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non-soluble protein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5초

THE USE OF MULTINUTRIENT BLOCK SUPPLEMENTED TO UREA TREATED RICE STRAW BASE DIET FOR DAIRY HEIFERS

  • Cheva-Isarakul, B.;Promma,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8권2호
    • /
    • pp.113-118
    • /
    • 1995
  • Eighteen Holstein Friesian ${\times}$ Native heifers with an average live weight of $175.4{\pm}27.8kg$ were allotted to 3 dietary groups. All animals were kept individually in a stanchion barn with free access to water and urea-treated rice straw (UTS). The supplemented feeds were as follows: Group (Gr) 1 - concentrate mixture (15% CP) at 1% body weight (BW), Gr 2 - concentrate mixture at 0.7% BW + free licking of multinutrient block (MNB), Gr 3 - as Gr 2 + 0.3% BW ground com. Multinutrient block composed of 20% mineral mixture, 10% urea, 18% molasses, 20% soybean meal, 22% sesame meal, 10% cement, 0.15 million IU and 50 IU/kg MNB of vitamin A and E. The experimental period lasted 12 weeks. The result revealed that MNB enhanced intake of UTS and total dry matter intake. Animals in Gr 3 consumed a higher amount of feed than the other 2 groups, thus resulting in the highest live weight gain and tended to possess the best feed conversion ratio. Heifers in Gr 2 also performed better than Gr 1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Average MNB intake found to be 0.65 kg/day. Feed cost per kg gai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 groups. However if the cost of MNB could be lower, it would benefit the production cost of animals. The advantage of MNB is the safety of using a high level of urea. Although it was supplemented to UTS which also contained non-protein nitrogen (NPN), no toxic sign was shown. The results indicated that MNB could be partially substituted to concentrate mixture and it was even better when used incombination with soluble carbohydrate feed.

Butachlor에 대한 벼 유묘의 생리적 반응 (Physiological Responses of Rice Seedlings to Butachlor)

  • 채문복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47-253
    • /
    • 1995
  • The herbicide butachlor [N-(butoxymethyl)-2-chloro-N-(2,6-di-methylphenyl) acetamide] is widely used by farmers as a tool for weed management of transplanted rice(Oryza sativa L.) in Taiwan. The herbicide did not stop germination of rice and weed seeds, but strongly inhibited the subsequent growth of young shoots and roots. The inhibition was also strong on established seedlings. However, they could recover to normal growth after the herbicide effect disappeared. Butachlor greatly decreased the endogenous indole-3-acetic acid (IAA) but increased the endogenous abscisic acid (ABA) contents of rice seedlings. Addition of lAA into growth medium (Hoagland's solution) partly relieved growth inhibition. Pretreatment of both gibberellic acid ($GA_3$) and IAA 24 hours before butachlor treatment almost completely alleviated the butachlor-interfere with GA and/or IAA metabolism or their action resulting in the growth inhibition of rice. Butachlor was readily absorbed by rice roots. During 24 hours of uptake experiment, 32% of the applied herbicide was absorbed. Pretreatment of the herbicide for 2 days did ncx affect the absorption. Of the absorbed herbicide, 80% remained in roots, only 20% transported into shoots, and more than 50% was metabolized to water soluble substances. Thin-layer chromatographic (TLC) analysis indicated that the Rf value of the most abundant metabolite was butachlor-glutathione conjugate. Rice, barnyardgrass (Echinochloa crus-galli (L.) Beauv.), and monochoria (Monochoria vaginalis Presl) seedlings contained relatively high level of non-protein thiols, while the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activity was found highest in rice, barnyardgrass the next, monochoria the lowest. The difference in GST activity among these species might be related to their sensitivity to butachlor.

  • PDF

다양한 유청제품인 WP, WPC 34, WPC 80, DWP, LP를 Soymilk에 첨가하여 제조된 Mozzarella Cheese Analogue의 저장 중 품질 변화에 관한 연구 (Quality of Mozzarella Cheese Analogues Prepared from Soy Milk with WP, WPC 34, WPC 80, DWP, or LP during the Storage Period)

  • 진우승;송광영;서건호;윤여창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1호
    • /
    • pp.35-4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ozzarella cheese analogues by using dairy products in the form of WPC 34, WPC 80, whey protein, demineralized whey powder, and lactose powder along with soy milk. Soy milk was separately blended with 5% WPC 34 (A), WPC 80 (B), DWP (C), WP (D), and LP (E) and also with 10% WPC 34 (F), WPC 80 (G), DWP (H), WP (I), and LP (J). Blending of soy milk and whey products showed that increase in the proportions of whey products (WPC 34, WPC 80, DWP, WP, and LP) led to increase in the protein, lactose, and SNF levels of the admixture. A decrease in fat content was observed for all cheeses prepared from mixtures, relative to those for the control cheese. The nitrogen content within analogue samples was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cheese and increased with increase in the proportions of whey products within soy milk. Higher water soluble nitrogen levels were observed in cheese prepared from whey-product-blended soy milk than in the control cheese. The non-protein nitrogen level within the control Mozzarella chees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the Mozzarella analogues, and, in the case of cheese analogues, it increased with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whey products in soy milk. With regard to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ies of the Mozzarella cheese analogues and control cheese, the pH of all analogue samples, with the exception of the cheese prepared from group G,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Mozzarella cheese. Rheological studies showed that the hardness of Mozzarella cheese analogues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Mozzarella, while the elasticity, cohesiveness, and brittleness of the analogues was higher. The control sample had a higher meltability level than any of the Mozzarella analogues. Mozzarella cheese prepared with the traditional method had higher browning and stretching levels than all the cheese analogues, but a lower oiling-off level.

  • PDF

괴각(槐角)의 식품영양학적 접근 및 몇 가지 생리활성물질 함량 분석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Some Bioactive Components Contents of Sophorae fructus)

  • 최영수;신언환;박성진;김종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9호
    • /
    • pp.1154-1161
    • /
    • 2008
  • 본 연구는 괴각을 대상으로 약이성 음식으로의 활용을 위한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계획 수행되었다. 따라서 괴각의 영양성분 분석을 통한 식품영양학적 접근, 생리활성 기능을 기대할 수 있는 관련 물질 함량을 분석하였다. 식품영양학적 접근에서의 괴각의 일반성분은 건량기준으로 당질 75.9%, 조단백질 16.4%, 조지방 2.41% 및 조회분 5.2%이었고 괴각 100 g의 함유 열량은 337.3 kcal로 분석되었으며, 총 식이섬유소 함량은 건량기준으로 총 당질 중 11.45%이었고 수용성 및 불용성 식이섬유소 함량은 각각 1.09%, 10.36%로 나타났다. 또한, 총 18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었으며 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2,310.91 mg, 5,218.52 mg이었고, 무기질 중 칼륨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칼슘, 인, 마그네슘 순으로 나타나 알칼리성 재료임을 알 수 있었으며, 지방산 함량의 경우 총 포화지방산 24.94%, 단일불포화지방산 32.40% 및 다가불포화지방산 32.86%로 구성되어 있어 다른 식물류에 비해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괴각의 생리활성 물질의 분석에서는 생리활성 작용이 기대되는 항산화비타민의 경우 비타민 C의 함량이 가장 높아 혈관의 탄력성 증진에 관여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혈관의 탄력 및 모세혈관 투과성에 관여하는 루틴의 함량이 1.78%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괴각의 물추출물 1 mL당 수용성 항산화물질의 함량은 $4.95\;{\mu}g$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는 mL당 비타민 C 1,560.96 mmol에 해당하는 항산화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Mucor Miehei 응유효소(凝乳酵素)로 제조(製造)한 Camembert Cheese의 숙성(熟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Ripening of Camembert Cheese Made with Mucor Miehei Rennet)

  • 박무일;김종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179-200
    • /
    • 1989
  • Camembert cheese 제조(製造)에 있어 calf rennet의 대체이용(代替利用)을 위(爲)한 기초연구(基礎硏究)로서 Mucor miehei 응유효소(凝乳酵素)를 calf rennet와 일정(一定) 비율(比率)로 혼합(混合) 첨가(添加)하고 cheese의 수율(收率), 숙성기간(熟成期間)에 따른 일반성분(一般成分)의 변화(變化), 실소화합물(室素化合物), 아미노산(酸), 유리지방산(遊離脂肪酸), 무기물(無機物)의 변화(變化) 및 분자량별(分子量別) 분획(分劃), 전기영동(電氣泳動), 조직특성(組織特性) 및 관능검사(官能檢査) 연구(硏究)에서 얻은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Camembert eheese의 수율(收率)은 15%로서 calf rennet와 Mucor rennet간(間)에는 큰 차이(差異)이 없었다. 2. 단백질(蛋白質), 지방(脂肪) 및 회분함량(灰分含量은 Mucor rennet편이 적었으며 숙성(熟成)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유당(乳糖)은 14일 이후(以後) 급격(急激)한 감소현상(減少現像)을 나타내고 첨가비율(添加比率)에 따른 차이(差異)는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3. 제조직후(製造直後) 수용성(水溶性) 질소량(窒素量)은 14.7~17.3%였으나 숙성(熟成)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39.7~41.0%로 증가(增加)하였으며 숙성(熟成) 21일(日)에는 calf rennet에 비(比)하여 Mucor rennet편이 높았고 비(非)케이신태(態) 질소(窒素) 및 암모니아태(態) 질소(窒素)는 21일(日) 이후(以後) Mocor rennet편이 높은 증가율(增加率)을 나타내었다. 4. 숙성(熟成)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calf rennet에 비(比)하여 Mucor rennet편이 cysteine, phenylalanine 및 proline 등(等)이 증가(增加)하였으나 aspartic acid, threonine 및 glutamic acid등(等)은 감소(減少)하였다. 5. 유리지방산량(遊離脂肪酸量)은 calf rennet에 비(比)하여 Mucor rennet편이 높았고 숙성(熟成)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8.36 mEq으로부터 26.36 mEq에 이르는 함량(含量) 증가(增加)를 나타냈으나 처리간(處理間)에는 유의성(有意性)있는 큰 차이(差異)를 나타내지 않았다. 6. 시료중(試料中)의 Ca량(量)은 0.238~0.272%, Mg량(量)은 0.019~0.002%, Na은 0.910~1.047%, K은 0.175~0.200%였으며 casein에서 중요(重要)한 비침전성(非沈澱性) Ca량(量)은 숙성기간(熟成期間)과 효소첨가중(酵素添加重)에 관계(關係)없이 61%에서 77%까지 Mg에서는 59.1%에서 92.5%까지 비침전성(非沈澱性) 수용성(水溶性)으로 남아 있었다. 7. 분자량(分子量) 50,000이상(以上)의 단백질(蛋白質)은 숙성9熟成)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초기(初期)의 95%에서 45%까지 감소(減少)되고 분자량(分子量) 10,000이하(以下)는 0.2에서 38%까지 증가(增加)되어 숙성(熟成)에 의(依)한 casein의 분해(分解)가 확실(確實)하였다. 8. 숙성(熟成) 2주(週)부터 Mucor rennet의 첨가비율(添加比率)에 따라 casein의 전기영동(電氣泳動)은 다르게 나타났으며 숙성(熟成) 4주(週)에는 calf rennet 처리구(處理區)에 비(比)하여 Mucor rennet 처리구(處理區)의 전(全) band는 다소 잔존(殘存)함을 볼 수 있었다. 9. in vitro소화율(消化率)은 처리(處理)에 따라 81.48~94.81%로 부터 94.47~98.61%로 증가(增加)하였으며 처리간(處理間)에는 유의(有意)한 차이(差異)를 나타내지 않았다. 10. Mucor rennet 처리구(處理區)는 calf rennet처리구(處理區)에 비(比)하여 Hardness가 낮았으며 숙성(熟成)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더욱 감소(減少)하였다. 11. 관능검사(官能檢査) 결과(結果) Camembert cheese의 표면상태(表面狀態), 촉감(觸感), 절단면(切斷面), 풍미(風味) 및 고미등(苦味等)은 calf rennet와 Mucor rennet 처리간(處理間)에 차이(差異)를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 PDF

개두릅의 함유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alopanax pictus Leaf)

  • 신언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634-1639
    • /
    • 2010
  • 개두릅의 일반성분 및 아미노산, 무기질, 지방산 함량과 항산화 효과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식품영양학적 접근에서의 개두릅의 일반성분은 건량기준으로 당질 41.42%, 조단백질 45.23%, 조지방 3.29% 및 조회분 10.07%이었고 개두릅 100 g의 함유 열량은 401.52 kcal로 분석되었으며, 총 식이섬 유소 함량은 건량기준으로 30.37%이었고 수용성 및 불용성 식이섬유소 함량은 각각 9.16%, 21.21%로 나타났다. 또한, 총 18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었으며 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10.51 g, 17.69 g이었고, 무기질 중 칼륨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인, 칼슘, 마그네슘 순으로 나타나 알칼리성 재료임을 알 수 있었으며, 지방산 함량의 경우 총 포화지방산 1.56 g, 단일불포화지방산 0.11 g 및 다가불포화지방산 1.84 g로 구성되어 있었다. 개두릅 70% 에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과 물 추출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의 항산화 효과 결과 는 $RC_{50}$값이 247.3, 120.7, 107.3, 105.7, 110.1, $491.9\;{\mu}g$으로 나타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갈화(葛花)의 함유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ueraria flos)

  • 신언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1139-1144
    • /
    • 2009
  • 본 연구는 갈화를 대상으로 약이성 음식으로의 활용을 위한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계획 수행되었다. 따라서 갈화의 영양성분 분석을 통한 식품영양학적 접근, 생리활성 기능을 기대할 수 있는 관련 물질 함량의 분석하였다. 식품영양학적 접근에서의 갈화의 일반성분은 건량기준으로 당질 69.2%, 조단백질 19.9%, 조지방 2.2% 및 조회분 8.9%이었고 갈화 100 g의 함유 열량은 340.4 kcal로 분석되었으며, 총 식이섬유소 함량은 건량기준으로 총 당질 중 85.1%이었고 수용성 및 불용성 식이섬유소 함량은 각각 12.0%, 46.7%로 나타났다. 또한, 총 18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었으며 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5.0 g, 6.7 g이었고, 무기질 중 칼슘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칼륨, 마그네슘, 인 순으로 나타나 알칼리성 재료임을 알 수 있었으며, 지방산 함량의 경우 총 포화지방산 25.37%, 단일불포화지방산 33.61% 및 다가불포화지방산 35.68%로 구성되어 있어 다른 식물류에 비해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갈화 70% 에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과 물 추출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의 항산화 효과 결과는 $RC_{50}$값이 217.3, 134.5, 116.7, 109.9, 129.8, 473.5 ${\mu}g$으로 나타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메추리알 초란의 이화학적 특성과 기호성 평가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of Pickled Quail Egg)

  • 양철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72-477
    • /
    • 2005
  • 메추리알과 감식초를 이용하여 15일간 담금 유지하면서, 물리, 화학적 변화와 완성 초란 시료에 부재료를 혼합하여 음료적 가치 평가를 위한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메추리알의 중량 변화는 담금 5일에서 큰 증가율을 보이고, 15일 담금은 10일에 비해 약간의 감소현상을 나타내며, $20^{\circ}C$ 담금구가 $10^{\circ}C$ 담금구에 비해 약간의 중량 증가율이 높음을 볼 수 있었다. 영양 조성분은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은 각각 75.24, 12.13. 9.53, $1.20\%$로 측정되었고, 담금기간 중 조회분의 증가율이 높게 나타내고 있었다. 감식초액의 pH는 3.12, 3.24이었고 5일 담금구의 담금액의 증가가 큰 폭으로 보이나 초란 고형분인 난백과 난황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는 것은 $10^{\circ}$$20^{\circ}$ 담금구에서 유사하게 나타내었으며 $10^{\circ}$ 담금이 $20^{\circ}$ 담금보다 약간의 높은 pH값을 보였다 난백중 수용성 질소물의 함량 변화는 $10^{\circ}$ 담금 5일에 감소량이 높고 10일, 15일 담금에서는 증가율이 적었다. 비단백태 질소물은 수용성 질소물에 비해 함량이 적게 측정되었으며 담금기간에 따라서 그 함량이 증가함을 보였다. 점도의 변화는 담금기간이 길어질수록 그 값이 증가함을 보이고 있는데 특히 5일 담금구에서 증가율이 높게 나타내고 있었다. 15일 담금된 초란의 관능평가는 전체 수용도로 보면 S-3>S-2>S-1의 순으로 높은 평가를 보이며 평가 요소 중 냄새 항목이 낮은 편이었다.

고지방식이 급여 쥐에서 수용성 뽕나무 잎 추출물의 간 microRNA-221/222 발현 및 염증 조절을 통한 간 지질 축적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water-soluble mulberry leaf extract on hepatic lipid accumulation in high-fat diet-fed rats via modulation of hepatic microRNA-221/222 expression and inflammation)

  • 이막순;김채민;고현미;김양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2호
    • /
    • pp.227-23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ME가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쥐에서 간의 miRs와 염증 조절을 통해 간 지질 축적 억제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4주령 수컷 Sprague-Dawley 쥐는 3 그룹 (n = 7)으로 나누어 14주 동안 10 kcal% 저지방 식이 (LF), 45 kcal% 고지방 식이 (HF) 또는 HF + 0.8% ME를 공급하였다. ME의 공급은 체중 증가를 줄이고 혈청 지질 수준을 개선하였으며 간 지질 축적을 억제하였다. 간의 지방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PPAR-γ, SREBP-1c, FAS 및 FAT/CD36의 mRNA 수준은 HF 군에 비해 ME 군에서 유의하게 하향 조절되었다. 반면, 지방산 산화에 관여하는 CPT-1의 mRNA 수준은 HF 군에 비해 ME 군에서 유의하게 상향 조절되었다. ME는 간의 염증 매개에 관여하는 TNF-α, IL-6, MCP-1 및 iNOS의 mRNA 수준을 하향 조절하였으며 혈청의 TNF-α, IL-6 및 NO 농도 또한 유의하게 낮추었다. 비알콜성 지방간의 염증상태에서 증가하는 miR-221과 miR-222의 발현은 HF 군에 비해 ME 군에서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ME의 간 지질 축적 억제 효과가 지질대사와 염증 조절에 관여하는 조절 인자의 개선 및 간의 miR-221/222 발현 억제와 관련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ME는 NAFLD을 개선하는 천연물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SE, RSE, RFN, DFD 돈육의 육색과 보수력에 관한 연구 (Color and Water Holding Capacity of PSE, RSE, RFN and DFD Pork)

  • 김천제;박홍양;정영철;강종옥;이창현;이의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138-1143
    • /
    • 1997
  • PSE, RSE, RFN 및 DFD돈육의 육질에 따른 보수력 , 가열감량, 드립 감량 및 단백질 용해성을 측정하였으며 드립감량과 육색 및 보수력과의 상관도를 조사하였다. 압착법에 의한 보수력은 도축직후 $58.36{\pm}12.75%$이었으나 24시간후 $45.54{\pm}9.33%$로 감소하였으며 3일간 저장후의 드립 감량은 평균 $7.02{\pm}2.98%$로 나타났다. 또한 단백질 용해성은 평균 10.46 mg/mL이었다. 육질에 따른 압착법에 의한 보수력은 도축직후 PSE육 49.08%, DFD육 66.50%이었으며 , RSE육(55.24%)과 RFN육(64.03%)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도축24시간후의 보수력은 PSE육 39.56%, DFD육 56.56%이었으며 PSE육과 RSE육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드립방량은 PSE육(11.18%)과 RSE육(9.30%)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RFN육과 DFD육은 각각 5.34%와 3.73%,로 나타나 각 육질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p<0.05). 가열감량은 DFD육(25.1%)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고 나머지 육질 그룹간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며, 염용성 단백질 용해성은 PSE육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L^*(lightness)$값과 드립감량과의 관계에 있어서 $L^*-$값이 증가할수록 드립감량은 증가하였으며(r=0.61), 보수력과 드립감량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24시간후 측정된 보수력과의 상관도(r=-0.52)가 도축직후 측정된 보수력과의 상관도(r=-0.47)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