술에 의하여 수분함량을 측정하였다. 토양 경작층에서의 수분함량은 경운이나 강우에 의해 수분함량의 영향을 받은 반면 심토에서는 토성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토양수분은 점토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Saybrook통이나 Catlin통에서 점토 함량이 높아 수분 보유능이 높은 Drummer통, Flanagan통, 및 Ipava통보다 빠르게 이동하였다. 이들 Drummer통, Flanagan통, Ipava통의 높은 유기물 함량은 수분 보유능을 증가시키는 또 다른 이유가 될 수 있다. 또한 옥수수 경작층에서의 수분함량은 경운 포장에서 무경운 포장보다 높았다.

패류 가공에 관한 연구 -3. 개량조개 박편건제품의 제조 및 저장중의 색소 잔존율과 흡수율에 대하여- (Studies on the Shellfish Processing -3. The Pigment Retention and the Water Absorbing Capacity of Dehydrated Mashed Surf Clam Meat Flakes during Dehydration and Storage-)

  • 이응호;한봉호;허종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8-51
    • /
    • 1971
  • 토사질을 제거한 생 개량조개 육을 BHA, EDTA 또는 $NaHSO_3$를 각각 처리한 다음 갈아서 박편으로 열풍건조한 박편건제품의 제조 및 저장중에 있어서 이들의 처리가 박편건제품의 색소 소실 및 흡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개량조개를 갈아서 조개의 형태를 바꾸어 엷게 열풍건조 하므로서 조개의 원형 그대로 건조하는 것 보다 건조시간을 약1/2로 단축할 수 있었다. 2) BHA를 처리하여 박편으로 건조한 것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할 때 박편건제품 제조 및 저장중에 색소 소실이 가장 적었다. 3) 박편건제품은 조개 형태 그대로 말린 제품 보다 흡수율이 약2배 높았다. 4) 박편건제품을 암실에 저장한 것은 햇빛이 닿는 곳에 저장한 것 보다 색소 소실도 적고 흡수율도 좋았다.

  • PDF

가금육(家禽肉)의 가공적성(加工適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1. 계육(鷄肉)의 보수력(保水力)- (Studies on the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Poultry Meat -1. Water Holding Capacity of Chicken Muscle-)

  • 성삼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5-59
    • /
    • 1973
  • 닭고기의 가공특성(加工特性)을 알고, 가공방법(加工方法)을 개선(改善)하기 위하여 폐계와 육계(肉鷄)를 각(各) 20수(首)씩을 5군(群)으로 나누어(whole carcass, skinned carcass, debonned carcass, thigh muscle, breast muscle) 마쇄하여 실험(實驗)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폐계와 육계(肉鷄)의 도체률(屠體率)은 각(各) $64.32{\pm}2.11,\;67.96{\pm}1.16$이었고, 흡수증체률(吸水增體率)은 $105.43{\pm}1.9,\;104.13{\pm}0.2$이었다. 2. 화학성분(化學成分)은 육계(肉鷄)가 폐계보다 수분(水分)이 많고, 지방(脂肪)이 다소(多少) 적었다. 시료별(試料別)로는 폐계, 육계(肉鷄) 공(共)히 whole carcass ground meat가 thigh m., breast m보다 수분이 적고 지방과 회분의 많았다. 3. Relative WHC와 water retention은 thigh m. breast m. 과 skinned carcass가 높고, whole carcass가 가장 낮았다. 4. 가열감량률(加熱減量率)은 각군(各群) 모두 온도(溫度)가 상승할수록 높고 whole carcass가 가장 높았다. 5. Relative WHC, water retention과 가열감량률(加熱減量率)은 폐계와 육계(肉鷄) 사이의 유의성(有意性)은 전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